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송혜향, 정갑도, 이원철, "생존분석", 청문각, 2007
2 이정우, "소득분배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서울, 1996
3 김창엽, "빈곤과 건강", 한울, 한울, 2003
4 이병희, 반정호, "소득분배(1982~2006)", 한국노동연구원, 노동리뷰,2008(3),69-73, 2008
5 남재량, 전영준, 안태현, 안종범, "근로빈곤 대책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9
6 신광영, "노동운동과 공공성", 문화과학,23,76-94, 2000
7 신경아, "시간제 노동과 성평등", 한국여성학.30(1), 2013
8 최경수, "한국의 빈곤기간 구조", 제8회 한국노동패널 학술대회 발표문, 2007
9 이병희 ( Byung Hee Lee ), 반정호(Jung-Ho Ban), "근로빈곤층의 실태와 동학", 한국사회과학연구소, 동향과 전망, 75,215-244, 2009
10 김혜연, 홍백의, "빈곤의 여성화: 경향 및 원인", 한국사회복지학,59(3),125-146, 2007
11 김윤태, 서재욱, "한국의 복지태도와 복지제도", 동향과 전망, 90,331-378, 2013
12 이혜숙, 임은하, "빈곤가정의 빈곤화 과정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한국가족복지학,10226, 2009
13 김희삼, "사적소득이전과 노후소득보장", 한국개발연구,30(1),71-130, 2008
14 노혜진, "“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빈곤”", 한국여성연구소, 페미니즘 연구.13(2),1-34, 2013
15 이병희, "경제적 불평등과 노동시장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노동연구원, 2013
16 이상은, "한국에서의 빈곤의 세대간 이전", 한국사회복지학,60(2),53-76, 2008
17 김미곤, "2010년 기초보장제도 변화와 전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159,45-53, 2010
18 김혜연, 홍백의, "빈곤의 여성화(Feminization ofpoverty)",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59(3),119-142, 2007
19 김태완, 윤상용, "“장애인 소득보장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138,81-91, 2009
20 김종숙, "“여성취업의 빈곤완화 효과분석”", 한국여성경제학회, 여성경제연구, 10(2),55-73, 2013
21 김교성 ( Kyo Seong Kim ), 이주환 ( Ju Hwan Lee ), "근로빈곤층의 빈곤이력과 노동경력",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가을,323-346, 2013
22 석상훈, "저소득계층의 빈곤이행과 소득변화", 한국사회보장학,26(3),25-47, 2010
23 이병희, "“근로빈곤의 추이와 동태적 변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18, 2011
24 고영선, "우리나라 복지논쟁의 문제점과 대안", 한국경제연구원, 한국경제연구원,2011(3),54-87, 2011
25 손병돈, "공적 소득이전과 사적 소득이전의 관계", 사회복지연구,겨울,343-346, 2008
26 전대성, 최상설, "근로빈곤을 결정짓는 요인에 관한 연구", 21세기사회복지학회, 21세기사회복지연구,10(1),93-121, 2013
27 이병희, "근로빈곤의 노동시장 요인과 빈곤 동학", 경제발전연구,16(1),93-116, 2010
28 금재호, "노동시장 양극화 극복을 위한 정책과제", 한국응용경제학,13(2),131-168, 2011
29 석재은, "한국의 빈곤의 여성화에 대한 실증 분석", 한국사회복지학,56(2),167-194, 2004
30 김연명, "“빈곤’문제와 참여연대의 대응 방향”", 월간복지동향, 100,30-32, 2007
31 박재규, "여성가구주의 빈곤화와 사회경제적 특성", 보건과 사회과학,13,81-112, 2003
32 김광혁, 오승환, "가족빈곤이 고교진학 유형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28(4), 2012
33 박보영, "신빈곤을 통해 본 양극화시대의 빈곤문제", 노동연구,19,5-45, 2010
34 김교성, 최영, "근로계층의 빈곤 결정요인에 관한 다층분석", 한국사회복지학,58(2),19-141, 2006
35 여유진, "“경제위기에 따른 공공부조제도 확충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148,56-62, 2009
36 양재진, "사회투자국가론과 한국에의 적용가능성 검토",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회동계학술대회 자료집, 2006
37 김수영, 이강훈, "이전소득의 독거노인가구 빈곤경감효과 비교", 한국노년학회, 한국노년학,29(4),1559-1575, 2009
38 김안나, "“한국 근로빈곤층의 특성과 결정요인 분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사회복지 정책,145-168, 2007
39 임세희, "빈곤탈출 결정요인:경제활동 특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40 채구묵, "“OECD 주요국의 실업급여제도의 유형별 비교”", 한국사회학,45(1),1-36, 2011
41 전병유, "“근로빈곤층 고용서비스의 쟁점과 개선방안”", 보건복지포럼,197, 2013
42 이병희, "“노동시장 여건변화와 인적자원개발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노동리뷰,2005(2),13-22, 2005
43 변금선,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가 노동공급에 미치는 효과", 노동정책연구.5(2).31-64, 2005
