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주지역 화전과 화전세 연구 = The Study on Slash-and-burn cultivation field and Rents in Jej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403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search about slash-and-burn cultivation field and rents in Jeju. The study on slash-and-burn cultivation field is very important in history of Jeju but its good research is very poor. So I researched about historical si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search about slash-and-burn cultivation field and rents in Jeju. The study on slash-and-burn cultivation field is very important in history of Jeju but its good research is very poor. So I researched about historical significance of slash-and-burn cultivation field in Jeju. First, I studied historical progress and change of slash-and-burn cultivation field in Jeju. Also I studied village of slash-and-burn farming and slash-and-burn farmer, Second, I studied about an annual tribute of rents for slash-and-burn farming. I think, that is the cause of farmer’s uprisings in Jeju during late period of Choseon. Meanwhile, academical concerns of slash-and-burn cultivation field in Jeju are very little at that because farmer’s uprisings in Jeju during late period of Choseon and Jeju ‘4.3’. Therefore, We try immediately rumination of historical progress of slash-and-burn farming in Jeju and custom, culture, traditional folklore of slash-and-burn farmers. This exertion make slash-and-burn cultivation field as a key words about historical implication of Jeju agriculture and rural life. And slash-and-burn cultivation field, slash-and-burn farming, slash-and-burn farmer positioning as a major stems in Jeju history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late period of Choseon, Choseon Dynasty perio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제주지역 화전(火田)과 화전세(火田稅)에 관한 연구이다. 제주 근대사의 요체(要諦)라고 여겨지지만 정작 이에 관한 연구는 아주 빈약하다고 할 수 있는 제주지역 화전과 화전세가 ...

      이 글은 제주지역 화전(火田)과 화전세(火田稅)에 관한 연구이다. 제주 근대사의 요체(要諦)라고 여겨지지만 정작 이에 관한 연구는 아주 빈약하다고 할 수 있는 제주지역 화전과 화전세가 가지는 역사적 의미와 실체를 고찰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제주 화전의 역사적 변천 과정을 살펴보려 한다. 그 과정에서 고지도에 나타난 화전마 을과 기존 연구에 나타난 화전민의 생활을 살펴보았다. 이어 구한말 제주지역의 조세 제도와 구한말 제주지역 민란의 주요 원인이었던 화전세의 세폐(稅弊)를 살펴보았다.
      그동안 제주지역의 화전과 화전마을, 화전민에 대한 사회적․ 학문적 관심은 아주 낮은 편이다. 이에는 몇 차례의 제주민란과 ‘제주 4.3’ 등으로 인해 자의적으로 왜곡된 역사적 기억들이 한몫하고 있다. 지금이라도 제주도 화전 농업의 역사적 변천 과정과 경작방법, 그 속에 살아왔던 화전민이 생활 풍속, 문화, 민속 등을 되새기려 노력해야 한다. 이런 노력으로 조선 시대, 구한말, 일제강점기 초기 제주도의 농업사, 농촌생활사를 함축(含蓄)하는 키워드로 ‘화전’을 내세우고, 또 화전․화전 농업․화전민을 제주사(濟 州史)의 엄연한 줄기로 자리매김하게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상학, "「조선 시대 제주도 지도의 시계열적 고찰"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4 : 1-18, 2004

      2 강원도, "화전정리사업 지도 지침"

      3 강원도청, "화전정리사" 1976

      4 오문복, "화전민들의 생활과 경작형태" 高氏宗門會總本部 3 : 215-221, 1987

      5 윤석산, "화전민 연구 ― 화전마을 복원을 위한 제언" 한국언어문화학회 (40) : 185-206, 2009

      6 배영동, "화전농업의 기술과 전승지식의 의의-20세기 경북 영양군 수하리의 사례-" 비교민속학회 (51) : 59-91, 2013

      7 조동규, "한국화전의 분포" 대한지리학회 2 (2): 57-65, 1966

      8 조성윤, "한국전통사회의 구조와 변동" 문학과지성사 209-237, 1986

      9 옥한석, "한국의 화전 농업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한국지리교육학회) 10 : 153-178, 1985

