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특수교사의 교직문화 적응과정: 자부심을 지닌 유아특수교사로의 정착을 향해 나아가기 = Becoming a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016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discover the adaptation proces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dapting to teaching culture by investigating their professional experiences. In order to do this, the grounded theory method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discover the adaptation proces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dapting to teaching culture by investigating their professional experiences. In order to do this, the grounded theory method was applied to analyze collected data: research journals, collected copies of relevant document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eleve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either work at a special class in public kindergartens, or at a private/public special school.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94 concepts, 35 subcategories, and 14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e data. Second, the paradigm model “being as an early childhood teacher” consists of a) phenomena, b) causal conditions, c) the context, d) intervening conditions, e) strategic actions/interactions, and f) the consequences. Phenomena include “teaching students,” “roles and difficulties in supporting inclusive education,” “roles and difficulties in collaborating with parents,” and “the teacher’s sense of isolation from teacher communication.” Causal conditions include “lack of the solid foundation for the profession and support in isolation.” Intervening conditions include “the support and recognition by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stakeholders,” “one’s belief in education,”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and “the degree of one’s understanding of a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ofession.” Strategic actions and interactions include “establishing one’s foothold by carrying out their responsibilities,” “actively coping with the difficulties as well as maintaining goo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erforming the role of priming water while strengthening and showing one’s expertise.” Consequences include “pursuing to settle down as a special education teacher with confidence.” Third, the adaptation process is analyzed into the following four phrases: the beginning phrase of “becoming a teacher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econd phrase of “performing roles and encountering difficulties,” the third phrase of “learning how to survive,” and the last phrase of “exploring ways to improve.” This study gains its meaning through studying a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daptation process; it helps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ir teaching life by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특수교사의 교직생활 경험에 대한 탐구를 통해 이들의 교직문화 적응과정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의 방법을 기반으로 공립유치원 특수학...

      본 연구는 유아특수교사의 교직생활 경험에 대한 탐구를 통해 이들의 교직문화 적응과정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의 방법을 기반으로 공립유치원 특수학급, 공·사립 특수학교 등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특수교사 11명에 대한 심층면담, 연구 참여자 저널, 문서 자료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료로부터 94개의 개념과 35개의 하위범주, 1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 ‘유아특수교사로 살아가기’의 패러다임 모델은 1)중심현상, 2)인과조건, 3)맥락, 4)중재조건, 5)행위/상호작용 전략, 6)결과로 구성되었다. 중심현상은 ‘유아지도’, ‘통합교육 지원’, ‘학부모와의 관계 형성’의 역할과 어려움, 그리고 ‘조직 내 교사의 소외감/위축됨’ 을 포함하고, 인과조건은 ‘유아특수교사직의 기틀 부족과 나 홀로 구조’이다. 맥락은 조직의 풍토, 일반교원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이며, 중재조건은 ‘유아특수교육 관련 당사자의 이해와 인정, 지지 여부’, ‘교육에 대한 자신의 신념’, ‘행·재정적인 지원 여부’, ‘유아특수교사직에 대한 자신의 이해도’가 포함된다. 행위/상호작용 전략은 ‘책무성 다하여 나의 입지 다지기’, ‘원만한 인간관계 맺고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전문성 다지고 드러내며 마중물 역할 해 내기’가 포함된다. 결과는 ‘자부심 갖고 원만한 정착을 향해 나아가기’가 포함된다. 셋째, 유아특수교사의 교직문화 적응 과정은 4단계인 ‘유아특수교사로 살기’ 시작의 단계, ‘역할 수행과 어려움’의 단계, ‘살아남는 방법 터득’의 단계, ‘개선방안 탐색’의 단계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특수교사의 교직문화 적응과정과 그 특성을 밝힘으로써 이들의 교직생활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돕고 전문성 신장의 기초자료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문현, "훈습으로서의 교직 사회화 과정. 한국교육2" 한울 42-70, 1994

