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근로빈곤층의 빈곤지위 변화 결정요인 : 성별과 빈곤유형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6972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determinants of poverty status of the working poor depending on the gender and types of poverty through dynamic analysis. While previous studies on the working poor failed to capture the working poor's frequent reentry into poverty after the initial escape due to characteristics of Korean labor market, this study categorizes poverty considering poverty duration and poverty spell. Then examination of gender differences in the factors influencing changes in poverty status by the types of poverty would follow. Study results would suggest differential policy strategies for the working poor to escape poverty according to their gender and types of poverty.
      Study subjects are men and women in poverty, those who are currentl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ies, the unemployed that had been active in search for employment for the past one month, and those among economically inactive population with an intention of working. Analysis were done with Korean Welfare Panel data from 2006 to 2013. Specifically, survival analysis was employed with the time duration for escaping poverty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factors of human capital, labor market,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social welfare benefits as independent variabl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y, only hourly wag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hange in poverty status of men from the group of 'transitory working poor.' Among women in the same group, hourly wage and eligibility to receive public assistance benefits showed strong influences on their poverty status change. Among the 'consistent working poor,' hourly wage and eligibility to receive public assistance benefits were significantly influential factors on both poor men and women, respectively. It means that few labor market related factors but hourly wage showed any significance on change of poverty status. In other words, as the hourly wage factor represents a typical phenomenon in a polarized labor market, it is essential to produce approaches to change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the labor market, and furthermore, the economic polarization in order to address the problem of low wage. Therefore, discovering supplemental factors other than hourly wage that influence the changes in poverty status would have an important implication for establishing series of strategies against poverty.
      Identification of the factors other than hourly wage that had influence on poverty status revealed the following: for men from the transitory working poor, health conditions and private income transfer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while for women, marital status and receiving public assistance benefit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hange of their poverty status. Men from the consistent working poor tended to have better prospects of changing their poverty status if they were high school graduates, without illness or disease, working for more than 40 hours per week, married, or not receiving public assistance benefits. For women from the same group, the absence of illness or disease, working for more than 20 hours per week, with no dependent children, and not receiving public assistance benefits proved to be effective to bring the change of their poverty status. These outcomes attest to gender differences in determining factors of poverty status change among transitory working poor while gender was not differentiating factor for consistent working poor. In other words, it seemed that no gender gap exists among the consistent working poor.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derived from the research outcome are as follows: to facilitate changes in poverty status of the working poor, firstly, foundation for development of human capital from social investment perspective is a must. In particular, the fact that women’s human capital had no influence on poverty status in the labor market reveals a combination of structural problems embedded in the labor market as well as vulnerability of women’s human capital, which aggravates women’s poverty risk. This calls for integra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within the current labor market in order to secure women's employment stability. Secondly, employment stability must be created in the secondary labor market, which is often the primary employment source for the working poor. This research showed that influence of labor market factor on poverty status was extremely small. This, in turn, serves as a testament to the poor condition of the labor market for the working poor: one can hardly expect participating in the income generating activities in the said market can show a way out of poverty. Thirdly, socialization of care as well as proactive policies for labor market are needed. This study showed high poverty risk of the women with children in the consistent working poor, which means child-caring responsibilities can make these women vulnerable to poverty. As child-care costs and difficulties of being a single mother heap further challenges upon these women, more comprehensive socialization of child-care is necessary. In addition, poverty risk of unmarried men may hinder overall reproduction by delaying creation of independent households such as family formation. Thu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proactive labor market policies targeting these men. Lastly, it is essential to reform and expand of the scope of social insurance policies by establishing social security system responsive to changes in conditions of the working poor and reorganize public assistance system to be more effective for protecting and facilitating rehabilitation of the working poor.
