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출소(예정)자에게 취업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한국법 무보호복지공단의 허그일자리지원사업에 대한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5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76746
2016
Korean
허그일자리지원사업 ;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 다항로짓분석 ; 출소자 취업 지원 프로그램 ; 초점집단면접
360
미등재
학술저널
37-68(3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출소(예정)자에게 취업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한국법 무보호복지공단의 허그일자리지원사업에 대한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5년...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출소(예정)자에게 취업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한국법
무보호복지공단의 허그일자리지원사업에 대한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5년 2월부터 2015년 10월말까지 공단의 허그일자리지원사업에
참여한 대상자들 중 총 427명을 무선표집하여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방법으로
다항로짓을 활용하여 취업성공 대비 중도탈락과 기간만료에 대한 영향요인을 확인하
고, 사업참여자와 취업전담직원들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각각 실시하여 사업의
발전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의견을 수렴하였다. 분석결과, 사업참여 후 중도탈락과 기간만료에 해당하는 경우 공통적으로 범죄경
력과 대부분의 취업전담직원 업무역량 요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해서 범죄
경력이 1․2범인 경우가, 취업전담직원의 업무역량의 경우 취업전 상담횟수가 평균미
만인 경우, 대면상담횟수가 평균이상인 경우, 상담 못한 경우가 없는 경우가 종속변
수의 범주(중도탈락과 기간만료)에 관계없이 취업에 성공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여기에 추가적으로는 중도탈락의 경우 취업전담직의 업무역량에서는 비대면
상담횟수의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업참여자와의 초점집단면접 결과는 다음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출소(예정)자에게 취업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한국법
무보호복지공단의 허그일자리지원사업에 대한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5년 2월부터 2015년 10월말까지 공단의 허그일자리지원사업에
참여한 대상자들 중 총 427명을 무선표집하여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방법으로
다항로짓을 활용하여 취업성공 대비 중도탈락과 기간만료에 대한 영향요인을 확인하
고, 사업참여자와 취업전담직원들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각각 실시하여 사업의
발전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의견을 수렴하였다. 분석결과, 사업참여 후 중도탈락과 기간만료에 해당하는 경우 공통적으로 범죄경
력과 대부분의 취업전담직원 업무역량 요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해서 범죄
경력이 1․2범인 경우가, 취업전담직원의 업무역량의 경우 취업전 상담횟수가 평균미
만인 경우, 대면상담횟수가 평균이상인 경우, 상담 못한 경우가 없는 경우가 종속변
수의 범주(중도탈락과 기간만료)에 관계없이 취업에 성공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여기에 추가적으로는 중도탈락의 경우 취업전담직의 업무역량에서는 비대면
상담횟수의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업참여자와의 초점집단면접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사전상담시 제공 가능한 서비스 항목에 대해 명확하게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직업훈련 선택과정에서 참여자의 선택에 따른 충분한 정보를 제공해
야 한다. 셋째, 직업훈련을 정할 때에 일부 지부(소)에서는 취업전담직원의 충분한
정보안내 없이 참여대상자의 역량만으로 직업훈련 과목을 정하는 경우가 존재하고
있다. 넷째, 비록 소수의 경험이라 할지라도 대상자에 대한 직업훈련과 취업알선 등
프로그램에 대한 성과의 책임을 대상자 본인에게 돌리려는 듯한 업무태도의 경험은
언제나 지양되어야 한다. 다섯째, 기능센터의 경우 취득할 수 있는 자격증이나 직업
훈련 과목이 정해진 상태에서 입교하므로 과정 중에서 적성에 맞지 않다고 판단한
대상자들에 대한 대안적인 직업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 취업전담직원에 대
한 초점집단면접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전담직원들의 경우 공통적으로 과중
한 사례수에 대한 관리책임을 맡고 있는 것에 대한 부담감이 큰 상태이다. 둘째, 취
업전담직원들은 본인들이 맡고 있는 업무의 성격에 대해서 매우 만족하고 보람도 느
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규직에 비해 상대적으로 급여수준의 차이가 가장 큰 어려
움이라고 언급하였다. 셋째, 취업전담직원의 상담기술의 상향평준화가 요구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공단의 허그일자리지원사업에 대한 몇 가지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groping the development plan of HUG Job Services of Korea Rehabilitation Agency which supplies a job support services for ex-offenders or ex-offender-to-be. To this end, data from 427 among the participants of the services from F...
This study aims to groping the development plan of HUG Job Services
of Korea Rehabilitation Agency which supplies a job support services for
ex-offenders or ex-offender-to-be. To this end, data from 427 among the
participants of the services from February to October in 2015 were taken
from agency offices nationwide. The analysis methods used were
multinomial logit model to identify influences of the drop-outs and the
expired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and the employees
of the services to find a development plan of the service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 the drop-outs and
the expired after participations criminal history and employee’s work
capacities are major influences in both of them. And then the results of
focus group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and the employees were
described. The development plan of HUG Job Support Services of Korea
Rehabilitation Agency from the results were discussed.
목차 (Table of Contents)
수형자의 심리정서 완화를 위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수감 중 가족과의 접촉에 따른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