44 금재호, "외환위기 이후 한국의 근로빈곤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경제학,29(1),41-73, 2006
45 김환준, "1980년대 이후 OECD 국가의 사회보장비지출 변화추세", 사회복지연구,57(1),271-297, 2008
46 구인회, "빈곤의 동태적 분석 : 빈곤지속기간과 그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57(2),82-112, 2005
47 노대명, "새로운 도시빈곤으로서 근로빈곤층의 발생과 대책", 한국지역지리학회지,12(6),671-692, 2007
48 강신욱, "빈곤의 지속성과 반복성을 고려한 빈곤정책의 방향", 경제발전연구,15(2),263-286, 2009
49 최옥금, "근로빈곤층의 정의에 따른 직업 배열의 탐색적 고찰", 한국사회정책,16(1),123-161, 2009
50 김민경, 황남희, 김철희, "비정규직 교육훈련의 임금 및 정규직 전환효과 분석",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정책분석평가학회보,23(2),87-107, 2013
51 김은정, 진미정, "빈곤 여성가장 가족의 소득구성과 물질적 곤궁 경험",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27,163-188, 2005
52 윤정향, 황덕순, 윤자영, 전병유, "노동시장 양극화 해소방안 연구:저임금근로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013
53 김환준, "누가 왜 빈곤에 빠지는가? 빈곤진입자의 특성 및 요인", 사회복지연구,42(4),365-388, 2011
54 윤윤규, "저임금근로자의 노동시장 이행경로 및 결정요인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노동연구원, 2011
55 홍경준, "근로빈곤층에 대한 탐색적 연구: 개념정의와 실태파악", 한국사회복지학,57(2),119-142, 2005
56 노대명, 최병두, 조명래, 류정순, "“새로운 도시빈곤으로서 근로빈곤층의 발생과 대책”", 한국지역지리학회, 한국지역지리학,12(6),671-692, 2006
57 김영미, "스웨덴의 시간제근로: 유연성과 성평등의 긴장 속 공존", 산업노동연구,17(1),297-323, 2011
58 여지영, "“여성가구주와 남성가구주의 빈곤 차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59 김환준, "우리나라 빈곤가구의 빈곤지속기간에 대한 동태적 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65(3),183-206, null
60 이병희, "“빈곤의 시간적 차원 분석에 기반한 빈곤정책적 함의”", 한국사회보장학회, 사회보장연구,29(2).237-259, 2013
61 김수정, "“여성가구주 가구의 빈곤원인과 빈곤위험의 젠터격차”", 페미니즘연구,7(1),93-133, 2007
62 성명재, "조세?재정의 재분배 효과: 간접세 및 현금급여를 중심으로", 한국조세연구원, 2007
63 김영제, 김판석, "비행 하위문화이론에 나타난 빈곤과 범죄의 사회학적 고찰",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한국위기관리논집,7(3), 2011
64 김은하, "여성의 빈곤지위 변동을 설명하는 페미니즘의 유효성 탐색",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65 홍경준, "“공적 소득이전의 분배효과 분석:근로빈곤층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사회복지정책,38(2),65-88, 2011
66 홍경준, "“공적 소득이전의 분배효과 분석 :근로빈곤층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65-88, 2009
67 심복자, "근로빈곤층 고용서비스의 정합성 연구 :구로지역을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성공회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68 기재량, "근로빈곤층의 빈곤탈출 결정요인 :노동시장 요인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69 권순애, 이강훈, 이오복, 여유진, 김영종, "공적이전소득의 소득재분배효과 및 사회복지정책 프로그램 분석", 보건복지가족부, 2008
70 이성균, 김영미, "한국 서비스산업 확대는 남녀임금격차에 어떠한영향을 미치는가", 한국사회학 44(1),1-25, 2010
71 최옥금, "“근로빈곤층의 직업력 분석 :비빈곤층과의 비교를 중심으103로”", 한국사회복지학,60(4),55-77, 2008
72 조민수, "대졸자의 노동시장 이행에 관한 실증연구 :성공률, 기간, 임금차이",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73 이순아, 조막래, "가구 생계부양형태에 따른 빈곤지속기간과 빈곤탈출확률 결정요인", 한국지역발전학회, 지역발전연구,11(2),181-214, 2012
74 신석하 ( Suk Ha Shin ), "경제위기 이후 기술 변화가 미숙련 근로자의 고용상황에 미친 영향", 한국개발연구원, 한국개발연구,29(1),1-39, 2007
75 최은영, "“한국 가족정책 방향설정을 위한 성찰 :가족과 노동시장의특수성”",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생활과학 연구논총.16(2).1-14, 2012
76 김진욱, "노후소득의 혼합구성과 이전소득의 빈곤감소효과에 관한 국제비교연구", 한국노년학,31(1),111-127, 2011
77 장혜림, 정익중, "빈곤과 가족구조 결손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영향을 미치는 발달경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한국가족복지학,37, 2012
78 구인희, "빈곤층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빈곤이행 경제위기 이후의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48,82-112, 2002