      번역하기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determinants of poverty status of the working poor depending on the gender and types of poverty through dynamic analysis. While previous studies on the working poor failed to capture the working poor's ...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determinants of poverty status of the working poor depending on the gender and types of poverty through dynamic analysis. While previous studies on the working poor failed to capture the working poor's frequent reentry into poverty after the initial escape due to characteristics of Korean labor market, this study categorizes poverty considering poverty duration and poverty spell. Then examination of gender differences in the factors influencing changes in poverty status by the types of poverty would follow. Study results would suggest differential policy strategies for the working poor to escape poverty according to their gender and types of poverty.
      Study subjects are men and women in poverty, those who are currentl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ies, the unemployed that had been active in search for employment for the past one month, and those among economically inactive population with an intention of working. Analysis were done with Korean Welfare Panel data from 2006 to 2013. Specifically, survival analysis was employed with the time duration for escaping poverty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factors of human capital, labor market,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social welfare benefits as independent variabl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y, only hourly wag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hange in poverty status of men from the group of 'transitory working poor.' Among women in the same group, hourly wage and eligibility to receive public assistance benefits showed strong influences on their poverty status change. Among the 'consistent working poor,' hourly wage and eligibility to receive public assistance benefits were significantly influential factors on both poor men and women, respectively. It means that few labor market related factors but hourly wage showed any significance on change of poverty status. In other words, as the hourly wage factor represents a typical phenomenon in a polarized labor market, it is essential to produce approaches to change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the labor market, and furthermore, the economic polarization in order to address the problem of low wage. Therefore, discovering supplemental factors other than hourly wage that influence the changes in poverty status would have an important implication for establishing series of strategies against poverty.
      Identification of the factors other than hourly wage that had influence on poverty status revealed the following: for men from the transitory working poor, health conditions and private income transfer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while for women, marital status and receiving public assistance benefit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hange of their poverty status. Men from the consistent working poor tended to have better prospects of changing their poverty status if they were high school graduates, without illness or disease, working for more than 40 hours per week, married, or not receiving public assistance benefits. For women from the same group, the absence of illness or disease, working for more than 20 hours per week, with no dependent children, and not receiving public assistance benefits proved to be effective to bring the change of their poverty status. These outcomes attest to gender differences in determining factors of poverty status change among transitory working poor while gender was not differentiating factor for consistent working poor. In other words, it seemed that no gender gap exists among the consistent working poor.