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평생교육기관 성인학습자의 학습 동기, 교육서비스 만족도, 기관 이미지, 선택의도의 정도를 개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성인학습자의 학습 동기, 교육...
본 연구는 평생교육기관 성인학습자의 학습 동기, 교육서비스 만족도, 기관 이미지, 선택의도의 정도를 개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성인학습자의 학습 동기, 교육서비스 만족도, 기관 이미지, 선택의도 간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분석하여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기관 선택의도를 활성화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평생교육기관에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수강하고 있는 20세 이상 성인학습자 344명이며, 양적연구로써 통계 분석된 자료를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습 동기는 연령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활동지향형과 학습지향형 학습 동기는 연령층이 낮을수록 학습 동기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서비스 만족도는 연령, 학력, 월소득, 참여 프로그램 종류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은 대(재)졸이, 월소득이 적을수록, 그리고 참여 프로그램 종류에 있어서는 직업능력교육과 시민참여교육이 만족도가 높았다. 기관 이미지 인식은 월소득, 참여 프로그램 종류, 학습 기간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월소득이 적을수록, 참여 프로그램 종류에 있어서는 인문교양교육이, 그리고 학습 기간에 있어서는 기간이 적을수록 기관 이미지 인식 수준이 높았다. 평생교육기관 선택의도는 성인학습자의 일반적 특성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학습 동기, 교육서비스 만족도, 기관 이미지 모두 평생교육기관 선택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학습 동기, 교육서비스 만족도, 기관 이미지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평생교육기관 선택의도도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습 동기는 교육서비스 만족도와 기관 이미지 인식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학습 동기가 높을수록 교육서비스 만족도와 기관 이미지 인식도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성인학습자의 학습 동기, 교육서비스 만족도, 기관 이미지, 선택의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목표지향형 학습 동기는 기관 선택의도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교육서비스와 기관 이미지의 매개를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활동지향형 학습 동기는 기관의 선택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교육서비스 만족도와 기관 이미지의 매개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습지향형 학습 동기는 기관 선택의도에 직접적으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교육서비스 만족도를 매개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기관 이미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성인학습자들이 평생교육기관을 선택하는 요인들의 중요도 차이는 학습 동기, 교육서비스 만족도, 기관 이미지의 3가지 변인 중 교육서비스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기관 이미지, 학습 동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성인학습자의 학습 동기는 연령에 따라, 교육서비스 만족도는 연령, 학력, 월소득, 참여 프로그램 종류에 따라, 기관 이미지는 월소득, 참여 프로그램 종류, 학습 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평생교육기관 선택의도는 일반적 특성에 따라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인학습자의 학습 동기는 교육서비스 만족도와 기관 이미지를 매개로 하여 기관 선택의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성인학습자의 특성을 알고, 그 특성에 맞춘 적적한 동기 유발 전략을 통해 학습 동기와 교육서비스 만족도, 기관 이미지를 높이는 것이 평생교육기관 선택의도의 활성화를 가능하게 한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