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진해만 특별관리해역의 대형저서동물의 시공간 분포 =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Macrobenthic Communities in Jinhae Bay,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752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determine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macrobenthic faunal communities in Jinhae Bay, quantitative faunal samples were collected seasonally at 23 sites in Jinhae Bay from February, 2011 to November, 2012. Sediment facies were found ...

      In order to determine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macrobenthic faunal communities in Jinhae Bay, quantitative faunal samples were collected seasonally at 23 sites in Jinhae Bay from February, 2011 to November, 2012. Sediment facies were found to be mud except for those at Chilcheon-do near Geoje Island. Mean values of TOC (%) ranged between 1.3 and 3.6%, and these are the highest values recorded excluding special management areas in Korea. Hypoxia occurred every summer in the whole areas of Jinhae Bay except around Geoje Island in the bay mouth. Due to the summer hypoxia, species richness, density and biomass also declined during the summer in Jinhae Bay. Opportunistic species such as Paraprionospio patiens, Sigambra bassi, Nectoneanthes oxypoda and Theora fragilis occurred as the dominant species before and after the hypoxia. However, Capitella capitata appeared as a dominant species only during the winter-spring season every year. From cluster analysis, Jinhae Bay could be divided into two sites groups: one group occupied the normoxic zone and the other one located in the hypoxic zon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상필, "해상 가두리 양식이 저서 다모류군집에 미치는 영향" 한국해양학회 12 (12): 159-169, 2007

      2 조윤식, "퇴적물 총유기탄소와 저서 다모류 군집을 이용한 패류양식장의 환경평가 기준설정" 해양환경안전학회 19 (19): 430-438, 2013

      3 권정노, "진해만의 장기 수질변동 특성"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17 (17): 324-332, 2014

      4 백상규, "진해만 주변 해역의 대형저서동물 군집구조" 33 (33): 572-580, 2000

      5 임현식, "진해만 저서동물의 군집생태 3. 군집구조" 30 (30): 175-187, 1997

      6 임현식, "진해만 저서동물의 군집생태 1. 저서환경" 27 (27): 200-214, 1994

      7 임경훈, "진해만 대형 저서동물군집 분석을 통한 저서환경 평가" 한국해양학회 12 (12): 9-23, 2007

      8 강창근, "진주만에서 저서다모류의 시공간 분포" 35 : 35-45, 2002

      9 최진우, "저서동물에 의한 여름철 광양만의 저서환경 상태파악" 한국환경생물학회 21 (21): 2-113, 2003

      10 서진영, "인천항 및 부산항의 여름철 대형저서동물군집의 구조" 한국환경생물학회 27 (27): 6-19, 2009

      1 윤상필, "해상 가두리 양식이 저서 다모류군집에 미치는 영향" 한국해양학회 12 (12): 159-169, 2007

      2 조윤식, "퇴적물 총유기탄소와 저서 다모류 군집을 이용한 패류양식장의 환경평가 기준설정" 해양환경안전학회 19 (19): 430-438, 2013

      3 권정노, "진해만의 장기 수질변동 특성"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17 (17): 324-332, 2014