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derived from the research outcome are as follows: to facilitate changes in poverty status of the working poor, firstly, foundation for development of human capital from social investment perspective is a must. In particular, the fact that women’s human capital had no influence on poverty status in the labor market reveals a combination of structural problems embedded in the labor market as well as vulnerability of women’s human capital, which aggravates women’s poverty risk. This calls for integra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within the current labor market in order to secure women's employment stability. Secondly, employment stability must be created in the secondary labor market, which is often the primary employment source for the working poor. This research showed that influence of labor market factor on poverty status was extremely small. This, in turn, serves as a testament to the poor condition of the labor market for the working poor: one can hardly expect participating in the income generating activities in the said market can show a way out of poverty. Thirdly, socialization of care as well as proactive policies for labor market are needed. This study showed high poverty risk of the women with children in the consistent working poor, which means child-caring responsibilities can make these women vulnerable to poverty. As child-care costs and difficulties of being a single mother heap further challenges upon these women, more comprehensive socialization of child-care is necessary. In addition, poverty risk of unmarried men may hinder overall reproduction by delaying creation of independent households such as family formation. Thu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proactive labor market policies targeting these men. Lastly, it is essential to reform and expand of the scope of social insurance policies by establishing social security system responsive to changes in conditions of the working poor and reorganize public assistance system to be more effective for protecting and facilitating rehabilitation of the working poo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근로빈곤층의 빈곤지위의 결정요인이 성별과 빈곤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동태적 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의 근로빈곤층을 다룬 연구들은 주로 빈곤탈출에 초점을 두고 접근하고 있으나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특성상 빈곤탈출 이후에도 빈곤층의 빈곤 재진입이 빈번한 점이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빈곤지속기간과 빈곤주기를 고려하여 빈곤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빈곤지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성별에 따라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서 근로빈곤층의 빈곤탈출을 위해서 성별과 빈곤유형에 따른 차별적 접근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현재 근로에 참여하고 있거나 지난 1달 간 구직 경험을 가진 실직자, 비경제활동 인구 중 근로의욕을 가진 빈곤한 남성과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복지패널 2006~2013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빈곤탈출 시간을 종속변수로 하고, 인적자본 특성, 노동시장 특성, 가구 특성, 사회보장 제도 특성을 독립변수로 하는 생존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일시 근로빈곤층’ 남성은 시간 당 임금만이 빈곤지위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고 여성은 시간 당 임금과 기초생활수급 여부가 영향력을 보였다. ‘계속 근로빈곤층’ 역시 남성은 시간 당 임금이, 여성은 기초생활수급 여부가 빈곤지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근로빈곤층의 빈곤지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노동시장 특성 중 시간 당 임금 외에 유의미한 요인이 별로 없는 것이다. 그런데 시간 당 임금의 경우는 노동시장 양극화로 나타나는 대표적인 현상으로 저임금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노동시장의 본질적인 구조, 즉, 양극화 현상의 본질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시간당임금 이외에 빈곤지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보완적인 요인을 찾는 것은 빈곤지위 변화를 위한 우선과제와 단계별 과제 전략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점을 시사 해 줄 수 있다. 이에 시간 당 임금을 제외하고 빈곤지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일시 근로빈곤층’의 경우 남성의 빈곤지위 변화에는 건강상태와 사적 이전 소득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고 여성은 결혼지위와 기초생활 수급여부가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계속 근로빈곤층’남성은 고등학교 졸업 이상 의 학력, 질병이 없고, 40시간 이상 근로하며, 유배우자이고 기초생활 수급자가 아닐 때 빈곤지위 변화 가능성이 높았고, 여성은 질병이 없고, 근로시간이 20시간 이상이며, 함께 동거하는 아동이 없고, 유배우자이며, 기초생활 수급자가 아닌 경우 빈곤지위 변화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일시 근로빈곤층’의 경우 성별에 따라 빈곤지위 변화의 결정요인이 차이를 보였으나 ‘계속 근로빈곤층’의 경우에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두드러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즉, 지속적으로 빈곤에 노출된 ‘계속 근로빈곤층’의 경우 이미 빈곤과 관련된 젠더 격차가 무너져 빈곤수준이나 빈곤지위 변화가능성 등이 남·녀 간에 상당히 유사하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근로빈곤층의 빈곤지위 변화를 위해서는 첫째, 사회투자적 관점에서 인적자본을 개발할 수 있도록 제반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 근로빈곤층 여성들의 교육수준이 중졸 이하인 경우가 절반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임시·일용직 근로 참여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인적자본의 취약과 고용불안정이 빈곤위험을 가중시키는 것으로 보이는바 교육과 훈련이 노동시장과 통합되어 고용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근로빈곤층이 주로 머물고 있는 2차 노동시장의 고용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노동시장 요인은 빈곤지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매우 미미하였다. 이는 근로빈곤층 노동자들이 노동시장에 참여하여 소득활동을 해도 빈곤지위에서 벗어나리란 기대를 할 수 없을 정도로 그들이 참여하는 노동시장이 매우 열악함을 방증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셋째, 돌봄의 사회화 및 적극적인 노동시장 정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계속 근로빈곤층’ 여성들이 자녀가 있는 경우 빈곤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돌봄에 대한 부담이 상당한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는 자녀양육으로 인한 지출부담까지 작용했을 것으로 보이므로 돌봄의 사회화가 좀 더 포괄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미혼남성의 빈곤위험은 가족형성과 같은 독립적인 삶의 이행에 지체를 가져와 전반적인 재생산 위기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들을 대상으로 한 적극적인 노동시장 정책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 넷째, 여건변화에 맞는 사회보장체계를 마련하여 근로자들이 사회안전망의 보호 하에 근로참여와 빈곤탈출이 가능하도록 사회보험제도의 확대개편이 필요하며 기초생활보장제도가 근로빈곤층의 보호와 자활 목적에 실효성을 갖도록 제도를 정비해야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근로빈곤층의 빈곤지위의 결정요인이 성별과 빈곤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동태적 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의 근로빈곤층을 다룬 연구들...

