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수형자들이 수감 중 가족과의 접촉이 가져오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에서 실시하고 있는 수형자 대상의 수감 중 가족과의 접 촉의 방법으로는 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76749
2016
Korean
360
미등재
학술저널
115-137(2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수형자들이 수감 중 가족과의 접촉이 가져오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에서 실시하고 있는 수형자 대상의 수감 중 가족과의 접 촉의 방법으로는 접...
본 연구는 수형자들이 수감 중 가족과의 접촉이 가져오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에서 실시하고 있는 수형자 대상의 수감 중 가족과의 접
촉의 방법으로는 접견, 서신/전화, 귀휴, 가족만남의 집·날, 가족사랑캠프 등을 살펴
보았다. 기존의 국내외 연구들을 통해 수감 중 가족과의 접촉이 수감으로 인해 떨어
져 있는 가족과의 해체를 막고, 수형자에 가족구성원으로부터 얻게 되는 심리적 안
정감이 수감생활이나 출소 후 사회복귀 성공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돕는 요인임을 확
인하였다. 더 나아가 수감 중 가족과의 접촉이 빈번하고 정기적일수록 재범률 또한
낮아짐을 선행연구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긍정적인 영향에도 불구하고
수감 중 가족과의 접촉을 어렵게 하는 방해요소로는 가족의 입장에서는 경제적 어려
움과 낙인감, 수형자의 입장에서는 수감사실을 가족에게 알려야 하는 부담감이 있으
며, 수감 중 가족과의 접촉을 높이기 위해 수형자가 수감 된 초기부터 가족과의 접
촉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수감사실을 다루는 법 등에 대해 제시할 것을 제안하였
다. 본 연구는 수감 중 가족의 접촉을 한 수형자를 대상으로 직접적으로 연구한 것
이 아닌 국내외 연구를 통해 거시적인 관점으로 수감 중 가족과의 접촉에 대한 영향
들을 조망한 것을 한계점으로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o effect of having contact with family to the prisoner during the incarceration. For this, this study examines the ways of contact between prisoners and their family such as interview, letter/phone, being released before the ex...
This study explores to effect of having contact with family to the prisoner
during the incarceration. For this, this study examines the ways of contact
between prisoners and their family such as interview, letter/phone, being
released before the expiration of their sentences, house of family meeting,
day of family meeting and family love camp which is implemented in the
Korea. Through th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identifies prisoners’contact
with their family during the incarceration prevents the family dissolution,
and the psychological stability from the family is the effective factor for
the prisoner’s successive translation. Also, a recidivism decreases as family
contact is frequent and regularity is verified. In spite of these positive
effects, there are barriers of family contact; the financial difficulty, stigma
for prisoner’s families member, and prisoner’s burden that notifies the
family member of his or her incarceration. To increase the family contact
during the incarceration, suggesting way of treating incarceration is
recommended. Limit of this study is that is not conducted directly from
the prisoner, instead it prospects the effects of family contact with
macroscopic view through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수형자의 심리정서 완화를 위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