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창의 마한백제 문화 = Mahan Baekje Culture in Gocha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853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창지역에는 선사시대를 대표하는 대규모의 지석묘군을 비롯하여 마한 시대의 수많은 유적 등이 고고 학적 조사를 통해 밝혀졌고 계속하여 드러나고 있다. 특히 지리적 이점을 가지고 전...

      고창지역에는 선사시대를 대표하는 대규모의 지석묘군을 비롯하여 마한 시대의 수많은 유적 등이 고고 학적 조사를 통해 밝혀졌고 계속하여 드러나고 있다. 특히 지리적 이점을 가지고 전남과 전북지역의 문화 양상이 모두 나타나면서도 고창지역만이 가지는 독자성도 보이는 등 고창문화라고 할 수 있을 정도의 특 별함이 있다. 고창 일원에 대해 현재까지 고고학적 성과를 중심으로 마한의 시작부터 백제의 영역화가 이 루어지는 단계까지의 전반적인 문화양상이 보인다.
      고창지역에서 본격적인 마한문화의 등장은 기원후 2세기 후반부터로 보이며, 호남 서부지역에서 나타 나는 일반적인 마한문화의 전개 및 발전과정과 비슷한 양상으로 흐르고 있다. 고창지역 마한주거지는 비 사주식과 사주식으로 구분되며, 사주식의 비율이 비교적 높게 확인된다. 5세기대까지도 주거지의 구조적 인 측면에서 변화는 확인되지 않지만, 출토유물에서 형태 및 기종 변화가 발생한다.
      마한분묘는 분구묘, 단독토광묘, 옹관묘로 구분되지만, 가장 일반적인 묘제는 분구묘이다. 방형계 주거 지와 비슷한 시기에 출현하는 것으로 보이며, 전개 및 발전단계를 4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그중 마지막 단계는 이미 백제 영역화가 이루어진 시점으로 보는 5세기대에 해당하지만, 분구묘의 전통은 고창지역 곳 곳에서 지속되며, 아산면 일원에는 봉덕리 고분군의 조성이 이루어진다. 봉덕리 고분군은 이전부터 아산 면, 고수면 일원에 자리하던 재지 세력의 최고 수장층 묘제로 마한 시기 고창지역의 위상을 명백하게 드러 내고 있다. 영광, 함평, 나주로 진출을 위한 길목에 있는 고창 일원은 백제에게도 중요한 거점이었을 것이 며, 이러한 양상으로 볼 때, 고창지역에 존재하던 마한세력은 백제에 일방적인 복속 관계는 아니었을 것으 로 추정된다. 백제의 표지유물이라 할 수 있는 삼족기, 흑색마연토기 등의 부재와 고창식고배로 불리는 다 투창고배의 존재 등의 고창지역의 특수성은 이러한 관계를 방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격적인 백제문화 의 등장은 고창읍 죽림리, 아산면 상갑리, 고수면 예지리, 무장면 동교고분 등 판석형의 횡혈식석실묘 축 조가 이루어지는 시기로 볼 수 있고, 적어도 6세기 중반 이후에 해당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장석, "호서와 서부호남지역 초기철기-원삼국시대 편년에 대하여" 호남고고학회 33 : 45-69, 2009

      2 허진아, "호서-호남지역 사주식주거지 등장 과정과 확산 배경" 한국고고학회 (108) : 8-49, 2018

      3 서현주, "호남지역 원삼국시대 패총의 현황과 형성배경" 호남고고학회 11 : 2000

      4 김승옥, "호남지역 마한주거지의 편년" 호남고고학회 11 : 2000

      5 김중엽, "호남지역 마한 분묘유적의 연구현황, 마한의 중심 익산 그 회고와 전망"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18

      6 목포대학교박물관, "함평 월야 순촌유적" 2001

      7 전남대학교박물관, "함평 예덕리 만가촌고분군" 2004

      8 이택구, "한반도 중서부지역의 馬韓 墳丘墓" 한국고고학회 (66) : 48-89, 2008

      9 충남대학교박물관, "천안 장산리유적" 1996

      10 김승옥, "중서부지역 마한계 묘제의 성격과 발전과정, 분구묘의 신지평" 전북대학교박물관 2011

      1 김장석, "호서와 서부호남지역 초기철기-원삼국시대 편년에 대하여" 호남고고학회 33 : 45-69, 2009

      2 허진아, "호서-호남지역 사주식주거지 등장 과정과 확산 배경" 한국고고학회 (108) : 8-49, 2018

      3 서현주, "호남지역 원삼국시대 패총의 현황과 형성배경" 호남고고학회 11 : 2000

      4 김승옥, "호남지역 마한주거지의 편년" 호남고고학회 11 : 2000

      5 김중엽, "호남지역 마한 분묘유적의 연구현황, 마한의 중심 익산 그 회고와 전망"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18

      6 목포대학교박물관, "함평 월야 순촌유적" 2001

      7 전남대학교박물관, "함평 예덕리 만가촌고분군" 2004

      8 이택구, "한반도 중서부지역의 馬韓 墳丘墓" 한국고고학회 (66) : 48-89, 2008

      9 충남대학교박물관, "천안 장산리유적" 1996

      10 김승옥, "중서부지역 마한계 묘제의 성격과 발전과정, 분구묘의 신지평" 전북대학교박물관 2011

      11 전북대학교박물관, "전주 송천동유적" 2004

      12 김은정, "전북지역 주거구조 비교분석을 통한 마한・백제 그리고 가야, 마한・백제 그리고 가야" 호남고고학회 2019

      13 정일, "전남지역 사주식주거지의 구조적인 변천 및 전개과정" 한국상고사학회 54 (54): 115-142, 2006

      14 임영진, "영산강유역 석실봉토분의 성격" 목포대학교박물관・역사문화학회 2000

      15 이정호, "영산강유역 대형옹관에 대한 실험고고학적 연구, 대형옹관 생산과 유통연구의 현황과 과제"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13