      4 백상규, "진해만 주변 해역의 대형저서동물 군집구조" 33 (33): 572-580, 2000

      5 임현식, "진해만 저서동물의 군집생태 3. 군집구조" 30 (30): 175-187, 1997

      6 임현식, "진해만 저서동물의 군집생태 1. 저서환경" 27 (27): 200-214, 1994

      7 임경훈, "진해만 대형 저서동물군집 분석을 통한 저서환경 평가" 한국해양학회 12 (12): 9-23, 2007

      8 강창근, "진주만에서 저서다모류의 시공간 분포" 35 : 35-45, 2002

      9 최진우, "저서동물에 의한 여름철 광양만의 저서환경 상태파악" 한국환경생물학회 21 (21): 2-113, 2003

      10 서진영, "인천항 및 부산항의 여름철 대형저서동물군집의 구조" 한국환경생물학회 27 (27): 6-19, 2009

      11 윤상필, "울산만의 저서환경 구배에 따른 저서동물군집 구조" 한국해양학회 14 (14): 102-117, 2009

      12 임현식, "여자만 연성저질의 여름철 대형저서동물 공간분포" 한국해양학회 20 (20): 78-91, 2015

      13 김경태, "시화호 표층 퇴적물의 유기탄소와 금속의 분포" 목포해양대학교 159-164, 2008

      14 류종성, "시화 방조제건설 이후 시화호 다모류의 종조성 및 서식밀도 변화" 2 (2): 101-109, 1997

      15 최진우, "남해특별관리해역인 마산만에서 동계 및 하계에 출현하는 대형 저서동물 군집의 공간분포 양상"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7 (27): 381-395, 2005

      16 임현식, "남해 앵강만 조하대연성저질 저서동물 군집" 4 (4): 80-92, 1999

      17 현상민, "광양만 및 여수해만 표층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과 중금속 오염" 한국해양학회 8 (8): 4-391, 2003

      18 Tsutsumi H, "Treatment of the organically enrichment sediment below the fish farm with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artificially mass-cultured colonies of a small deposit feeding polychaete, Capitella sp. I" 60 (60): 25-38, 2005

      19 Bilyard GR, "The value of benthic infauna in marine pollution monitoring studies" 18 (18): 581-585, 1987

      20 Snelgrove PVR, "The biodiversity of macrofaunal organisms in marine sediments" 7 (7): 1123-1132, 1998

      21 서진영, "Structural Changes in Macrozoobenthic Communities due to Summer Hypoxia in Gamak Bay, Korea" 한국해양과학기술원 47 (47): 27-40, 2012

      22 Tsutsumi H, "Production of planktonic and nonplanktonic larvae in a single brood of Capitella sp. I and its implications for population persistence in disturbed environment due to organic enrichment of the sediments" 60 (60): 17-24, 2005

      23 Sanukida S, "On the behavior of the indicator species of marine bottom pollution" 47 (47): 863-869, 1981

      24 Hisashi Yokoyama, "New Records of Three Paraprionospio Species (Polychaeta: Spionidae) from Korean Waters" 한국해양과학기술원 45 (45): 55-61, 2010

      25 Diaz RJ, "Marine benthic hypoxia: a review of its ecological effects and the behavioural responses of benthic macrofauna" 33 : 245-303, 1995

      26 Pearson TH, "Macrobenthic succession in relation to organic enrichment and pollu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16 : 229-311, 1978

      27 Lim H-S, "Hypoxia and benthic community recovery in Korean coastal waters" 52 (52): 1517-1526, 2006

      28 NFRDI, "Environmental research of aquaculture farm 2002"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401-, 2002

      29 Kodama K, "Effects of hypoxia on benthic organisms in Tokyo Bay, Japan: a review" 63 (63): 215-220, 2011

      30 Kodama K, "Disturbance of benthic macrofauna in relation to hypoxia and organic enrichment in a eutrophic coastal bay" 76 : 80-89, 2012

      31 서진영, "Distribution Patterns of Macrobenthic Fauna Communities in Deukryang Bay, One of the Environment Conservation Areas of Korea" 한국해양과학기술원 49 (49): 97-113, 2014

      32 Powers SP, "Coastal hypoxia: consequences for living resources and ecosystems" American Geophysical Union 185-210, 2001

      33 Clarke KR, "Changes in marine communities: an approach to statist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Plymouth Marine Laboratory 859-, 1994

      34 Dauer DM, "Biological criteria, environmental health and estuarine mar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26 (26): 249-257, 19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3-3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해양연구원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영문명 :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KCI등재
      2014-01-01 평가 SCOPUS 등재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6-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Ocean and Polar Research
      외국어명 : Ocean and Polar Research
      KCI등재
      2005-06-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Ocean Science Journal
      외국어명 : Ocean Science Journal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35 0.749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