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적성에 맞는 진로선택과 부모의 진로선택 지지, 진로선택 역경극복 의지가 학업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the Aptitude for Choosing a Career Choice, the Career Support from Parents, the Will to Overcome Career Barriers on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877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psychological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which drives powers and directions toward careers via making a career choice based on the knowledge of self-aptitude, having a support from 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psychological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which drives powers and directions toward careers via making a career choice based on the knowledge of self-aptitude, having a support from his/her parents about the career choice, and having a will to overcome the career barriers against his/her parents. Data for this study were 286 high school students and Hotelling's T2 was used to test for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sults from the Hotelling's T2 indicat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students making versus students no making career choices based on the knowledge of self-aptitude) for mastery-approach goal orientation and learning flow. Similar pattern was also seen in students who have the support from their parents about the career choices. In addition, students who have the will to overcome the career barriers against their parents tend to have a higher mastery-approach goal and learning flow compared to students who have no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이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진로를 선택하는지, 부모님이 자녀의 진로선택을 지지하는지, 부모님이 진로선택을 반대하는 갈등상황에서 청소년이 갈등위기를 극복하려는 의지...

      본 연구는 청소년이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진로를 선택하는지, 부모님이 자녀의 진로선택을 지지하는지, 부모님이 진로선택을 반대하는 갈등상황에서 청소년이 갈등위기를 극복하려는 의지가 있는지에 따라 진로를 향해 나아가는 데 방향과 힘을 제공하는 중요한 심리적 학업성취 동기요인들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적성과 진로선택이 일치하는 청소년은 숙달접근목표지향성이 높게 나타났고 학습몰입 정도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부모님이 자녀의 진로선택을 지지하는 경우에는 숙달접근목표지향성과 수행접근목표지향성이 높게 나타났고 학습몰입도 높게 나타났다. 부모님과 진로선택이 불일치하더라도 자신의 진로선택을 유지 및 도전하고자 하는 청소년들도 숙달접근목표지향성과 학습몰입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진로선택 교육 및 상담 시 청소년의 적성에 기초한 진로선택 뿐만 아니라, 부모가 자녀의 적성을 이해하고 적성에 기초한 진로선택을 하도록 지지해줄 수 있도록 부모의 참여와 교육이 병행된 진로지도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현정, "희망과 성취목표가 진로포부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6

      2 박은경, "현실치료를 적용한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의 진로성숙도, 진로정체감,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2012 (2012): 131-146, 2012

      3 송기학, "현실요법 군 집단상담의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0

      4 유지원, "학습자의 몰입에 영향을 주는 동기 요인, 심리적 중재 요인, 사회적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5 석임복, "학습 몰입의 구조:척도,성격,조건,관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7

      6 선혜연, "청소년 진로의사결정에서 부모와 자녀의 특성에 따른 부모의 관여방식 차이" 교육연구소 9 (9): 161-179, 2008

      7 김미나,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업성취동기와 직업흥미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8 김혜령, "진로탐색 집단상담이 학습동기 유발에 미치는 효과"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4

      9 최숙경,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유형, 진로결정 장애 및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상담학회 7 (7): 85-101, 2006

      10 공경옥, "진로집단상담이 중학생들의 진로성숙도, 학업성취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8 (8): 11-14, 1998

      1 최현정, "희망과 성취목표가 진로포부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6

      2 박은경, "현실치료를 적용한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의 진로성숙도, 진로정체감,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2012 (2012): 131-146, 2012

      3 송기학, "현실요법 군 집단상담의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0

      4 유지원, "학습자의 몰입에 영향을 주는 동기 요인, 심리적 중재 요인, 사회적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5 석임복, "학습 몰입의 구조:척도,성격,조건,관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7

      6 선혜연, "청소년 진로의사결정에서 부모와 자녀의 특성에 따른 부모의 관여방식 차이" 교육연구소 9 (9): 161-179, 2008

      7 김미나,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업성취동기와 직업흥미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8 김혜령, "진로탐색 집단상담이 학습동기 유발에 미치는 효과"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4

      9 최숙경,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유형, 진로결정 장애 및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상담학회 7 (7): 85-101, 2006

      10 공경옥, "진로집단상담이 중학생들의 진로성숙도, 학업성취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8 (8): 11-14, 1998

      11 이은경,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12 김정숙, "일반계 고등학생의 직업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0 (10): 1-23, 2007

      13 김봉환, "상담전공자의 진로 및 직업개발에 관한 연구" 2 (2): 263-277, 2001

      14 이정규, "부모의 사회적 지지와 고3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정체감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20 (20): 571-586, 2006

      15 이광자, "부모 지지와 고등학생 진로발달과의 관계 연구 : 일반계, 산업정보계, 실업계의 비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5

      16 김수리, "부모 지지,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 및 역기능적 진로사고가 청소년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17 임규혁, "교육심리학" 학지사 1996

      18 Deci, E. L.,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11 : 319-338, 2000

      19 O'Brien, G. E, "The centrality of skill-utilization for job design, In Changes in Working Life" Wiley 167-187, 1980

      20 Palmer, S., "Parents as agents of career development" 35 (35): 71-76, 1988

      21 Pintrich, P. R., "Motivation in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Merrill Prentice-Hall 1996

      22 Weiner, B, "Human motivation: Metaphors, theories, and research" Sage 1992

      23 Dreher, G. F., "Generalizability of MBA degree and socioeconomic effects on business school graduates' salaries" 70 : 769-773, 1985

      24 Csikszentmihalyi, M,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Haper & Row 1990

      25 Finneran, C. M., "Flow in computer-mediated environments: promises and challenges" 15 : 82-101, 2005

      26 Pearce, J. M., "Designing for flow in a complex activity" ASCILITE 2004

      27 Gunderson, J, "Csikszentmihalyi's state of flow and effective teaching,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icago 2003

      28 Tolbert, E, L, "Counseling for career development(2nd ed.)" Houghton Mifflin 1980

      29 Kotrlik, J. W., "Career decision patterns of high school seniors in Louisiana" 14 (14): 47-65, 1989

      30 Elliot, A, "Approach and avoidance motivation and achievement goals" 34 : 169-190, 1999

      31 Wolters, C. A, "Advancing achievement goal theory: using goal structures and goal orientations to predict students’ motivation, cognition, and achievement" 96 : 236-250, 2004

      32 Sebald, H, "Adolescents' peer orientation: Changes in the support during the past three decades" 24 (24): 937-946, 1989

      33 Dweck, C., "A social-cognitive approach to motivation and personality" 95 : 256-273, 1988

      34 Elliot, A. J., "A 2☓2 achievement goal framework" 80 : 501-519, 2001

      35 박병기, "2x2 성취목표지향성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327-353, 2005

      36 임언, "2012년도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원활한 이행촉진사업: 2-2.진로심리검사 개정 및 활용 프로그램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2

      37 최인재, "2009 한국 청소년 진로․직업 실태조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8 1.88 2.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7 1.98 2.586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