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본소득의 운동: 프랑스 실업자운동을 중심으로 = Movement of Basic Income: a reflection through the Unemployed people’s movement in F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727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한국의 기본소득 논의가 활발해지는 가운데 비교적 일찍 기본소득에 대한 논의를 이끈 프랑스의 실업자운동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근대 이후 유럽에서 실업과 빈곤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은 빈민법과 실업보험을 거쳐 기본소득까지 이어졌는데, 기본소득의 개념은 위기에 대응하는 일시적 지원이라는 소극적 입장에서부터 사회 평등을 향한 개혁적 입장과 자본주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급진적 입장까지 다양하다. 프랑스에서 실업자운동은 1980년대적응최소소득을 도입할 수 있도록 도왔고, 1990년대에는 불안정운동 세력과 함께 보장소득을주장하는 급진적 입장을 띄었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유럽에서 기본소득의 논의가 후퇴하고경제 위기에서 실업급여가 다시 활성화되는 양상은 소득 보장의 문제를 노동의 문제와 연계해서 이해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최근 한국의 기본소득 논의가 활발해지는 가운데 비교적 일찍 기본소득에 대한 논의를 이끈 프랑스의 실업자운동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근대 이후 유럽에서 실업과 빈곤의 문제를 해결하...

      최근 한국의 기본소득 논의가 활발해지는 가운데 비교적 일찍 기본소득에 대한 논의를 이끈 프랑스의 실업자운동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근대 이후 유럽에서 실업과 빈곤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은 빈민법과 실업보험을 거쳐 기본소득까지 이어졌는데, 기본소득의 개념은 위기에 대응하는 일시적 지원이라는 소극적 입장에서부터 사회 평등을 향한 개혁적 입장과 자본주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급진적 입장까지 다양하다. 프랑스에서 실업자운동은 1980년대적응최소소득을 도입할 수 있도록 도왔고, 1990년대에는 불안정운동 세력과 함께 보장소득을주장하는 급진적 입장을 띄었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유럽에서 기본소득의 논의가 후퇴하고경제 위기에서 실업급여가 다시 활성화되는 양상은 소득 보장의 문제를 노동의 문제와 연계해서 이해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context of Korea where a discussion on basic income is just developed, we can observe the Unemployed people’s movement in France as an important case of basic income demand. Since the Modern Age in Europe, the problem of unemployment and poverty encouraged solutions as like Poor Law, unemployment assurance, and basic income. Plural ideas of basic income were born, from passive position of spontaneous assistance on economic crisis or reformist position for social equality, to radical position anti-capitalist. The Unemployed people’s movement in France in 1980s has helped to adopt the ‘minimum income of adaptation’, and joined with precarious movement, it has become radical through the ‘guaranteed income’ demand. But since 2000s, basic income movement in decline and unemployment assurance revitalized oblige us to see the problem of income with that of labor.
      번역하기

      In the context of Korea where a discussion on basic income is just developed, we can observe the Unemployed people’s movement in France as an important case of basic income demand. Since the Modern Age in Europe, the problem of unemployment and pove...

      In the context of Korea where a discussion on basic income is just developed, we can observe the Unemployed people’s movement in France as an important case of basic income demand. Since the Modern Age in Europe, the problem of unemployment and poverty encouraged solutions as like Poor Law, unemployment assurance, and basic income. Plural ideas of basic income were born, from passive position of spontaneous assistance on economic crisis or reformist position for social equality, to radical position anti-capitalist. The Unemployed people’s movement in France in 1980s has helped to adopt the ‘minimum income of adaptation’, and joined with precarious movement, it has become radical through the ‘guaranteed income’ demand. But since 2000s, basic income movement in decline and unemployment assurance revitalized oblige us to see the problem of income with that of labo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Negri, Antonio, "지배와 사보타지" 중원문화 2012

      2 배화숙, "전국민재난지원금에 대한 신문기사 보도태도 차이·변화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1 (21): 806-816, 2021

      3 Piketty, Thomas, "자본과 이데올로기" 문화동네 2019

      4 조정환, "인지자본주의" 갈무리 2011

      5 림링거, 가스통, "사회복지의 사상과역사: 유럽, 미국, 러시아의 사회정책을 중심으로" 한울 1997

      6 김태근, "미 연방정부의 코로나 19 팬데믹 대응 정책에대한 고찰 : 현금 지원 정책(Economic Impact Payment)을 중심으로"" 13 (13): 21-35, 2020

      7 이관형, "모두의 경제적자유를 위한 기본소득" 다할미디어 80-99, 2020

      8 강남훈, "모두의 경제적 자유를 위한 기본소득" 다할미디어 2020

      9 안토니오 네그리, "디오니소스의 노동" 갈무리 1996

      10 안토니오 네그리, "다중" 세종서적 2008

      1 Negri, Antonio, "지배와 사보타지" 중원문화 2012

      2 배화숙, "전국민재난지원금에 대한 신문기사 보도태도 차이·변화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1 (21): 806-816, 2021

