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의 목적은 사회문제의 인식과 그 해결과정에서 새롭게 등장한 ‘조직 간 연계체제’에 대한 개념적/이론적 논의를 확대하고 실제모형으로 시행 중인 교육정책(‘지자체-대학 협력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89096
2021
-
370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1-30(3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사회문제의 인식과 그 해결과정에서 새롭게 등장한 ‘조직 간 연계체제’에 대한 개념적/이론적 논의를 확대하고 실제모형으로 시행 중인 교육정책(‘지자체-대학 협력기...
이 논문의 목적은 사회문제의 인식과 그 해결과정에서 새롭게 등장한 ‘조직 간 연계체제’에 대한 개념적/이론적 논의를 확대하고 실제모형으로 시행 중인 교육정책(‘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의 가치를 논의하는 데 있다. 개념적 논의에서는 문헌분석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조직(교육부/학교/기업/학회/지역혁신플랫폼)의 목적과 대표활동(정책/실천/연구)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여기서 확인한 것은 공적인 사회문제해결에는 다양한 조직의 참여가 필연적이며, 개념적으로 구분되는 대표활동이 실제문제의 해결과정에는 종합적으로 작동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또한 담론분석을 활용하여 ‘조직 간 연계체제’라는 개념의 특성과 내재가치인 협력 그리고 지배구조의 양식을 논의했는데, ‘지역 간 연계체제’라는 담론에는 관련 지식의 구성에서 권력관계가 필연적으로 반영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론적 접근에서는 ‘조직 간 연계제체’ 구성과 운영의 기반이 될 수 있는 자유주의적 접근과 공론장 활성화를 논의했다. 자유주의적 접근은 ‘조직 간 연계체제’의 개념을 조직활동과 조직관계 측면에서 시민사회로 확대할 수 있는 지식을 제공한다. 공론장 활성화는 ‘조직 간 연계체제’의 구성과 운영에서 참여자들의 의식개혁과 활동에 기여할 수 있는 지식을 제공한다. 마지막 ‘조직 간 연계체제’를 적용한 교육정책에서는 현재 시행 중인 지역혁신플랫폼사업의 가치를 광주전남지역혁신 플랫폼을 대상으로 논의했다. 여기서 확인한 핵심 가치는 공적문제해결의 주체가 관료제를 기반으로하는 정부조직에서 지역사회의 생존주체인 당사자로 전환되고 있다는 것과 그 과정에서 확인한 조직구성과 조직운영에 대한 새로운 시도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conceptual/theoretical discussion on the multi-organizational partnerships newly emerging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social problems and solving them, and to discuss the value of the regional innovation p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conceptual/theoretical discussion on the multi-organizational partnerships newly emerging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social problems and solving them, and to discuss the value of the regional innovation platform project being implemented as a practical model. In the conceptual discussion, based on literature analysis, I tried to understand in depth the objectives and representative activities of different organizations(ministry of education, schools, enterprises, academic societies, and regional innovation platforms). What is identified here is that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organizations is inevitable, and the representative activities which can be divided conceptually, is being operated integratively in the real problem solving processes. Also, using discourse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 of multi-organizational partnerships and the intrinsic values of cooperation in it, and the style of governance were discussed. In the theoretical approach, I discussed the liberal approach, which can be the basis of constructing and operating ‘the multi-organizational partnerships’, and the vitalization of the public sphere. Lastly, the value analysis of Gwangju-Jeonnam Regional Innovation Platform currently being implemented were discussed. The core value identified here is that the subject of public problem-solving is changing from a bureaucratic-based government organization to local residents participating in various local community organizations, and that new ways of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operation are emerging in the proces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효선, "혁신교육지구사업의 민관학 거버넌스 네트워크 연구: 서울시 E구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081-1104, 2021
2 염민호, "한국 고등교육체제의 특성과 미래 대응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21
3 Freire. P, "페다고지" 그린비 2010
4 이상림, "청년인구 이동에 따른 수도권 집중과 지방 인구 위기" 1-9, 2020
5 광주전남지역혁신플랫폼,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계획서" 전남대학교 2020
6 류장수, "지방대학 재정지원사업의 성과분석 - 누리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학회 20 (20): 113-135, 2012