      본 연구는 근로빈곤층의 빈곤지위의 결정요인이 성별과 빈곤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동태적 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의 근로빈곤층을 다룬 연구들은 주로 빈곤탈출에 초점을 두고 접근하고 있으나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특성상 빈곤탈출 이후에도 빈곤층의 빈곤 재진입이 빈번한 점이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빈곤지속기간과 빈곤주기를 고려하여 빈곤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빈곤지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성별에 따라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서 근로빈곤층의 빈곤탈출을 위해서 성별과 빈곤유형에 따른 차별적 접근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현재 근로에 참여하고 있거나 지난 1달 간 구직 경험을 가진 실직자, 비경제활동 인구 중 근로의욕을 가진 빈곤한 남성과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복지패널 2006~2013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빈곤탈출 시간을 종속변수로 하고, 인적자본 특성, 노동시장 특성, 가구 특성, 사회보장 제도 특성을 독립변수로 하는 생존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일시 근로빈곤층’ 남성은 시간 당 임금만이 빈곤지위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고 여성은 시간 당 임금과 기초생활수급 여부가 영향력을 보였다. ‘계속 근로빈곤층’ 역시 남성은 시간 당 임금이, 여성은 기초생활수급 여부가 빈곤지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근로빈곤층의 빈곤지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노동시장 특성 중 시간 당 임금 외에 유의미한 요인이 별로 없는 것이다. 그런데 시간 당 임금의 경우는 노동시장 양극화로 나타나는 대표적인 현상으로 저임금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노동시장의 본질적인 구조, 즉, 양극화 현상의 본질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시간당임금 이외에 빈곤지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보완적인 요인을 찾는 것은 빈곤지위 변화를 위한 우선과제와 단계별 과제 전략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점을 시사 해 줄 수 있다. 이에 시간 당 임금을 제외하고 빈곤지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일시 근로빈곤층’의 경우 남성의 빈곤지위 변화에는 건강상태와 사적 이전 소득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고 여성은 결혼지위와 기초생활 수급여부가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계속 근로빈곤층’남성은 고등학교 졸업 이상 의 학력, 질병이 없고, 40시간 이상 근로하며, 유배우자이고 기초생활 수급자가 아닐 때 빈곤지위 변화 가능성이 높았고, 여성은 질병이 없고, 근로시간이 20시간 이상이며, 함께 동거하는 아동이 없고, 유배우자이며, 기초생활 수급자가 아닌 경우 빈곤지위 변화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일시 근로빈곤층’의 경우 성별에 따라 빈곤지위 변화의 결정요인이 차이를 보였으나 ‘계속 근로빈곤층’의 경우에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두드러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즉, 지속적으로 빈곤에 노출된 ‘계속 근로빈곤층’의 경우 이미 빈곤과 관련된 젠더 격차가 무너져 빈곤수준이나 빈곤지위 변화가능성 등이 남·녀 간에 상당히 유사하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근로빈곤층의 빈곤지위 변화를 위해서는 첫째, 사회투자적 관점에서 인적자본을 개발할 수 있도록 제반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 근로빈곤층 여성들의 교육수준이 중졸 이하인 경우가 절반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임시·일용직 근로 참여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인적자본의 취약과 고용불안정이 빈곤위험을 가중시키는 것으로 보이는바 교육과 훈련이 노동시장과 통합되어 고용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근로빈곤층이 주로 머물고 있는 2차 노동시장의 고용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노동시장 요인은 빈곤지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매우 미미하였다. 이는 근로빈곤층 노동자들이 노동시장에 참여하여 소득활동을 해도 빈곤지위에서 벗어나리란 기대를 할 수 없을 정도로 그들이 참여하는 노동시장이 매우 열악함을 방증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셋째, 돌봄의 사회화 및 적극적인 노동시장 정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계속 근로빈곤층’ 여성들이 자녀가 있는 경우 빈곤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돌봄에 대한 부담이 상당한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는 자녀양육으로 인한 지출부담까지 작용했을 것으로 보이므로 돌봄의 사회화가 좀 더 포괄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미혼남성의 빈곤위험은 가족형성과 같은 독립적인 삶의 이행에 지체를 가져와 전반적인 재생산 위기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들을 대상으로 한 적극적인 노동시장 정책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 넷째, 여건변화에 맞는 사회보장체계를 마련하여 근로자들이 사회안전망의 보호 하에 근로참여와 빈곤탈출이 가능하도록 사회보험제도의 확대개편이 필요하며 기초생활보장제도가 근로빈곤층의 보호와 자활 목적에 실효성을 갖도록 제도를 정비해야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문제와 연구모형 7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문제와 연구모형 7
      • Ⅱ. 이론적 배경 8
      • 1. 사회경제적 변화와 근로빈곤층의 출현 8
      • 2. 근로빈곤층의 이해 11
      • 3. 근로빈곤에 관한 이론적 논의 18
      • 4. 근로빈곤층의 빈곤지위 변화 결정요인에 관한 선행연구 27
      • Ⅲ. 연구방법 40
      • 1. 분석자료 및 분석대상 40
      • 2. 분석방법 43
      • 3. 주요변수에 대한 설명 49
      • Ⅳ. 연구결과 56
      • 1. 근로빈곤층의 일반적 특성 56
      • 2. 빈곤지위 변화 모형의 분석 결과 61
      • Ⅴ. 논의 및 결론 82
      • 1. 연구결과 요약 82
      • 2. 논의 및 연구의 함의 83
      • 3. 소결 93
      • 4.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의 방향 94
      • 참고문헌 96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송혜향, 정갑도, 이원철, "생존분석", 청문각, 2007

