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마곡 워터프론트 조성계획과 도시환경변화에 따른 전략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465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마곡워터프론트 조성계획은 한강르네상스계획과 연계하여 마곡지구를 특화된 수변도시로 발전하기 위하여 정책적으로 제시된 공모로 시작되었다. 도시 환경과 공원의 특성을 살려 제안 당...

      마곡워터프론트 조성계획은 한강르네상스계획과 연계하여 마곡지구를 특화된 수변도시로 발전하기 위하여 정책적으로 제시된 공모로 시작되었다. 도시 환경과 공원의 특성을 살려 제안 당선된 Heart of Magok is Nature of Living Water안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지닌다. 첫째, 유수지, 청정호수, 주운수로, 생태공원 등의 시설을 중심으로 테마형 공원을 구성한다. 둘째, 녹색제방(Green Levee)이 공원의 중심 기능을 담당하며, 상징적 역할을 한다. 셋째, 공원의 순환동선, 물에너지의 순환 등이 종합적인 공원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고 있다. 넷째, 공원과 주변도시와의 접근성을 높여 이용의 편의성을 고려한다. 다섯째, 시간에 따라 성장하는 공원의 이상을 제안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계획 특성은 공원의 이용성을 높이며, 워터프론트로서의 역할에 젓실하고, 도심에서 공원의 역할을 한 단계 높이는 역할을 기대하게 하였다. 그러나 이후 도시환경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발전 전략을 모색하게 되었으며, 특히 경제성, 환경성 등을 중심으로 각각 육상공원의 확보, 업무·상업기능의 강화, 그리고 공원의 환경성 강화 등의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evelopment plan of Magok waterfront has begun with the public design contest with an intention that the Magok District is to advance into a specialized waterside city in connection with the Hangang Renaissance Plan. The winning work, the ‘Heart...

      The development plan of Magok waterfront has begun with the public design contest with an intention that the Magok District is to advance into a specialized waterside city in connection with the Hangang Renaissance Plan. The winning work, the ‘Heart of Magok is Nature of Living Water’ plan, contained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environment and park as follows. First, it builds up the theme park around the facilities of detention reservoir, clean lake, navigation channel, ecology park and others. Second, the green levee undertakes the central function of the park as well as symbolic role thereof. Third, it secures the sustainability of a general park with the circulation of park, circulation of water energy and the like. Fourth, it considers the convenience of utility by enhancing the accessibility with parks and surrounding cities. And fifth, it proposes the more than a simple park that grows in time. The foregoing plan characteristics heightens the utility of park, substantiate the role as water front, and expects to have the role to one notch upgrade in the roles of urban parks. And, along with the effort, following the changes of Magok District, base facilities and urban environment, the changes of Magok Water Front may be sought with respect to change into ground park, plan to strengthen the environment, strengthening of commercial and office functions, and this is considered in relations to the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of Magok District. This is considered as a part of seeking for diverse improvement plan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urban environment, and it seeks for possibilities through seeking changes of program together with the physical changes in lake parks and ground park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Abstract
      • 1. 들어가는 글
      • 2. 설계조건
      • 3. 기본계획
      • 국문요약
      • Abstract
      • 1. 들어가는 글
      • 2. 설계조건
      • 3. 기본계획
      • 4. 계획의 변화양상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배정한, "현대 조경설계의 전략적 매체로서 다이어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 34 (34): 99-112, 2006

      2 유준경, "현대 대형공원의 프로그램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9

      3 비안카 펜츠린, "함부르크 하펜시티의 워터프론트 도시재생" 12-21, 2007

      4 위재송, "한국 현대공원설계 경향에 관한 연구 : 최근 10년간 공원현상설계작품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5 서울시, "한강르네상스 마스터플랜"

      6 서울시, "한강르네상스 기본계획" 2008

      7 최정우, "한강공원 이용자의 만족도 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연구원 9 (9): 53-70, 2008