7 "정부조직법"
8 최정은, "서울형혁신교육지구 사업의 협력적 거버넌스 분석 - 도봉구, 마포구, 은평구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33 (33): 261-291, 2019
9 조상식, "사회적 공론화를 통한 고교-대학 연계체제의 개선을위한 방안 탐색"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06
10 배현순, "마을교육공동체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부산 다행복교육지구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29 (29): 87-107, 2021
1 김효선, "혁신교육지구사업의 민관학 거버넌스 네트워크 연구: 서울시 E구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081-1104, 2021
2 염민호, "한국 고등교육체제의 특성과 미래 대응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21
3 Freire. P, "페다고지" 그린비 2010
4 이상림, "청년인구 이동에 따른 수도권 집중과 지방 인구 위기" 1-9, 2020
5 광주전남지역혁신플랫폼,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계획서" 전남대학교 2020
6 류장수, "지방대학 재정지원사업의 성과분석 - 누리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학회 20 (20): 113-135, 2012
7 "정부조직법"
8 최정은, "서울형혁신교육지구 사업의 협력적 거버넌스 분석 - 도봉구, 마포구, 은평구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33 (33): 261-291, 2019
9 조상식, "사회적 공론화를 통한 고교-대학 연계체제의 개선을위한 방안 탐색"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06
10 배현순, "마을교육공동체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부산 다행복교육지구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29 (29): 87-107, 2021
11 염민호, "대학 보직자가 생각하는 지역혁신과 지방대학 역할 이해" 한국교육행정학회 38 (38): 215-248, 2020
12 "교육기본법"
13 대학알리미, "공시카테고리: 학생 4-다 신입생 충원현황"
14 배규식, "경남지역 제조업 실태, 노동시장 구조, 숙련 및 기능등급제 도입" 경남창원과학기술진흥원 31-54, 2019
15 오승은, "거버넌스론에 관한 제 접근" 29 : 47-75, 2006
16 김언순, "‘학교-지역사회 연계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역교육자원 활용방안: 서울시 동북지역 2개 자치구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83-107, 2018
17 통계청, "e-지방지표: 2020 고령인구비율"
18 Ostrom, E., "Understanding institutional diversi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5
19 Wikipedia, "Theory"
20 Habermas, J., "The structure of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MIT Press 1989
21 Cropper, S., "The oxford handbook of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3-21, 2010
22 DiMaggio, P. J., "The new institutionalism in organizational analysi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3-82, 1991
23 Guba, E., "The effect of definition of policy on the nature and outcomes of policy analysis" 42 (42): 63-70, 1984
24 Lowndes, V., "The dynamics of multi-organizational partnerships: An analysis of changing modes of governance" 76 : 313-333, 1998
25 Foucalut, M., "The archaeology of knowledge" Routledge 1969
26 Bevir, M., "The SAGE Handbook of Governance" SAGE Publication Inc 1-16, 2011
27 Cohen, D. K., "Relations between policy and practice: A commentary" 12 (12): 249-256, 1990
28 Lewis, 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management and development" Routledge 2014
29 Lewis, D., "Inter-agency partnerships in aid-recipient countries: Lessons from an aquaculture project in Bangladesh" 27 (27): 328-338, 1998
30 Ostrom, E., "Governing the commons: The evolution of institutions for collective a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31 Giddens, A., "Essential concepts in sociology" Polity Press 2017
32 Foucalut, M., "Discipline and punish: the birth of the prison" Random House 1979
33 Huxham, C., "Creating collaborative advantage" Sage 1996
34 Habermas, J., "Communication and the evolution of society" Beacon Press 1979
35 한국대학평가원, "2021 대학기관평가인증 편람"
초·중학생 반응적, 주도적 관계공격성이 또래괴롭힘 피해 및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지된 교사지지의 조절효과
원격수업에서의 교사 피드백: 고등학생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성장신념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2-03-19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 The Kore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5 | 1.65 | 1.6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71 | 1.85 | 2.063 | 0.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