      2 이정우, "소득분배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서울, 1996

      3 김창엽, "빈곤과 건강", 한울, 한울, 2003

      4 이병희, 반정호, "소득분배(1982~2006)", 한국노동연구원, 노동리뷰,2008(3),69-73, 2008

      5 남재량, 전영준, 안태현, 안종범, "근로빈곤 대책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9

      6 신광영, "노동운동과 공공성", 문화과학,23,76-94, 2000

      7 신경아, "시간제 노동과 성평등", 한국여성학.30(1), 2013

      8 최경수, "한국의 빈곤기간 구조", 제8회 한국노동패널 학술대회 발표문, 2007

      9 이병희 ( Byung Hee Lee ), 반정호(Jung-Ho Ban), "근로빈곤층의 실태와 동학", 한국사회과학연구소, 동향과 전망, 75,215-244, 2009

      10 김혜연, 홍백의, "빈곤의 여성화: 경향 및 원인", 한국사회복지학,59(3),125-146, 2007

      1 송혜향, 정갑도, 이원철, "생존분석", 청문각, 2007

      2 이정우, "소득분배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서울, 1996

      3 김창엽, "빈곤과 건강", 한울, 한울, 2003

      4 이병희, 반정호, "소득분배(1982~2006)", 한국노동연구원, 노동리뷰,2008(3),69-73, 2008

      5 남재량, 전영준, 안태현, 안종범, "근로빈곤 대책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9

      6 신광영, "노동운동과 공공성", 문화과학,23,76-94, 2000

      7 신경아, "시간제 노동과 성평등", 한국여성학.30(1), 2013

      8 최경수, "한국의 빈곤기간 구조", 제8회 한국노동패널 학술대회 발표문, 2007

      9 이병희 ( Byung Hee Lee ), 반정호(Jung-Ho Ban), "근로빈곤층의 실태와 동학", 한국사회과학연구소, 동향과 전망, 75,215-244, 2009

      10 김혜연, 홍백의, "빈곤의 여성화: 경향 및 원인", 한국사회복지학,59(3),125-146, 2007

      11 김윤태, 서재욱, "한국의 복지태도와 복지제도", 동향과 전망, 90,331-378, 2013

      12 이혜숙, 임은하, "빈곤가정의 빈곤화 과정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한국가족복지학,10226, 2009

      13 김희삼, "사적소득이전과 노후소득보장", 한국개발연구,30(1),71-130, 2008

      14 노혜진, "“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빈곤”", 한국여성연구소, 페미니즘 연구.13(2),1-34, 2013

      15 이병희, "경제적 불평등과 노동시장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노동연구원, 2013

      16 이상은, "한국에서의 빈곤의 세대간 이전", 한국사회복지학,60(2),53-76, 2008

      17 김미곤, "2010년 기초보장제도 변화와 전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159,45-53, 2010

      18 김혜연, 홍백의, "빈곤의 여성화(Feminization ofpoverty)",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59(3),119-142, 2007

      19 김태완, 윤상용, "“장애인 소득보장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138,81-91, 2009

      20 김종숙, "“여성취업의 빈곤완화 효과분석”", 한국여성경제학회, 여성경제연구, 10(2),55-73, 2013

      21 김교성 ( Kyo Seong Kim ), 이주환 ( Ju Hwan Lee ), "근로빈곤층의 빈곤이력과 노동경력",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가을,323-346, 2013

