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생활 유형에 따른 유비쿼터스 주택 계획 요소에 대한 공간별 선호 특성 = A Characteristic of the Preference about the Planning Elements for Ubiquitous Home Based on Lifesty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320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사회에 대응하는 노인의 주거환경 개발을 위하여 현대 노인의 생활 유형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유비쿼터스 계획 요소 요구 특성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연구의 방법은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사회에 대응하는 노인의 주거환경 개발을 위하여 현대 노인의 생활 유형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유비쿼터스 계획 요소 요구 특성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조사와 설문조사로 이루어졌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현재 50대와 60대의 생활 유형은 신체적, 사회적, 경제적 상황에 따라 8가지로 분류되었으며, 신체적, 사회적, 경제적 상황이 모두 낮은 유형 8이 가장 많았고, 신체적, 사회적, 경제적 상황이 모두 높은 경우인 유형 1이 두 번째로 많았다. 둘째, 생활 유형에 따른 유비쿼터스 계획 요소 요구 순서를 파악한 결과, 침입 도난방지, 가스누출감지, 화재감지, 자동세탁, 건강 체크, 냉난방 조절, 지능형 욕조, 자동 청소, 지능형 운동기구, 가전기기 원격제어 순서로 나타났다. 셋째, 공간별 유비쿼터스 주택 계획 요소 요구 순서를 파악한 결과, 거실에서는 환기 조절, 침실에서는 냉난방 조절, 부엌에서는 요리지원, 욕실에서는 높이조절 세면대, 현관에서는 침입 도난방지가 1순위를 차지하였다. 연구 결과, 생활 유형에 따라 유비쿼터스 주택에서의 공간별 계획 요소에 대한 요구 순서가 다름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유비쿼터스 주택 계획 요소를 개발할 때에는 거주자의 생활 유형을 파악하여 이에 적합한 주거 디자인을 제안할 필요성이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tract the preference about planning elements for aging-friendly ubiquitous home based on lifestyle. Research methods were literatures review and web survey. The subjects were the fifty and sixty. The results of thi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tract the preference about planning elements for aging-friendly ubiquitous home based on lifestyle. Research methods were literatures review and web survey. The subjects were the fifty and six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eight lifestyles according to physical, economy and social state of surveyed people. Type 8 which was the lowest physical, economy and social state people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percentage in eight lifestyle types. Second, the results of the demands on planning elements for ubiquitous home based on lifestyle type were security, gas leakage perception, fire control, automatic washing, health check, air-conditioning control, intelligent bathtub, automatic cleaning, intelligent sport outfits, home instrument remote control as in order. Third, the results of the demands on planning elements for ubiquitous home in the living room, ventilation control was found the highest demand. Air-conditioning control was found the most demand in the bedroom, cooking support was found the highest demand in the kitchen, height control washstand was found the most demand in the bathroom, security was found the highest demand in the entrance. Finally, there were differences in needs according to surveyed people`s lifestyle type. It should be considered in planning of the elderly-friendly ubiquitous home and prepared with individualized strategies for the elderl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혜봉, "중상층 노년여성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특성과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23 (23): 3-, 2003

      2 임은실, "저소득 재가노인의 신체적 기능, 우울 및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2002

      3 변지영,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휴먼 인터페이스 디자인 적용성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2005

      4 김지희, "유비쿼터스 사회에서의 노인 생활 혁신 방안" 한국정보문화진흥원 12-, 2005

      5 김미선, "서비스 지능화 수준에 따른 유비쿼터스 주택 계획 연구" 연세대학교 2008

      6 류혜지, "생활 유형에 따른 고령친화 유비쿼터스 주택 계획 요소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09

      7 고혜진,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실버타운 제공서비스 선호요인 연구 - 청주지역 예비노인층을 대상으로 -" 한국주거학회 19 (19): 63-71, 2008

      8 김동배, "노인주택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3 : 357-, 1996

      9 이정화, "노인을 위한 환경계획 디자인 분야 국내 연구의 흐름 분석 연구" 248-, 2006

      10 류혜지, "고령친화 유비쿼터스 주택 서비스 요구에 관한 근거이론적 연구"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1 (21): 283-292, 2008

      1 신혜봉, "중상층 노년여성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특성과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23 (23): 3-, 2003

      2 임은실, "저소득 재가노인의 신체적 기능, 우울 및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2002

      3 변지영,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휴먼 인터페이스 디자인 적용성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2005

      4 김지희, "유비쿼터스 사회에서의 노인 생활 혁신 방안" 한국정보문화진흥원 12-, 2005

      5 김미선, "서비스 지능화 수준에 따른 유비쿼터스 주택 계획 연구" 연세대학교 2008

      6 류혜지, "생활 유형에 따른 고령친화 유비쿼터스 주택 계획 요소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09

      7 고혜진,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실버타운 제공서비스 선호요인 연구 - 청주지역 예비노인층을 대상으로 -" 한국주거학회 19 (19): 63-71, 2008

      8 김동배, "노인주택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3 : 357-, 1996

      9 이정화, "노인을 위한 환경계획 디자인 분야 국내 연구의 흐름 분석 연구" 248-, 2006

      10 류혜지, "고령친화 유비쿼터스 주택 서비스 요구에 관한 근거이론적 연구"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1 (21): 283-292, 2008

      11 이종협, "고령자의 주거생활 환경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Q.O.L 상승요인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3 (13): 120-128, 2004

      12 이연숙, "건강주택" 연세대학교 출판부 194-195, 2007

      13 송정화, "거주자 행위를 기반으로 한 유비쿼터스 주택 모델 연구" 연세대학교 2006

      14 이주령, "거주자 중심 스마트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04

      15 권현주, "Aging-in-Place를 지원하는 고령친화 디지털홈 계획방향 요구에 대한 실험적 연구" 대한건축학회 24 (24): 21-28,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12-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Design Forum ->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KCI등재
      2007-10-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영문명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KCI등재
      2007-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
      영문명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KCI등재
      2006-06-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Forum KCI등재
      2006-02-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럼학회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10-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10-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 -> 한국디자인포럼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09-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비쥬얼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포럼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Visual Design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3 0.631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