      16 목포대학교박물관, "영광 군동유적" 2001

      17 최성락, "삼국의 성립과 발전기의 영산강유역" 한국상고사학회 37 : 87-107, 2002

      18 최완규, "분구묘 연구의 현황과 과제, 분구묘・분구식 고분의 신자료와 백제" 2006

      19 김장석 ; 김준규, "방사성탄소연대로 본 원삼국시대 - 삼국시대 토기편년—중부, 호서,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100) : 46-85, 2016

      20 노중국, "마한의 성립과 변천"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10 : 1987

      21 박순발, "마한사연구" 충남대학교 출판부 1998

      22 최완규, "마한묘제의 형성과 전북지역에서의 전개, 마한" 국립전주박물관 2009

      23 최완규, "마한 성립의 고고학적 일고찰" 한국고대사학회 (79) : 47-96, 2015

      24 (재)호남문화재연구원, "나주 용호고분군" 2003

      25 (재)전남문화재연구원, "나주 구기촌・덕곡유적" 2016

      26 김원룡, "광주 신창리 옹관묘군" 서울대학교 고고인류학과 1964

      27 (재)영해문화유산연구원, "곡성 대평리 유적" 2012

      28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고창의 주구묘" 2005

      29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고창의 주거지Ⅱ" 2006

      30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고창의 주거지Ⅰ" 2006

      31 군산대학교박물관, "고창군의 지석묘" 2009

      32 (재)대한문화재연구원, "고창 칠암리고분" 2017

      33 원광대학교박물관, "고창 죽림리 재해 고인돌 발굴조사 보고서" 2009

      34 (재)호남문화재연구원, "고창 율계리유적" 2007

      35 전주대학교박물관, "고창 예지리・우평리" 2002

      36 (재)호남문화재연구원, "고창 예지리 고분" 2005

      37 (재)호남문화재연구원, "고창 선동유적" 2013

      38 (재)호남문화재연구원, "고창 석교리유적" 2005

      39 (재)전북문화재연구원, "고창 석교리・오호리 유적" 2009

      40 전영래, "고창 상갑리・죽림리 석실고분, 고창 죽림리일대 지석묘군 지표조사보고서"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1992

      41 (재)호남문화재연구원, "고창 부곡리유적" 2006

      42 (재)호남문화재연구원, "고창 부곡리 증산유적Ⅱ" 2011

      43 (재)전라문화유산연구원, "고창 부곡리 연동・내동리유적" 2016

      44 (재)대한문화재연구원, "고창 봉산리 황산유적 Ⅱ・Ⅲ" 2015

      45 (재)호남문화재연구원, "고창 봉덕유적 Ⅰ・Ⅱ" 2003

      46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고창 봉덕리 3・4호분 문화재시굴조사 약보고서" 2019

      47 김중엽, "고창 봉덕리 1호분의 축조와 공간활용에 관한 검토"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5 : 191-232, 2015

      48 (재)호남문화재연구원, "고창 만동유적" 2004

      49 (재)전주문화유산연구원, "고창 두어리 유적" 2018

      50 (재)호남문화재연구원, "고창 동교고분, 고창 선동유적" 2013

      51 (재)전북문화재연구원, "고창 남산리 유적-주거지-" 2007

      52 (재)전북문화재연구원, "고창 남산리 유적-분묘-" 2007

      53 (재)전주문화유산연구원, "고창 금평리・왕촌리・고성리유적" 2015

      54 (재)호남문화재연구원, "고창 교운리유적" 2002

      55 (재)전주문화유산연구원, "고창 紫龍里・石南里유적" 2012

      56 김낙중, "고고학 자료로 본 比利辟中布彌支半古四邑의 위치" 백제학회 (9) : 130-167, 2013

      57 조윤재, "高敞出土銅印考" 한국고고학회 (71) : 102-129, 2009

      58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高敞 鳳德里 1號墳-종합보고서-" 2016

      59 崔完奎, "錦江流域 百濟古墳의 硏究" 崇實大學校 大學院 1998

      60 김승옥, "鋸齒文土器 : 정치적 권위의 상징적 표상" 한국고고학회 36 : 1997

      61 최완규, "湖南地方의 墳墓類型과 그 展開" 호남고고학회 2000

      62 임영진, "全南地域의 墳溝墓, 東아시아의 周溝墓" 호남고고학회 2002

      63 최완규, "全北地方의 周溝墓, 東아시아의 周溝墓" 호남고고학회 2002

      64 김은정, "全北地域 原三國時代 住居止 硏究" 호남고고학회 26 : 59-87, 2007

      65 김승옥, "全北地域 1~7世紀 聚落의 分布와 性格" 한국상고사학회 44 (44): 55-86, 2004

      66 서성훈, "Ⅴ. 살핌-5.독-, 영암 내동리 초분골고분" 국립광주박물관 1986

      67 박영민, "4~6세기 전북지역 분구묘의 양상과 변천" 전북대학교대학원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