      10 김진봉, "철종 조의 제주민란에 대하여" 한국사학회 21 : 169-192, 1968

      1 오상학, "「조선 시대 제주도 지도의 시계열적 고찰"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4 : 1-18, 2004

      2 강원도, "화전정리사업 지도 지침"

      3 강원도청, "화전정리사" 1976

      4 오문복, "화전민들의 생활과 경작형태" 高氏宗門會總本部 3 : 215-221, 1987

      5 윤석산, "화전민 연구 ― 화전마을 복원을 위한 제언" 한국언어문화학회 (40) : 185-206, 2009

      6 배영동, "화전농업의 기술과 전승지식의 의의-20세기 경북 영양군 수하리의 사례-" 비교민속학회 (51) : 59-91, 2013

      7 조동규, "한국화전의 분포" 대한지리학회 2 (2): 57-65, 1966

      8 조성윤, "한국전통사회의 구조와 변동" 문학과지성사 209-237, 1986

      9 옥한석, "한국의 화전 농업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한국지리교육학회) 10 : 153-178, 1985

      10 김진봉, "철종 조의 제주민란에 대하여" 한국사학회 21 : 169-192, 1968

      11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 "제주의 옛 지도" 1996

      12 "제주삼읍공토조사성책, 州山場新起火田株"

      13 정광중, "제주도의 전작농경문화" 제주도사연구회 7 : 105-120, 1998

      14 진관훈, "제주도 화전연구를 위한 예비적 고찰" 제주도사연구회 12 : 37-72, 2003

      15 박정재 ; 진종헌, "제주 중산간 지역의 과거 경관 변화와 인간 그리고 오름의 환경사적 의미" 대한지리학회 54 (54): 153-163, 2019

      16 김영순, "일제의 토지조사사업과 제주도 지세제도 변화연구" 제주대 대학원 2020

      17 김윤식, "속음청사(續陰晴史)"

      18 권인혁, "변태섭 박사 회갑기념 사학논총" 삼영사 851-875, 1986

      19 "대정군각공토조사성책(大靜郡各公土調査成冊)"

      20 조성윤, "남학당의 활동과 방성칠난" 제주학회 3 : 341-353, 1986

      21 김상호, "韓國農耕文化의 生態學的 硏究: 基底 農耕文化의 考察" 서울대학교 4 : 81-122, 1979

      22 宮塚利雄, "韓國火田民에 관한 史的硏究" 단국대대학원 4 : 277-308, 1980

      23 김석익, "耽羅紀年" 1918

      24 橋本傳左衛門, "火田調査報告書" 朝鮮總督府 1928

      25 조선총독부산림국, "火田調査報告書" 1928

      26 小泉昇平, "火田民生活狀態調査"

      27 善生永助, "火田の現狀"

      28 榤田一二, "濟州島の地理學的硏究" 弘詢社 1976

      29 泉靖一, "濟州島" 東京大學出版會 1971

      30 정연학, "極東先史古代の穀物 2" 熊本大學 2006

      31 久間健一, "朝鮮農業經營地帶の硏究" 東京農業綜合硏究所 448-461, 1950

      32 朝鮮農會, "朝鮮農業發達史" 1944

      33 小田內通敏, "朝鮮の火田民"

      34 松山利夫, "山村の文化地理學的硏究" 古今書院 308-326, 1986

      35 강창일, "1901년의 제주도민 항쟁에 대하여" 제주도사연구회 1 : 91-144, 1991

      36 황성신문, "1901년(광무 5년) 6월 21일자"

      37 김양식, "1901년 제주민란의 재검토" 제주도연구회 6 : 125-165, 1989

      38 이혜경, "1901년 제주민란의 역사적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사회생활과 29 : 19-36, 19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4-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Journal of Cheju Studies -> Society for Jeju Studies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