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상원, "한국 고전문학 작품론3-고전시가" 휴머니스트 2018
2 고미숙, "한국 고전문학 작가론" 소명 1998
3 이상원, "조선시대 시가사의 구도와 시각" 보고사 2004
4 신은경, "자아탐구의 여정으로서의 <산중신곡〉과〈어부사시사〉-공간의식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1 : 2003
5 이상원, "윤선도의 금쇄동 경영과 「산중신곡」" 한국고전연구학회 (36) : 5-40, 2017
6 고미숙, "윤선도 평전" 한겨레출판 2013
7 김용찬, "윤선도 시조집" 지만지 2016
8 정운채, "윤선도"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5
9 김홍규, "욕망과 형식의 시학" 태학사 1999
10 김흥규, "욕망과 형식의 시학" 태학사 1999
1 이상원, "한국 고전문학 작품론3-고전시가" 휴머니스트 2018
2 고미숙, "한국 고전문학 작가론" 소명 1998
3 이상원, "조선시대 시가사의 구도와 시각" 보고사 2004
4 신은경, "자아탐구의 여정으로서의 <산중신곡〉과〈어부사시사〉-공간의식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1 : 2003
5 이상원, "윤선도의 금쇄동 경영과 「산중신곡」" 한국고전연구학회 (36) : 5-40, 2017
6 고미숙, "윤선도 평전" 한겨레출판 2013
7 김용찬, "윤선도 시조집" 지만지 2016
8 정운채, "윤선도"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5
9 김홍규, "욕망과 형식의 시학" 태학사 1999
10 김흥규, "욕망과 형식의 시학" 태학사 1999
11 김영근, "산중신곡과 어부사시사의 자연관"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0
12 최진원, "산중신곡과 금쇄동기의 관계 - 자연관을 중심으로" 고산연구회 (3) : 1989
13 이형대, "국역 고산유고" 소명출판 2004
14 박준규, "고산의〈산중신곡〉과 수정동" 국어국문학회 100 : 1988
15 윤영옥, "고산의 오우가" 고산연구회 (2) : 1988
16 박준규, "고산의 수정동 원림과 산중신곡" 고산연구회 (2) : 1988
17 유육례, "고산 윤선도의 시에 관한 생태학적 접근 — 「山中新曲」의 <五友歌>와 <漫興>을 중심으로 —" 온지학회 (42) : 193-218, 2015
18 문영오, "고산 윤선도의 단가 연구-특히 ‘산중신곡’을 중심으로" 동악어문학회 8 : 1972
19 박길남, "고산 윤선도 시조의 공간적 추이과 그 의미"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1 : 2003
20 문영오, "고산 시가에서의 회화성 고구" 고산연구회 (2) : 1988
21 성기옥, "고산 시가에 나타난 자연 인식의 기본 틀" 고산연구회 1987
22 정병헌, "고산 국문 시가의 변모 양상" 고산연구회 (2) : 1988
23 조해숙, "<오우가>의 시적 구조와 의미 분석" 한국시가학회 1 : 1997
24 김용찬, "<어부사시사>에 나타난 ‘자연’ 인식과 작품 세계" 한국시가문화학회 (40) : 59-92, 2017
25 문영오, "<산중신곡〉과 <금쇄동기〉의 교융성" 국어국문학회 124 : 1999
26 조하연, "<산중신곡(山中新曲)>의 구조에 나타난 윤선도의 자의식"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31) : 179-211,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