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변천: 광주교대 사례를 중심으로 = The Chang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Focused on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417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ong with the recent claim for the structural reform to increase competitiveness, effectiveness, and openness in education,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System for train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Korea has confronted radical challenges. But most of transformative efforts will turn out to be just critical loss if they are not based upon rigorous examination and qualitative assessment on what the existing teacher education system has accomplished throughout more than 70 year historical vicissitudes. In this respect, I have conducted a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inquiry 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focused on the case of Gwa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 traits of curriculum in the secondary level normal school era, the two-year junior college era, and the four-year university era, I have shown that the changing mode of curriculum has been affected in succession by the needs of universal institutionalization, theoretical professionalization, and organic relationship with actual classroom practices, respectively. The problematic limitations in the curriculum development include the primacy of national objectives as set over against humanistic educational aims, the frequent uniform mode of curriculum change on the national level as confined by the narrow limited knowledge base of elementary education, the insufficiency of understanding about the pre-service teachers` curriculum experience, and the lack of diverse experimental examples of the local development of curriculum.
      번역하기

      Along with the recent claim for the structural reform to increase competitiveness, effectiveness, and openness in education,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System for train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Korea has confronted radical challenges. ...

      Along with the recent claim for the structural reform to increase competitiveness, effectiveness, and openness in education,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System for train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Korea has confronted radical challenges. But most of transformative efforts will turn out to be just critical loss if they are not based upon rigorous examination and qualitative assessment on what the existing teacher education system has accomplished throughout more than 70 year historical vicissitudes. In this respect, I have conducted a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inquiry 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focused on the case of Gwa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 traits of curriculum in the secondary level normal school era, the two-year junior college era, and the four-year university era, I have shown that the changing mode of curriculum has been affected in succession by the needs of universal institutionalization, theoretical professionalization, and organic relationship with actual classroom practices, respectively. The problematic limitations in the curriculum development include the primacy of national objectives as set over against humanistic educational aims, the frequent uniform mode of curriculum change on the national level as confined by the narrow limited knowledge base of elementary education, the insufficiency of understanding about the pre-service teachers` curriculum experience, and the lack of diverse experimental examples of the local development of curriculu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봉수, "한국 근대학교 성립이후 초등교원 양성 교육과정 변천에 관한 연구" 17 : 451-489, 1984

      2 정미경, "초등학교 현장에 부합하는 초등교원 양성 교육과정 개선 방안" 14 (14): 93-112, 2001

      3 김재복, "초등교육과 교사 교육과정: 제6차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교육대학 개정 교육과정 준칙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11 : 49-63, 1993

      4 신윤철, "초등교원 양성제도와 교육과정개편에 관한 연구" 16 (16): 5-45, 1978

      5 조동섭, "초등교원 양성교육의 문제와 개선방안" 23 : 403-428, 2004

      6 박영무, "초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의 분석: 교육대학을 중심으로" 36 : 315-359, 1999

      7 박창언, "초등 교원 양성 대학의 교육 과정 비교?분석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15 (15): 263-288, 2002

      8 한독교육학회, "유럽의 교사교육 개혁동향" 한독교육학회 2006

      9 김봉수, "우리나라 초등교원 양성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11 : 251-271, 1978

      10 유재봉, "영국의 교사교육 개혁동향" 한독교육학회 41-57, 2006

      1 김봉수, "한국 근대학교 성립이후 초등교원 양성 교육과정 변천에 관한 연구" 17 : 451-489, 1984

      2 정미경, "초등학교 현장에 부합하는 초등교원 양성 교육과정 개선 방안" 14 (14): 93-112, 2001

      3 김재복, "초등교육과 교사 교육과정: 제6차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교육대학 개정 교육과정 준칙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11 : 49-63, 1993

      4 신윤철, "초등교원 양성제도와 교육과정개편에 관한 연구" 16 (16): 5-45, 1978

      5 조동섭, "초등교원 양성교육의 문제와 개선방안" 23 : 403-428, 2004

      6 박영무, "초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의 분석: 교육대학을 중심으로" 36 : 315-359, 1999

      7 박창언, "초등 교원 양성 대학의 교육 과정 비교?분석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15 (15): 263-288, 2002

      8 한독교육학회, "유럽의 교사교육 개혁동향" 한독교육학회 2006

      9 김봉수, "우리나라 초등교원 양성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11 : 251-271, 1978

      10 유재봉, "영국의 교사교육 개혁동향" 한독교육학회 41-57, 2006

      11 정영근, "독일의 교사교육과 개혁동향: 일반계 중등교사 양성을 중심으로" 한독교육학회 1-15, 2006

      12 박순경, "국가 교육과정 적용에서의 교육과정 지역화의 실효성 논의(I)- 시·도교육청 수준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의 연구·개발 과업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과정학회 21 (21): 111-127, 2003

      13 고경석,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의 미래형 모델 개발을 위한 외국 교사교육과정의 관찰과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20 (20): 5-32, 2003

      14 홍후조, "교육과정의 이해와 개발" 문음사 2002

      15 정미경, "교원양성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247-264, 2007

      16 최도성, "교사교육 교양과목 프로그램 시범적용: 교양과정 제도개선의 제 문제와 그 해결책: 광주교대의 사례,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제 연구결과보고서" 교육인적자원부 2004

      17 박연호, "교사교육 교양과목 프로그램 개발: 교대 교양과정의 제 문제와 개선방안,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제 연구결과보고서" 교육인적자원부 2003

      18 천경록, "광주전남 지역 특성을 반영한 초등교사 양성 교육과정 개발과 평가 체제 구축 방안" 광주교육대학교 2006

      19 광주교육대학교 광주교육대학동문회, "광주교육대학 오십년사(1938~1988)"

      20 광주교육대학교 학생생활연구원, "2006학년도 대학생활안내"

      21 광주교육대학교, "1997학년도, 2002학년도 대학요람"

      22 광주교육대학교, "1992학년도, 1994학년도 학생편람"

      23 광주교육대학교, "1981학년도부터 1988학년도(영구) 교육과정"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81 2.81 2.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65 2.69 3.561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