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3" 지식산업사 1-561, 2007
2 강상순, "한국 고전소설과 정신분석학"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434, 2016
3 이래종, "창선감의록"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3
4 조성기, "졸수재집(拙修齋集) 권11"
5 이지영, "조성기 사유와 <창선감의록> 작자의식의 간극에 대하여" 한국고전문학회 (38) : 341-372, 2010
6 정혜경, "조선 후기 장편소설의 감정의 미학 : 〈창선감의록〉, 〈소현성록〉, 〈유효공선행록〉, 〈현씨양웅쌍린기〉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7 Paul Ricœur, "시간과 이야기 Ⅰ" 1-446, 1999
8 김대행, "시가시학연구" 이대출판부 1-452, 1991
9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 Ⅱ" 리젬 1-312, 2004
10 김춘경, "상담학사전 3" 학지사 1175-1884, 2016
1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3" 지식산업사 1-561, 2007
2 강상순, "한국 고전소설과 정신분석학"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434, 2016
3 이래종, "창선감의록"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3
4 조성기, "졸수재집(拙修齋集) 권11"
5 이지영, "조성기 사유와 <창선감의록> 작자의식의 간극에 대하여" 한국고전문학회 (38) : 341-372, 2010
6 정혜경, "조선 후기 장편소설의 감정의 미학 : 〈창선감의록〉, 〈소현성록〉, 〈유효공선행록〉, 〈현씨양웅쌍린기〉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7 Paul Ricœur, "시간과 이야기 Ⅰ" 1-446, 1999
8 김대행, "시가시학연구" 이대출판부 1-452, 1991
9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 Ⅱ" 리젬 1-312, 2004
10 김춘경, "상담학사전 3" 학지사 1175-1884, 2016
11 Martha C. Nussbaum, "분노와 용서" 뿌리와이파리 1-584, 2018
12 정지우, "분노사회" 이경 1-200, 2014
13 Micheal Stone, "범죄의 해부학" 다산초당 1-643, 2010
14 곽차섭, "미시사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1-499, 2000
15 임동석, "맹자(孟子)" 동서문화사 2009
16 이원주, "고전소설독자의 성향-경북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 3 : 175-191, 1975
17 이승복, "고전소설과 가문의식" 월인 1-436, 2000
18 Martha C. Nussbaum, "감정의 격동 1-3" 새물결 1-1352,
19 유연석, "牛溪 후학의 栗谷 性理學 이해와 비판 - 朴世采・趙聖期・林泳을 중심으로" (사)율곡학회 23 : 89-124, 2011
20 박길희, "〈창선감의록〉의 교화적 성격과 작가의식"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4
21 조계원, "‘갑을’관계와 분노 -마사 누스바움의 감정 이론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37) : 177-198, 2019
22 조광국, "<창선감의록>의 적장자 콤플렉스"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38) : 65-101, 2018
23 박일용, "<창선감의록>의 구성 원리와 미학적 특징" 한국고전문학회 18 : 323-356, 2000
24 김종철, "17세기 소설사의 전환과 ‘가(家)’의 등장" 한국어교육학회 (112) : 14-444,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