      2 장진희, "효율적인 유아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행정지원 방안"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4

      3 박붕서, "한국 혁신학교운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4 오영재, "한국 초등학교 교사문화의 특성과 교육 행정적 함의"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9 (9): 111-136, 2010

      5 박승희, "한국 장애학생 통합교육 : 특수교육과 일반교육의 관계 재정립" 교육과학사 2003

      6 서근원, "학교혁신의 길: 교육인류학의 관점에서" 강현출판사 2012

      7 정동영, "특수학급 교사의 역할 재음미"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6 (6): 67-102, 2013

      8 양승기,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에 관한 연구 : 신규 기간제 교사를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9 박재범, "특수학교의 중,고등부 교사문화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3 (23): 235-259, 2006

      10 이상은,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특수교사들의 직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0 (10): 1-32, 2009

      1 조문현, "훈습으로서의 교직 사회화 과정. 한국교육2" 한울 42-70, 1994

      2 장진희, "효율적인 유아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행정지원 방안"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4

      3 박붕서, "한국 혁신학교운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4 오영재, "한국 초등학교 교사문화의 특성과 교육 행정적 함의"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9 (9): 111-136, 2010

      5 박승희, "한국 장애학생 통합교육 : 특수교육과 일반교육의 관계 재정립" 교육과학사 2003

      6 서근원, "학교혁신의 길: 교육인류학의 관점에서" 강현출판사 2012

      7 정동영, "특수학급 교사의 역할 재음미"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6 (6): 67-102, 2013

      8 양승기,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에 관한 연구 : 신규 기간제 교사를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9 박재범, "특수학교의 중,고등부 교사문화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3 (23): 235-259, 2006

      10 이상은,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특수교사들의 직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0 (10): 1-32, 2009

      11 이상은,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특수교사들의 직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12 변선우, "특수학교와 일반학교 특수교사의 교직생활에 대한 질적 연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3

      13 박재범, "특수학교 교사의 교직문화 탐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8

      14 최영하, "특수학교 교사문화에 대한 현직교사의 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발달장애학회 7 (7): 135-152, 2003

      15 박재범, "특수학교 교사들의 교직문화에 관한 질적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12 (12): 161-176, 2005

      16 최성록, "특수학교 교사들의 교직문화에 관한 연구"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7 임효경, "특수체육교사의 교직 생활과 문화"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4

      18 김남순, "특수교육행정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006

      19 정정진, "특수교육교사의 역할 갈등에 관한 연구" 6 (6): 112-145, 2002

      20 Michael, S., "특수교육개론" 학지사 2010

      21 심우정, "특수교사의 교직사회화 과정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4 (44): 67-95, 2005

      22 임해주, "특수교사 교직문화에 대한 연구 동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5 (15): 175-202, 2014

      23 박수정, "통합학급에서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협력교수에 대한 연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0 (10): 1-20, 2010

      24 김은주, "통합학급 운영 실태 분석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03

      25 박숙영, "통합에 대한 장애유아부모와 유아통합기관 전문가들의요구에 대한 질적연구" 4 (4): 5-27, 2004

      26 박병도, "초임 특수체육 교사의 교직적응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2 : 81-95, 2004

      27 박병도, "초임 특수체육 교사들의 교직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2 (12): 109-126, 2005

      28 황순영, "초임 특수교사의 교직생활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0 (40): 185-210, 2006

      29 이순자,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통합교육을 위한 노력과 실행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인류학회 19 (19): 75-127, 2016

      30 이순자,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문화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277-313, 2013

      31 조정우, "초등학교 초임 특수교사의 교직생활"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6

      32 이정선, "초등학교 교직문화에 대한 이해" 51-87, 2000

      33 양승기, "초등 특수학급 신규 기간제 교사의 교직 적응 어려움 및 개선 요구에 대한 질적 접근" 한국통합교육학회 6 (6): 71-98, 2011