      8 정욱주, "프레쉬 킬스 공원 조경설계" 한국조경학회 33 (33): 93-108, 2005

      9 양도식, "포스트모던 도시수변공간의 문화적 사용을 위한 도시설계과정 분석 : 볼티모어 항구 문화 도시수변공간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연구원 7 (7): 65-86, 2006

      10 김수연, "조경설계 작품분석에 관한 연구 : 여의도공원 현상설계공모안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1999

      1 배정한, "현대 조경설계의 전략적 매체로서 다이어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 34 (34): 99-112, 2006

      2 유준경, "현대 대형공원의 프로그램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9

      3 비안카 펜츠린, "함부르크 하펜시티의 워터프론트 도시재생" 12-21, 2007

      4 위재송, "한국 현대공원설계 경향에 관한 연구 : 최근 10년간 공원현상설계작품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5 서울시, "한강르네상스 마스터플랜"

      6 서울시, "한강르네상스 기본계획" 2008

      7 최정우, "한강공원 이용자의 만족도 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연구원 9 (9): 53-70, 2008

      8 정욱주, "프레쉬 킬스 공원 조경설계" 한국조경학회 33 (33): 93-108, 2005

      9 양도식, "포스트모던 도시수변공간의 문화적 사용을 위한 도시설계과정 분석 : 볼티모어 항구 문화 도시수변공간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연구원 7 (7): 65-86, 2006

      10 김수연, "조경설계 작품분석에 관한 연구 : 여의도공원 현상설계공모안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1999

      11 이정우, "자갈치 지역 워터프론트 환경 조성을 통한 부산 도심부 재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13-25, 2003

      12 소용수, "인천 송도 신도시 워터프론트에 대한 개념적 접근" 24 (24): 307-311, 2004

      13 김미경, "유형학적 접근방법에 의한 워터프론트의 환경 디자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319-322,

      14 한주형, "워터프론트의 물리적 계획방향에 관한 고찰" 대한건축학회 375-378, 2002

      15 김세용, "수변공간의 공공성과 컨텐츠 확보방안" 한국도시설계학회 1-51, 2008

      16 서울시, "서울의 주요하천변 경관개선 방안연구" 2003

      17 김미나, "서울 숲 공원관리참여 활성화를 위한 관리주체와 공원이용객 인식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4 (44): 223-234, 2009

      18 김아연, "브리지 파크 국제설계경기에 나타난 현대 조경설계의 경향" 한국조경학회 33 (33): 15-30, 2005

      19 SH공사, "마국워터프론트 국제현상 공모전"

      20 SH공사, "마곡워터프론트 실시설계 보고서" 2009

      21 SH공사, "마곡워터프론트 설계반영자료"

      22 SH공사, "마곡워터프론트 사업화방안 및 공원유지관리계획 보고서" 2010

      23 "마곡워터프론트 내부보고자료"

      24 SH공사, "마곡워터프론트 기본설계 보고서" 2009

      25 SH공사, "마곡워터프론트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 보고서" 2009

      26 서울시, "마곡워터프론트 국제현상공모전"

      27 김민경, "도심활성화와 연계한 뉴욕 맨해튼 워터프론트 재생 디자인 수법 연구" 대한건축학회 25 (25): 45-54, 2009

      28 이소연, "도시공원의 보행동선 이용행태 연구 : 서울대공원을 대상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0

      29 문지영, "도시공간 속 수변개발(Waterfront)을 통한 도시재생의 사례연구" 대한건축학회 639-642, 2007

      30 김민수, "도시건축디자인 : ‘문화적 관점’ - 오래된 생활문화근린의 재생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7 (7): 75-92, 2006

      31 양수영, "대규모 도시 근린공원의 이용후평가 : 광주광역시 상무시민공원을 대상으로" 호남대학교 대학원 2003

      32 김도경, "광교신도시 호수공원 조성계획 - 국제설계공모 당선작 ‘도시 저수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0 (10): 53-66, 2009

      33 Bernard Tschumi, "건축과 해체" 시+공 2002

      34 줄리아 처니악, "Large Park" 조경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91 1.333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