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직업군인 자녀가 지각한 부모양육행동이 청소년기 외로움과 자기상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parenting behavior as perceived by the children of professional soldier going through adolescence, in terms of their loneliness and self-im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848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직업군인의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행동이 청소년기 외로움과 자기상으로 본 심리사회적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직업군인의 중․고등학생 자녀 326명이다. 자료분석을 위해 단순회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직업군인 자녀가 지각한 부모 각각의 불신행동은 외로움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심과 가르침의 양육행동은 외로움을 해소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부모의 불신행동은 자기상으로 본 심리적 발달 요인에 부정적인 자기상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 및 친구관계, 대처능력과 신체상 등 사회적 발달 영역에도 부정적인 자기상을 갖도록 하였다. 그러나 지각된 부모의 관심 행동은 정서상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군인 아버지의 존중 행동은 친구관계를 제외한 모든 사회적 발달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부모 모두의 관심행동은 가족관계와 적응력에 긍정적 발달을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업군인의 부모 양육행동은 자아정체감의 형성시기인 청소년기 자녀의 외로움과 전반적인 심리사회적 발달 영역의 자기상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이 입증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직업군인의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행동이 청소년기 외로움과 자기상으로 본 심리사회적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직업군인의 중․...

      본 연구는 직업군인의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행동이 청소년기 외로움과 자기상으로 본 심리사회적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직업군인의 중․고등학생 자녀 326명이다. 자료분석을 위해 단순회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직업군인 자녀가 지각한 부모 각각의 불신행동은 외로움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심과 가르침의 양육행동은 외로움을 해소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부모의 불신행동은 자기상으로 본 심리적 발달 요인에 부정적인 자기상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 및 친구관계, 대처능력과 신체상 등 사회적 발달 영역에도 부정적인 자기상을 갖도록 하였다. 그러나 지각된 부모의 관심 행동은 정서상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군인 아버지의 존중 행동은 친구관계를 제외한 모든 사회적 발달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부모 모두의 관심행동은 가족관계와 적응력에 긍정적 발달을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업군인의 부모 양육행동은 자아정체감의 형성시기인 청소년기 자녀의 외로움과 전반적인 심리사회적 발달 영역의 자기상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이 입증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정하, "한국적 양육행동 척도개발과 타당화 연구" 한국인간발달학회 11 (11): 55-73, 2004

      2 임정하, "한국적 부모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발달특성과의 관계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책임감을 중심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13 (13): 135-151, 2006

      3 김현주, "한국의 군인가족: 고립과 적응을 중심으로" 2 : 303-355, 1994

      4 우민정, "초기 부모자녀 결합형태 및 가족기능과 아동의 외로움과의 관계" 6 (6): 25-43, 2001

      5 허묘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6 권오숙, "청소년의 스트레스 및 자기통제력과 충동구매 경향성과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4 (14): 31-46, 2007

      7 임연진, "청소년의 부모자녀 관계 및 자아존중감과 외로움간의 관계: 고등학교 1학년 남학생을 대상으로" 5 (5): 61-69, 2003

      8 한건환,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경험, 대처방식 및 문제 행동에서 자기존중감의 역할" 한국청소년학회 11 (11): 385-402, 2004

      9 손석한, "청소년기 문제행동과 부모 양육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0 (40): 605-615, 2001

      10 Rice, F. P., "청소년 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1

      1 임정하, "한국적 양육행동 척도개발과 타당화 연구" 한국인간발달학회 11 (11): 55-73, 2004

      2 임정하, "한국적 부모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발달특성과의 관계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책임감을 중심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13 (13): 135-151, 2006

      3 김현주, "한국의 군인가족: 고립과 적응을 중심으로" 2 : 303-355, 1994

      4 우민정, "초기 부모자녀 결합형태 및 가족기능과 아동의 외로움과의 관계" 6 (6): 25-43, 2001

      5 허묘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6 권오숙, "청소년의 스트레스 및 자기통제력과 충동구매 경향성과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4 (14): 31-46, 2007

      7 임연진, "청소년의 부모자녀 관계 및 자아존중감과 외로움간의 관계: 고등학교 1학년 남학생을 대상으로" 5 (5): 61-69, 2003

      8 한건환,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경험, 대처방식 및 문제 행동에서 자기존중감의 역할" 한국청소년학회 11 (11): 385-402, 2004

      9 손석한, "청소년기 문제행동과 부모 양육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0 (40): 605-615, 2001

      10 Rice, F. P., "청소년 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1

      11 이유미, "청소년 스트레스와 인지적 평가에 관한 연구: 광주직할시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4

      12 유성경, "청소년 비행예방 및 개입전략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비행수준별․유형별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 분석" 한국청소년상담원 2000

      13 권지은, "청소년 비행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14 김영숙, "청소년 고독감과 대인관계 만족도 및 반응행동과의 관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2

      15 임익호, "직업군인의 이주 빈도와 가정환경이 자녀의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건양대학교 대학원 2009

      16 이재평, "직업군인론" 글로벌 2008

      17 유영달, "지각된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자기분화 수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2 (12): 91-115, 2010

      18 이주리, "중학생의 부모양육태도와 외현화 증상과의 관계에서 자아통제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탐색" 한국인간발달학회 15 (15): 87-102, 2008