      22 석상훈, "저소득계층의 빈곤이행과 소득변화", 한국사회보장학,26(3),25-47, 2010

      23 이병희, "“근로빈곤의 추이와 동태적 변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18, 2011

      24 고영선, "우리나라 복지논쟁의 문제점과 대안", 한국경제연구원, 한국경제연구원,2011(3),54-87, 2011

      25 손병돈, "공적 소득이전과 사적 소득이전의 관계", 사회복지연구,겨울,343-346, 2008

      26 전대성, 최상설, "근로빈곤을 결정짓는 요인에 관한 연구", 21세기사회복지학회, 21세기사회복지연구,10(1),93-121, 2013

      27 이병희, "근로빈곤의 노동시장 요인과 빈곤 동학", 경제발전연구,16(1),93-116, 2010

      28 금재호, "노동시장 양극화 극복을 위한 정책과제", 한국응용경제학,13(2),131-168, 2011

      29 석재은, "한국의 빈곤의 여성화에 대한 실증 분석", 한국사회복지학,56(2),167-194, 2004

      30 김연명, "“빈곤’문제와 참여연대의 대응 방향”", 월간복지동향, 100,30-32, 2007

      31 박재규, "여성가구주의 빈곤화와 사회경제적 특성", 보건과 사회과학,13,81-112, 2003

      32 김광혁, 오승환, "가족빈곤이 고교진학 유형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28(4), 2012

      33 박보영, "신빈곤을 통해 본 양극화시대의 빈곤문제", 노동연구,19,5-45, 2010

      34 김교성, 최영, "근로계층의 빈곤 결정요인에 관한 다층분석", 한국사회복지학,58(2),19-141, 2006

      35 여유진, "“경제위기에 따른 공공부조제도 확충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148,56-62, 2009

      36 양재진, "사회투자국가론과 한국에의 적용가능성 검토",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회동계학술대회 자료집, 2006

      37 김수영, 이강훈, "이전소득의 독거노인가구 빈곤경감효과 비교", 한국노년학회, 한국노년학,29(4),1559-1575, 2009

      38 김안나, "“한국 근로빈곤층의 특성과 결정요인 분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사회복지 정책,145-168, 2007

      39 임세희, "빈곤탈출 결정요인:경제활동 특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40 채구묵, "“OECD 주요국의 실업급여제도의 유형별 비교”", 한국사회학,45(1),1-36, 2011

      41 전병유, "“근로빈곤층 고용서비스의 쟁점과 개선방안”", 보건복지포럼,197, 2013

      42 이병희, "“노동시장 여건변화와 인적자원개발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노동리뷰,2005(2),13-22, 2005

      43 변금선,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가 노동공급에 미치는 효과", 노동정책연구.5(2).31-64, 2005

      44 금재호, "외환위기 이후 한국의 근로빈곤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경제학,29(1),41-73, 2006

      45 김환준, "1980년대 이후 OECD 국가의 사회보장비지출 변화추세", 사회복지연구,57(1),271-297, 2008

      46 구인회, "빈곤의 동태적 분석 : 빈곤지속기간과 그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57(2),82-112, 2005

      47 노대명, "새로운 도시빈곤으로서 근로빈곤층의 발생과 대책", 한국지역지리학회지,12(6),671-692, 2007

      48 강신욱, "빈곤의 지속성과 반복성을 고려한 빈곤정책의 방향", 경제발전연구,15(2),263-286, 2009

      49 최옥금, "근로빈곤층의 정의에 따른 직업 배열의 탐색적 고찰", 한국사회정책,16(1),123-161, 2009

      50 김민경, 황남희, 김철희, "비정규직 교육훈련의 임금 및 정규직 전환효과 분석",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정책분석평가학회보,23(2),87-107, 2013

      51 김은정, 진미정, "빈곤 여성가장 가족의 소득구성과 물질적 곤궁 경험",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27,163-188, 2005

      52 윤정향, 황덕순, 윤자영, 전병유, "노동시장 양극화 해소방안 연구:저임금근로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013