      34 조건상, "체육교사의 교직문화 적응을 위한 활동전략"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399-416, 2015

      35 유홍준, "직업정체성 척도개발과 직업정체성의 선행 및 결과변인들 간 관계 검증"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7 (27): 617-642, 2014

      36 임해주,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문화 적응 과정"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5

      37 최희진, "중학교 초임 체육교사의 교직사회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38 김병찬, "중학교 교사들의 교직문화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1 (21): 1-28, 2003

      39 최월순, "중특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사회화 과정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40 이혜영, "중등학교 교사의 생활과 문화" 한국교육개발원 2001

      41 박재범, "중등 특수학교 초임교사의 교직적응에 관한 사례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53-72, 2010

      42 유은영,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교직문화 연구 : 특수 교사의 학교생활과 삶의 모습"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43 Merriam, S. B., "정성연구방법론과 사례연구" 교우사 2005

      44 강희연, "장애통합학급 유아교사의 체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149-175, 2011

      45 오혜정, "장애유아의 교육적 통합에 대한 일반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행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213-232, 2010

      46 이효정, "장애유아 통합학급에서 관계적 경험의 의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47 임부연,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어려움에 대한 유아교사의 내러티브 탐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9 (9): 1-24, 2009

      48 김경숙,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간 협력체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291-319, 2006

      49 남춘단,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경험한 유치원 교사들의 내러티브 탐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50 박소영, "장애유아 통합교육기관의 협력교수 수행 과정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7

      51 황희숙, "장애유아 완전통합학급 교사들의 교육과정 실행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6 (16): 269-292, 2009

      52 이소현, "장애 유아를 위한 일반 유아교육과정 기반의 개별화교육계획 실행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개별화 교육과정 운영 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2 (12): 59-90, 2012

      53 이소현, "장애 유아 의무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연구의 동향 및 지원요소 분석"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3 (13): 209-231, 2013

      54 박지영, "장애 유아 교육과정 편성 및 실행에 대한 단설 유치원 특수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395-417, 2012

      55 이두휴, "일반학교 특수학급에 배치된 초임 특수교사의 교직사회화 과정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15 (15): 205-237, 2005

      56 김향지, "일반초등학교 초임 특수교사의 고충과 교직 적응 지원 방안"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335-350, 2009

      57 양진희, "유치원에서 장애유아 통합교육 운영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인식에 관한 문화기술적 탐구" 한국아동학회 26 (26): 209-230, 2005

      58 김지헌, "유치원교사의 장애유아 통합교육 효과에 대한 질적 연구"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59 이형준, "유아특수학교 교사들의 교직문화에 대한 질적 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60 조광순, "유아특수교육 기관의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을 위한 진단 평가의 현황" 한국특수교육학회 39 (39): 87-125, 2005

      61 이찬희, "유아특수교사의 교직생활 어려움 및 보람에 관한 사례연구" 전남대학교대학원 2015

      62 강미라, "유아특수교사와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 비교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251-267, 2009

      63 하수진,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협력교수 실행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3 (13): 75-112, 2013

      64 이병인, "우리나라 유아특수교육에서의 특수교육보조원 지원 요구 분석 및 지원 방안 연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4 (14): 1-34, 2014

      65 이승연, "사립유치원 교사들의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어려움과 지원 요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4 (24): 5-30, 2007

      66 이귀애, "보육시설장의 장애영유아 통합보육 경험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1

      67 한대동, "배움과 돌봄의 학교공동체" 학지사 2009

      68 조영둘, "무용교사로 살아가기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9

      69 김윤성, "동료성에 기반한 수업 중심의 학교 문화 탐색"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70 Strauss, A., "근거이론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2001

      71 이병식, "근거이론의 발견 : 질적 연구 전략" 학지사 2011

      72 Strauss, A., "근거이론의 단계" 현문사 2001

      73 박재범, "교직생활에 드러난 특수학교 교직문화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369-401, 2009