      19 김용석, "자녀에 대한 부모의 통제와 음주의 관계" 39 : 10-22, 1999

      20 이성수,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외로움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21 이춘재, "자기상으로 본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발달 Ⅱ: 인문계와 특수목적고 고등학생들의 비교" 9 (9): 154-166, 1996

      22 이춘재, "자기상으로 본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발달 I: 연령에 따른 차이" 7 (7): 119-135, 1994

      23 이지항, "인터넷 사용량이 인터넷 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재변인 탐색"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3 (13): 15-32, 2005

      24 송요현,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아동 및 청소년의 사회성" 한국아동학회 27 (27): 19-34, 2006

      25 최영희, "아동의 자기능력지각과 어머니의 양육태도-도시와 농촌 비교" 9 : 303-316, 1999

      26 김정운,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청소년의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10 (10): 2287-2301, 2009

      27 가영희,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 및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6 (6): 31-42, 2008

      28 오동재,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년의 정신병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32 : 896-903, 1993

      29 장미경, "부모의 양육태도, 의사소통방식 및 우울과 부모가 지각한 청소년 자녀의 게임중독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7 (17): 47-66, 2010

      30 이은경,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우울성향 및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1 (31): 87-106, 2010

      31 도현심, "부모에 대한 애착 및 또래경험과 초기 청소년의 외로움간의 관계" 20 (20): 33-49, 1996

      32 정태연, "발달심리학 거장들의 핵심이론 연구" 학지사 2004

      33 박은아, "군인자녀의 친구관계와 가정환경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5

      34 이성열, "군인자녀의 전학과 학교적응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대학원 2002

      35 강학성, "군인자녀의 전학, 학교적응, 학업성취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1999

      36 안민국, "군인자녀 교육실태의 분석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3

      37 오기택, "군인가족 부모자녀 관계와 자녀의 적응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대학원 2000

      38 송규탁, "군인 자녀와 일반인 자녀의 친구관계에 관한 연구-충남 G시 중학생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9

      39 이민정, "군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방법과 청소년의 문제행동 및 정서상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40 양영순, "군 복지와 자녀교육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1995

      41 박선영, "가족기능 및 자아존중감과 청소년의 외로움간의 관계" 19 (19): 229-244, 1998

      42 박영배, "가정환경에 따른 군인자녀의 행동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1

      43 Stewart, W., "The role of perceived loneliness and isolation in the relapse from recovery in patients with anorexia and bulimia nervosa" 32 (32): 185-362, 2004

      44 Russell, D.,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evidence" 39 : 472-480, 1980

      45 Rew, L., "Relationships of sexual abuse, connectedness, and loneliness to perceived well-bing in homeless youth" 7 (7): 51-63, 2001

      46 Eisenberg, N., "Relations among positive parenting, children's effortful control, and externalizing problems: A three-wave longitudinal study" 76 (76): 1055-1071, 2005

      47 Baumrind, D., "Reciprocal rights and responsibilities in parent child relations" 34 : 179-189, 1978

      48 Gonzalez, V., "Psychiatry and the Army Brat" C. C. Thomas 1970

      49 Peplau, L. A., "Perspectives on loneliness, In Loneliness: A source 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Wiley & Sons 351-378, 1982

      50 Kagan, J., "Personality development" Harcourt Brace Jovanovich 1971

      51 Wilson, H., "Parental supervision re- examined" 27 : 275-301, 1987

      52 Weiss, R. S., "Loneliness: The experience of emotional and social isolation" MIT Press 1973

      53 Hojat, M., "Loneliness as a function of parent-child and peer relation" 112 : 129-133, 1982

      54 Moore, D., "Loneliness and adolescence: Correlates attribution and coping" 12 : 95-100, 1983

      55 Medora, N., "Loneliness among adolescent college students at a midwestern university" 21 : 391-402, 1986

      56 Baker, S., "Impact of father absence on personality fators of children" 37 : 269-282, 1967

      57 Lyons, J. B., "Family systems, adolescent antisocial behavior, and loneliness: A test of mediating and moderating models"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4

      58 Sabatelli, R. M., "Family system dynamics, peer relationships, and adolescents' psycological adjustment" 40 : 363-369, 1991

      59 Ohannessian, C. M.,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 between perceived parental acceptance, perceptions of the self and emotional adjustment during early adolescence" 25 : 159-183, 1996

      60 Jong-Gierveld, J., "Developing and testing a model of loneliness" 53 : 119-128, 1987

      61 Russell, D., "Developing a measure of loneliness" 42 : 290-294, 1978

      62 Rokach, A., "Criminal offense type and cause of loneliness" 135 (135): 277-291, 2001

      63 Brage, D., "Correlates of loneliness among midwestern adolescents" 28 : 685-694, 1993

      64 Chao, R., "Beyond parental control and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understanding Chinese parenting through the cultural nortion of training" 65 : 1111-1119, 1994

      65 Brennan, T., "Adolescent loneliness: An exploratory study of social and psychological predispositions and theory(vol. 1.)"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Juvenile Problem Division 1979

      66 Petersen, A. C., "A self-image questionnaire for young adolescents (SIQYA):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ies" 13 (13): 93-111, 198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8 1.88 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5 2.02 2.36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