      3 Piketty, Thomas, "자본과 이데올로기" 문화동네 2019

      4 조정환, "인지자본주의" 갈무리 2011

      5 림링거, 가스통, "사회복지의 사상과역사: 유럽, 미국, 러시아의 사회정책을 중심으로" 한울 1997

      6 김태근, "미 연방정부의 코로나 19 팬데믹 대응 정책에대한 고찰 : 현금 지원 정책(Economic Impact Payment)을 중심으로"" 13 (13): 21-35, 2020

      7 이관형, "모두의 경제적자유를 위한 기본소득" 다할미디어 80-99, 2020

      8 강남훈, "모두의 경제적 자유를 위한 기본소득" 다할미디어 2020

      9 안토니오 네그리, "디오니소스의 노동" 갈무리 1996

      10 안토니오 네그리, "다중" 세종서적 2008

      11 김공회, "긴급재난지원금은 기본소득의 마중물인가?" 사회과학연구원 17 (17): 106-128, 2020

      12 권정임, "기본소득의 쟁점과 대안사회" 박종철출판사 2014

      13 임경석, "기본소득의 쟁점과 대안사회" 박종철 출판사 2014

      14 안현효, "기본소득의 쟁점과 대안사회" 박종철 출판사 2014

      15 서정희, "기본소득의 쟁점과 대안사회" 박종철 출판사 2014

      16 이명현, "기본소득의 쟁점과 대안사회" 박종철 출판사 2014

      17 김종철, "기본소득은 틀렸다" 개마고원 2020

      18 곽노완, "기본소득과 사회연대소득의 경제철학"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8 (18): 183-218, 2007

      19 가이스탠딩, "기본소득-일과 삶의 새로운패러다임" 창비 2018

      20 Cunliff, John, "The Enigmatic Legacy of Charles Fourier: Joseph Charlier and Basic Income" 33 (33): 459-484, 2001

      21 Van Parijs, Philippe., "Political Ecology: From Autonomous Sphere to Basic Income" 4 (4): 2009

      22 Caillé, Alain, "Note sur le revenu minimum inconditionnel garanti" (7) : 158-168, 1996

      23 Gorz, André, "Métamorphoses du travail. Quete du sens. Critique de la raison économique" Galile 1988

      24 Royall, Frédéric, "Mobilisations de chômeurs en Irlande (1985-1995)" L’Harmattan 2005

      25 Carni, Martine., "Les associations de chômeurs, un nouvel acteur ?" l’EHESS 1990

      26 Paugam, Serge, "Le revenu minimum d’insertion : les leçons de l’expérience française" 15 (15): 901-907, 1992

      27 Leterme, Cédric, "Le revenu inconditionnel dans et par les discours: analyse lexicométrique et essai de typologie" 109-129, 2018

      28 Corsani, Antonella, "Le revenu garanti comme processus constituant" (10) : 177-185, 2002

      29 Kim, Seung Yeon, "Le mouvement des chômeurs en France. Rites, croyances et dynamique politique" EHESS 2010

      30 Salmon, Jean-Marc, "Le désir de société : des restaurants du coeur au mouvement des chômeurs" Editions La Découverte 1998

      31 Moulier-Boutang, Yann, "Le capitalisme cognitif" 2011

      32 Touraine, Alain, "Le Dictionnaire des Sciences Humaines" PUF 788-790, 2006

      33 Béroud, Sophie, "La difficile mergence d'un mouvement de chmeurs en Espagne (1988-2002)" (21) : 133-156, 2007

      34 Gélot, Didier, "Hier et aujourd’hui le RMI" (7) : 14-15, 1989

      35 Geffroy, Laurent,, "Garantir le revenu, La Découverte"

      36 Bagguley, Paul., "From protest to acquiescence ? :political movement of the unemployed, Chapitre 2" Macmillan 12-36, 1991

      37 Davidson, Peter, "From Basic Income to Poor Law and Back Again: Part 1"

      38 Rius, Pia Valeria, "Entre travail et activité, le mouvement des piqueteros en Argentine" (43) : 41-55, 2007

      39 Euzéby, Chantal, "Du revenu minimum d’insertion au revenu minimum d’existence" (177) : 41-53, 1993

      40 Concialdi, Pierre, "De nouveaux indicateurs ? Pauvreté" La Documentation Françaises (286) : 68-76, 1998

      41 Royall, Frédéric, "Collective action and disadvantaged groups in Ireland and France" 15 : 92-100, 2000

      42 Mansfiled, Malcolm., "Aux sources du chômage, 1880-1914 : une comparaison interdisciplinaire entre la France et la Grande-Bretagne" 1994

      43 Gorz, André, "Adieux au prolétariat, au delà du socialisme" Galilée 198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