79 이시균, "노동시장에 대한 경제학적 접근:최저임금이 근로빈곤탈출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업노동학회, 산업노동연구,19(1),35-64, 2013
80 이래혁, "근로빈곤층의 빈곤기간에 관한 연구:가구유형과 노동시장특성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81 김학주, "빈곤층의 의료비지출 과부담에 관한 연구 : 의료급여 수급여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9(1),229-254, 2008
82 김진욱, 고은주, "“한국 소득이전 빈곤감소 효과의 성분화:2000-2010빈곤 의여성화 추이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사회복지정책,39(1),23-53, 2012
83 최은영, "강요된 선택으로서의 장시간 노동과 요원한 일-가족 양립:또 하나의 예외성",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10
84 김유선, "“노동시장 및 노사관계:주 40시간 근무제가 노동자 여가생활에 미친 영향”", 산업노동연구,17(1),37-71, 2011
85 김광혁, 장화정, "빈곤과 가족소득이 아동 신체학대에 미치는 영향:부와 모의 학대를 중심으로", 한국아동권리학회, 아동과 권리,10(2), 2006
86 여유진, 송치호, "한부모가구와 양부모가구 간 빈곤율 차이에 대한요인분해 :미국과의 비교연구", 한국사회정책학회, 한국사회정책,17(3),223-255, 2010
87 구인회, 백학영, "“비정규 노동과 근로빈곤의 관계: 임금차별과 근로시간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노동정책연구,10(3),87-117, 2010
88 장지연, "복지국가 고용보호와 사회적 보호의 결합양식:1980년대 이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012
89 김이배, "빈곤의 세대간 이전 과정에 관한 생애사 연구: 30~40대 자활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3
90 윤혜미, "경제적 곤란과 가족갈등이 아동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아동의 대처방식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NRF), 2003
91 지은정, "근로빈곤층의 빈곤탈출 결정요인 연구:근로빈곤노동시장의 경로제약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59(3),147-174, 2007
92 최옥금, "근로빈곤층의 ‘괜찮은 일자리(Decent Job)' 이동에 관한 연구 : 임금일자리를 중심으로", 노동정책연구,5(2),1-42, 2005
93 김주현, 한상완, 주원, 장후석, 백흥기, "최근 10년간 일자리 구조변화의 특징 -고용 불안정성이 높은 저소득 임금근로자 비중", VIP리포트 13-12(522호),1-15, 2013
94 유태균, 박효진, "여성가구주 빈곤가구와 남성가구주 빈곤가구 간의 빈곤탈피 영향 요인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사회보장연구,29-58, 2009
95 옥우석, "“1997년 금융위기 전후 기업 특성별 고용조정 행태의 변화: 상장기업데이터를 활용한 분석”", 한국경제발전학, 17(1),245-269, 2011
96 김진욱, "“쟁점과 대안:2011년 비정규직 규모와 실태:통계청.“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2012.3)결과”", 노동사회,165,46-85, 2012
97 노대명, "“한국 공공부조제도의 패러다임 전환 필요성에 대한 고찰-99제도구성체계의 개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18(1),83-117, 2011
98 허수연, "“복지국가의 자녀유무별 여성임금격차 비교연구 :가족정책과 노동시장구조의 영향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1(2),279-308, 2010
99 김주경, "“헌법상 건강권 및 의료접근권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입법배경 및 사회문화적 관점을 중심으로”", 강원법학,36,233-262, 2011
100 김효정, "공적 소득이전 정책의 정책대상별 규모와 효과에 관한 분석:사회복지지출과 조세지출의 통합적 접근",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정책학박사학위 논문, 2014
101 변금선, "청년층의 근로빈곤 요인에 관한 연구 -고용불안정과 고용상태가 빈곤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64(3),257-279, 2012
102 변금선, "“청년층의 근로빈곤 요인에 관한 연구 :고용불안정과 고용상태가 빈곤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64(3), 2013
103 김혜영, 이은주, 윤홍식, "절대 및 차상위 빈곤선을 통해 본 여성가구주 가구의 빈곤지위 결정에 관한 연구 :저소득 여성가구주 가구를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21(3),263-293, 2007
104 김혜영, 이은주, 윤홍식, "절대 및 차상위 빈곤선을 통해본 여성가구주 가구의 빈곤지위 결정에 관한 연구:저소득 여성가구주 가구101를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21(3),263-288, 2005
105 곽지영, 김유심, "빈곤여성가장의 생활사건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가족응집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거주 18세 미만 자녀를 둔 여성을 중심으로", 서울도시 연구,11(1),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