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텔레비전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매체성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661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어가며
      • 2. 미디어 고고학과 뉴미디어 이론
      • 3. 텔레비전의 기술적 변화와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장르화
      • 4. 재매개 장치로서의 리얼리티 프로그램
      • 5. 재매개 장치로서의 리얼리티 프로그램
      • 1. 들어가며
      • 2. 미디어 고고학과 뉴미디어 이론
      • 3. 텔레비전의 기술적 변화와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장르화
      • 4. 재매개 장치로서의 리얼리티 프로그램
      • 5. 재매개 장치로서의 리얼리티 프로그램
      • 6. 요약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수정, "한국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정서구조와 문화정치학" 한국방송공사 23 (23): 37-72, 2011

      2 이헌율, "한국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실제성 구현 연구: <1박 2일>에 나타난 제작진 노출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9 (29): 241-272, 2015

      3 이헌율, "포스트네트워크시대의 제작자와 수용자 상호작용성 연구 : 2017년 SBS 대선개표방송에 나타난 인식과 반응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31 (31): 184-236, 2017

      4 이동후, "포스트 TV 시대의 텔레비전 시청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20대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60 (60): 172-192, 2012

      5 이희은, "텔레비전 버라이어티쇼의 사적인 이야기 서술"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19 (19): 2-48, 2011

      6 김명진, "텔레비전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상호텍스트성과 상호주관적 실재의 구성: <효리네 민박>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33 (33): 5-44, 2019

      7 유현주, "텍스트, 하이퍼텍스트, 하이퍼미디어.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문예학" 문학동네 2017

      8 김남시, "축음기, 영화, 타자기" 문학과 지성사 2019

      9 김영도, "채널의 증가에 따른 TV 프로그램의 유사화에 관한 연구: 예능 프로그램의 포맷과 소재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25 (25): 7-30, 2018

      10 Foucault, M., "지식의 고고학" 민음사 2000

      1 김수정, "한국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정서구조와 문화정치학" 한국방송공사 23 (23): 37-72, 2011

      2 이헌율, "한국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실제성 구현 연구: <1박 2일>에 나타난 제작진 노출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9 (29): 241-272, 2015

      3 이헌율, "포스트네트워크시대의 제작자와 수용자 상호작용성 연구 : 2017년 SBS 대선개표방송에 나타난 인식과 반응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31 (31): 184-236, 2017

      4 이동후, "포스트 TV 시대의 텔레비전 시청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20대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60 (60): 172-192, 2012

      5 이희은, "텔레비전 버라이어티쇼의 사적인 이야기 서술"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19 (19): 2-48, 2011

      6 김명진, "텔레비전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상호텍스트성과 상호주관적 실재의 구성: <효리네 민박>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33 (33): 5-44, 2019

      7 유현주, "텍스트, 하이퍼텍스트, 하이퍼미디어.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문예학" 문학동네 2017

      8 김남시, "축음기, 영화, 타자기" 문학과 지성사 2019

      9 김영도, "채널의 증가에 따른 TV 프로그램의 유사화에 관한 연구: 예능 프로그램의 포맷과 소재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25 (25): 7-30, 2018

      10 Foucault, M., "지식의 고고학" 민음사 2000

      11 윤태진, "정서적 참여와 실재(reality)의 재구성 : 한국 리얼리티 텔레비전쇼의 작동방식에 대한 고찰" 한국방송공사 23 (23): 7-36, 2011

      12 조성호, "저널리즘의 재현양식과 기술의 관계에 대한 연구 : TV뉴스에서 활용되는 감시영상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3

      13 Bolter, D., "재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14 이동후, "인터넷 개인방송 BJ의 노동 과정에 대한 탐색: 아프리카TV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61 (61): 127-156, 2017

      15 정준희, "인공유물 연쇄로서의 미디어: 미디어 고고학적 문제 설정과 방법론을 통한 새로운 미디어 연구의 가능성 평가" 언론정보연구소 54 (54): 9-47, 2017

      16 Fan Bo, "예능프로그램에 내재화된 힐링: <효리네 민박, 시즌1> 서사분석"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6 (26): 363-387, 2018

      17 이재현, "소프트웨어가 명령한다" 커뮤니케이션북스 [서울] 2014

      18 김현주, "생활밀착형 휴먼 다큐멘터리의 제작행태에 관한 연구 : KBS 2TV '다큐멘터리 3일' 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1