      74 Lortie, D. C., "교직사회-교직과 교사의 삶-" 양서원 1993

      75 조용환, "교육학에서의 문화연구: 문화에 대한 다학문적 접근" 1995

      76 송연옥, "교사들의 디지털교과서 사용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 혁신의 고비 넘기"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2

      77 김영천, "교과교육과 수업에서의 질적연구" 문음사 2004

      78 강선화, "공립유치원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만족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5 (45): 227-250, 2010

      79 김경민, "공립유치원 유아특수교사의 직무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3 (13): 1-30, 2013

      80 이순자, "공립유치원 유아특수교사의 교직사회화 과정에 대한사례 연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4 (14): 125-165, 2014

      81 이순자, "공립유치원 교사의 유치원 조직구조 유형에 따른 교직생활 특성 탐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1-45, 2008

      82 黃起牛, "韓國 初等學校의 敎師文化에 관한 解析的 分析"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3

      83 洪載鎬, "敎師文化와 效果的인 學校의 關係 分析"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5

      84 Eisenman, L. T., "Voi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an Inclusive High School : Redefining Responsibilities" 32 (32): 91-104, 2011

      85 Hargreaves, A., "Understanding teacher development" Cassell Villiers House 219-240, 1992

      86 Stolp, S., "Transforming school culture: Stories, symbols, values & the leaders role"

      87 Stell, J. D., "The role of the special education resource teacher in the context of school culture" University of Northern Colorado 1989

      88 Walker-Wied, J. K., "The role of a school's culture in the induction and socialization of two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an Alternative Certification Program" The University of Wisconsin 2005

      89 Acker, S., "Teacher' culture in english primary school : Continuity and change" 11 (11): 257-273, 1990

      90 최귀순, "Strauss와 Glaser의 근거이론방법론 비교" 14 (14): 82-90, 2005

      91 Odem, S. L., "Relative effects of intervention supporting the social competence of youg children with disabilities" 19 (19): 75-91, 2000

      92 Walther-Thomas, C., "Planning for effective co-teaching : The key to successful inclusion" 17 : 255-263, 1996

      93 Evans, S., "Perceptions of classroom teachers, principals, and resource room teachers of the actual and desired roles of the resource teacher" 14 (14): 600-603, 1981

      94 Albert, S, "Organizational identity.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in Cummings. 7" JAI Press 263-295, 1985

      95 Albert, S., "Organizational identity and identification. Charting new waters and building new bridges" 25 (25): 13-17, 2000

      96 Schein, E. H.,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Jossey-Bass Business & Management Series 2004

      97 Lincoln, Y. S., "Naturalistic inquiry" Sage Publications 1985

      98 Friend, M., "Interactions: Collaboration skills for school professionals" Pearson 2007

      99 Spindler, G, D., "Education and Cultural Process" Holt Rinehart and winston 1974

      100 Hatch, J. A., "Doing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setting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2

      101 Friend, M., "Coteaching:An illustration of the complexity of collaboration in special education" 20 : 9-27, 2010

      102 Bauwens, J., "Cooperative teaching : a model for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integration" 10 (10): 17-22, 1989

      103 Pugach, M. C., "Collaborative practitioners, collaborative schools" Love Publishing Co 1995

      104 Cook, L., "Co-teaching: Guidelines for Creating Effective Practices" 28 (28): 1-16, 1995

      105 Chang, B. R., "Climate and culture of Taiwan's new special education schools: A study of teachers' and principals' perceptions" Ohio University 1998

      106 Bamder, E. M., "Big 5 auditors’ professional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 Consistency or conflict?" 21 (21): 21-38, 2002

      107 Corbin, J.,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Sage 2015

      108 Cook, R. E., "Adapting early childhood curricula for children in inclusive setting" Prentice-Hall. Inc 2000

      109 교육부, "2017 특수교육연차보고서" 교육부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2-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Anthropology of Education -> The Journal of Anthropology of Educ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5 1.45 1.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5 1.903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