      53 김환준, "누가 왜 빈곤에 빠지는가? 빈곤진입자의 특성 및 요인", 사회복지연구,42(4),365-388, 2011

      54 윤윤규, "저임금근로자의 노동시장 이행경로 및 결정요인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노동연구원, 2011

      55 홍경준, "근로빈곤층에 대한 탐색적 연구: 개념정의와 실태파악", 한국사회복지학,57(2),119-142, 2005

      56 노대명, 최병두, 조명래, 류정순, "“새로운 도시빈곤으로서 근로빈곤층의 발생과 대책”", 한국지역지리학회, 한국지역지리학,12(6),671-692, 2006

      57 김영미, "스웨덴의 시간제근로: 유연성과 성평등의 긴장 속 공존", 산업노동연구,17(1),297-323, 2011

      58 여지영, "“여성가구주와 남성가구주의 빈곤 차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59 김환준, "우리나라 빈곤가구의 빈곤지속기간에 대한 동태적 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65(3),183-206, null

      60 이병희, "“빈곤의 시간적 차원 분석에 기반한 빈곤정책적 함의”", 한국사회보장학회, 사회보장연구,29(2).237-259, 2013

      61 김수정, "“여성가구주 가구의 빈곤원인과 빈곤위험의 젠터격차”", 페미니즘연구,7(1),93-133, 2007

      62 성명재, "조세?재정의 재분배 효과: 간접세 및 현금급여를 중심으로", 한국조세연구원, 2007

      63 김영제, 김판석, "비행 하위문화이론에 나타난 빈곤과 범죄의 사회학적 고찰",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한국위기관리논집,7(3), 2011

      64 김은하, "여성의 빈곤지위 변동을 설명하는 페미니즘의 유효성 탐색",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65 홍경준, "“공적 소득이전의 분배효과 분석:근로빈곤층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사회복지정책,38(2),65-88, 2011

      66 홍경준, "“공적 소득이전의 분배효과 분석 :근로빈곤층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65-88, 2009

      67 심복자, "근로빈곤층 고용서비스의 정합성 연구 :구로지역을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성공회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68 기재량, "근로빈곤층의 빈곤탈출 결정요인 :노동시장 요인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69 권순애, 이강훈, 이오복, 여유진, 김영종, "공적이전소득의 소득재분배효과 및 사회복지정책 프로그램 분석", 보건복지가족부, 2008

      70 이성균, 김영미, "한국 서비스산업 확대는 남녀임금격차에 어떠한영향을 미치는가", 한국사회학 44(1),1-25, 2010

      71 최옥금, "“근로빈곤층의 직업력 분석 :비빈곤층과의 비교를 중심으103로”", 한국사회복지학,60(4),55-77, 2008

      72 조민수, "대졸자의 노동시장 이행에 관한 실증연구 :성공률, 기간, 임금차이",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73 이순아, 조막래, "가구 생계부양형태에 따른 빈곤지속기간과 빈곤탈출확률 결정요인", 한국지역발전학회, 지역발전연구,11(2),181-214, 2012

      74 신석하 ( Suk Ha Shin ), "경제위기 이후 기술 변화가 미숙련 근로자의 고용상황에 미친 영향", 한국개발연구원, 한국개발연구,29(1),1-39, 2007

      75 최은영, "“한국 가족정책 방향설정을 위한 성찰 :가족과 노동시장의특수성”",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생활과학 연구논총.16(2).1-14, 2012

      76 김진욱, "노후소득의 혼합구성과 이전소득의 빈곤감소효과에 관한 국제비교연구", 한국노년학,31(1),111-127, 2011

      77 장혜림, 정익중, "빈곤과 가족구조 결손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영향을 미치는 발달경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한국가족복지학,37, 2012

      78 구인희, "빈곤층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빈곤이행 경제위기 이후의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48,82-112, 2002

      79 이시균, "노동시장에 대한 경제학적 접근:최저임금이 근로빈곤탈출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업노동학회, 산업노동연구,19(1),35-64, 2013

      80 이래혁, "근로빈곤층의 빈곤기간에 관한 연구:가구유형과 노동시장특성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81 김학주, "빈곤층의 의료비지출 과부담에 관한 연구 : 의료급여 수급여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9(1),229-254, 2008