      19 Brecht, B., "새로운 예술을 찾아서" 중원문화 1995

      20 원용진, "사회적 장치로서의 아이돌 현상" 대중서사학회 (28) : 319-361, 2012

      21 Krauss, R., "북해에서의 항해: 포스트-매체 조건 시대의 미술" 현실문화연구 2017

      22 서은아, "방송환경의 변화가 TV다큐멘터리 제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6mm캠코더와 휴먼 다큐멘터리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2002

      23 Benjamin, W.,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민음사 1983

      24 김상호, "미디어의 이해 : 인간의 확장"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25 이동후, "미디어ᐨ일상ᐨ소비의 교차로, TV 홈쇼핑: 20대와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97 : 37-76, 2019

      26 이희은, "미디어 생태계에서의 변화와 생산자 연구" 한국언론정보학회 101 : 81-112, 2020

      27 홍지아,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서사전략과 낭만적 사랑의 담론 <우리 결혼했어요>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3 (23): 567-608, 2009

      28 김환희,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의 서사전략과 환상적 사실성 - tvN <삼시세끼 정선편> 시즌1을 중심으로" 한국기호학회 50 : 79-108, 2017

      29 임종수, "디지털TV의 양식성: 형식, 존재, 수용" 한국언론학회 11 (11): 18-55, 2015

      30 석정우, "디지털 제작환경에서의 오락 프로그램 연출 방식의 변화" 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1

      31 김사승, "뉴스생산방법 변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유동저널리즘과 조정메커니즘" 한국언론학회 15 (15): 5-45, 2019

      32 Manovich, L., "뉴미디어의 언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33 Kittler, F., "기록시스템 1800·1900" 문학동네 2015

      34 신선화, "관찰형 리얼리티 프로그램 장르 형식의 변화 연구 : 지상파 방송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9

      35 이희은, "관찰 혹은 자발적 감시: 리얼리티 프로그램과 신자유주의 감시 사회의 정경" 한국방송학회 28 (28): 211-248, 2014

      36 이현중, "관찰 예능의 장르화 과정과 스토리텔링 연구—관찰자의 역할을 중심으로" 대중서사학회 25 (25): 217-245, 2019

      37 서지윤, "관찰 예능 프로그램의 초점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38 양진샘, "관찰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재현하는 일상에 관한 비판적 고찰 : ‘나 혼자산다’의 텍스트와 수용자 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39 이동후, "‘뉴’미디어의 이해: 미디어 생태학의 지적 실천과 함의" 한국방송학회 29 (29): 32-66, 2015

      40 안진, "‘교양 프로그램’ 신화의 구성과 해체 : KBS 교양 프로그램 생산과정에 대한 미디어 사회문화사적 접근" 한국외국어대학교 2017

      41 Bryson, N., "Vision and painting: The logic of the gaze" Yale University Press 1983

      42 Gunning, T., "Viewing positions: Ways of seeing film" Rutgers University Press 114-133, 1995

      43 Elsaesser, T., "The new film history as media archaeology" 14 (14): 75-117, 2004

      44 Couldry, N., "The mediated construction of reality" Polity Press 2017

      45 전규찬, "TV 이후의 텔레비전" 한울 85-114, 2012

      46 이설희, "TV 이후의 텔레비전" 한울 85-114, 2012

      47 이미경, "TV 역사드라마의 디지털 기술에 의한 하이퍼리얼리티 형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영상대학원 2009

      48 McCarthy, A., "Reality TV: Remaking television culture" New York Universtiy Press 23-43, 2004

      49 Huhtamo, E., "Media archaeology: Approaches, applications, and implications" U of California Press 2011

      50 이창훈, "CCTV영상의 보도 특성과 선정성, 현실 재현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13 (13): 5-43, 2012

      51 Huhtamo, E., "Book of imaginary media:Excavating the dream of the ultimate communication medium" NAI 74-155, 2006

      52 이상돈, "6 mm 디지털카메라의 사용이 방송프로그램 제작시스템에 미친 영향"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2-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KCI등재
      2005-04-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Broadcasting Studies -> Korean Association for Broadcasting & Telecommunication Studies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 1.3 1.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68 1.972 0.7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