      82 김진욱, 고은주, "“한국 소득이전 빈곤감소 효과의 성분화:2000-2010빈곤 의여성화 추이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사회복지정책,39(1),23-53, 2012

      83 최은영, "강요된 선택으로서의 장시간 노동과 요원한 일-가족 양립:또 하나의 예외성",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10

      84 김유선, "“노동시장 및 노사관계:주 40시간 근무제가 노동자 여가생활에 미친 영향”", 산업노동연구,17(1),37-71, 2011

      85 김광혁, 장화정, "빈곤과 가족소득이 아동 신체학대에 미치는 영향:부와 모의 학대를 중심으로", 한국아동권리학회, 아동과 권리,10(2), 2006

      86 여유진, 송치호, "한부모가구와 양부모가구 간 빈곤율 차이에 대한요인분해 :미국과의 비교연구", 한국사회정책학회, 한국사회정책,17(3),223-255, 2010

      87 구인회, 백학영, "“비정규 노동과 근로빈곤의 관계: 임금차별과 근로시간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노동정책연구,10(3),87-117, 2010

      88 장지연, "복지국가 고용보호와 사회적 보호의 결합양식:1980년대 이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012

      89 김이배, "빈곤의 세대간 이전 과정에 관한 생애사 연구: 30~40대 자활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3

      90 윤혜미, "경제적 곤란과 가족갈등이 아동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아동의 대처방식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NRF), 2003

      91 지은정, "근로빈곤층의 빈곤탈출 결정요인 연구:근로빈곤노동시장의 경로제약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59(3),147-174, 2007

      92 최옥금, "근로빈곤층의 ‘괜찮은 일자리(Decent Job)' 이동에 관한 연구 : 임금일자리를 중심으로", 노동정책연구,5(2),1-42, 2005

      93 김주현, 한상완, 주원, 장후석, 백흥기, "최근 10년간 일자리 구조변화의 특징 -고용 불안정성이 높은 저소득 임금근로자 비중", VIP리포트 13-12(522호),1-15, 2013

      94 유태균, 박효진, "여성가구주 빈곤가구와 남성가구주 빈곤가구 간의 빈곤탈피 영향 요인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사회보장연구,29-58, 2009

      95 옥우석, "“1997년 금융위기 전후 기업 특성별 고용조정 행태의 변화: 상장기업데이터를 활용한 분석”", 한국경제발전학, 17(1),245-269, 2011

      96 김진욱, "“쟁점과 대안:2011년 비정규직 규모와 실태:통계청.“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2012.3)결과”", 노동사회,165,46-85, 2012

      97 노대명, "“한국 공공부조제도의 패러다임 전환 필요성에 대한 고찰-99제도구성체계의 개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18(1),83-117, 2011

      98 허수연, "“복지국가의 자녀유무별 여성임금격차 비교연구 :가족정책과 노동시장구조의 영향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1(2),279-308, 2010

      99 김주경, "“헌법상 건강권 및 의료접근권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입법배경 및 사회문화적 관점을 중심으로”", 강원법학,36,233-262, 2011

      100 김효정, "공적 소득이전 정책의 정책대상별 규모와 효과에 관한 분석:사회복지지출과 조세지출의 통합적 접근",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정책학박사학위 논문, 2014

      101 변금선, "청년층의 근로빈곤 요인에 관한 연구 -고용불안정과 고용상태가 빈곤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64(3),257-279, 2012

      102 변금선, "“청년층의 근로빈곤 요인에 관한 연구 :고용불안정과 고용상태가 빈곤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64(3), 2013

      103 김혜영, 이은주, 윤홍식, "절대 및 차상위 빈곤선을 통해 본 여성가구주 가구의 빈곤지위 결정에 관한 연구 :저소득 여성가구주 가구를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21(3),263-293, 2007

      104 김혜영, 이은주, 윤홍식, "절대 및 차상위 빈곤선을 통해본 여성가구주 가구의 빈곤지위 결정에 관한 연구:저소득 여성가구주 가구101를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21(3),263-288, 2005

      105 곽지영, 김유심, "빈곤여성가장의 생활사건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가족응집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거주 18세 미만 자녀를 둔 여성을 중심으로", 서울도시 연구,11(1),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