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무등산 불교미술의 신앙적 양상과 교류 = Mount Mudeung’s Buddhist cultural heritage: historical and religious characterist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492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무등산 불교문화유산의 신앙적 양상과 교류에 관한 글이다. 예술은문화를 토대로 탄생하고 문화는 그 지역별로 중심지가 존재한다. 현재는 무등산 불교문화가 쇠락하였지만 늦어도...

      이 글은 무등산 불교문화유산의 신앙적 양상과 교류에 관한 글이다. 예술은문화를 토대로 탄생하고 문화는 그 지역별로 중심지가 존재한다. 현재는 무등산 불교문화가 쇠락하였지만 늦어도 남신라시대부터 이 지역의 행정중심지이자 문화중심지로서 그 문화가 찬란하게 번성하였음을 남아있는 유물을 통해짐작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무등산의 불교문화는 고립된 특수한 상황이 아니라 한국 불교문화의 축소판과 같은 보편성을 보여주는 것임을 다음과 같이알 수 있었다.
      먼저 신라하대의 개선사지 석등은 9세기 후반의 작품으로 왕실발원 명문을가지고 있다. 이 석등의 명문은 좌에서 우로 쓰여 진 비한문식이고 ‘京租’의해석에서 서울에 내는 세금이 아닌 벼의 품종에 불과하다는 점을 새롭게 보았다. 그리고 증심사 등 무등산 남록을 중심으로 신라 하대 이후 무등산에 끼친선종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둘째 원효사 소조불은 화엄의 영향으로 고려시대에 천불로 조성된 작품이다. 기존에는 제작시기를 고려 후기로 추정하였으나 이 글에서는 고려중기로재고하였다. 원효사 소조천불의 조성 배경에는 11세기에 신라말에서 고려초에걸쳐 강력한 영향력을 끼친 선종이 침체하고 교종이 부흥하는 사실과 연관 지어 보았다. 11세기 말에는 대각국사 의천에 의해 원효의 재평가가 이루어졌고이후 그에 연원을 둔 교학이 주목되었다. 이에 따라 무등산 북쪽 기슭의 교종사찰 원효사와 남쪽 기슭의 선종을 대표하는 증심사가 대치되는 양상이 있었음을 보았다.
      셋째 조선후기 불화의 畵聖으로 불리는 의겸이 이 지역에 연고를 두었음을알 수 있었다. 의겸의 활동은 임란의 피해를 복구하고 이룬 경제적 안정과 대흥사를 필두로 고양된 화엄학을 배경으로 한다. 19세기 불화승을 대표하는 원효사의 두 화승인 풍계현정과 원담내원의 배출 역시 그러한 바탕이 전조가 되었다. 각각 그들은 대흥사 천불전 천불과 대광명전의 불화를 제작하였다. 그들의 폭넓은 교류를 통하여 무등산이 19세기 불화제작의 주요 거점 중의 하나였음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article was to examine cultural heritage associated with Mount Mudeung, South Jeolla Province, South Korea, in order to infer this region’s cultural identity. Furthermore, Buddhist sculptures and paintings around this area were revie...

      The aim of this article was to examine cultural heritage associated with Mount Mudeung, South Jeolla Province, South Korea, in order to infer this region’s cultural identity. Furthermore, Buddhist sculptures and paintings around this area were reviewed, which showed the region’s cultural exchanges with other provinces in Korea. Buddhism flourished in this region for a long time with a number of remains. Given this region’s central role in administration and transportation, Mount Mudeung’s Buddhist cultural heritage presents an example of Korea’s Buddhist faith development.
      Gae-sun temple site ‘stone tower’ was built in the second half of the 9th century, sponsored by the royal family of Silla dynasty. It does not have the classical solemnity seen in the stone tower in Hwa-um temple.
      Instead it shows a cheerful and decorative trend of the period. A counterclockwise directional script inscribed on the stone tower is not a typical Chinese script. A new interpretation was offered for the script.
      Furthermore, the influence of the Zen sect on Mount Mudeung’s Buddhist cultural heritage after the late period of Silla dynasty(780 -935AD) was inferred from remains such as the iron Vairocana Buddha statue at Jeungsim Temple.
      There was an influence of Avatamska Sutra tradition on Won-hyo temple’s ‘molded Buddha statue’. It was considered to be built in late Koryo dynasty. This dating was based on the style of garments for the Buddha Statue. Given that this style can be found in Buddha statues from Sung dynasty that was a ruling dynasty in China between 960 and 1279AD, it is possible to consider it to be built in mid Koryo dynasty. In the late 11th century, non-Zen sects of Buddhism flourished, while the influence of the Zen sect diminished. Won-hyo temple’s ‘molded Buddha statue’ might have been built under this circumstance. Around Mount Mudeung, there was a contrast: Won-hyo temple (non-Zen sect) at the north and Jeungsim Temple (Zen sect) at the south.
      Euigyeom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prominent monk painters during late-Chosun period. His art work remains in Seo-bong temple where his teacher and parents died. His active art work was based on the influence of the Avatamska Sutra. During his time, this region’s economy was in a recovery (or booming) phase, after the destruction caused by Japanese invasion of Korea (Chosun dynasty) in 1592. His two successors in the 19th century in Won-hyo temple followed the Avatamska Sutra. They produced paintings in Dae-heuing temple.
      Considering their influence, it could be concluded that Mount Mudeung was a center of Buddhist paintings in the 19th centur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덕, "金剛界曼茶羅의 韓國的 變容에 관한 연구" 한국불교연구원 34 (34): 147-173, 2011

      2 김진현, "화엄대회를 통해 본 조선불교사 재고" 한국불교학회 (59) : 129-162, 2011

      3 정민, "호남의 한문전통과 한문학: 漢文學 遺産 속에 가려진 無等山의 표상 -山水遊記를 중심으로" 21 : 1998

      4 도수희, "한국의 지명" 아카넷 2003

      5 송광사본말사, "한국의 불화 6" 성보문화재연구원 1998

      6 배규범, "청허당집" 지만지 2008

      7 김정희, "조선후기 화승연구: 금암당 천여" 29 : 1998

      8 "조선사찰자료 上" 조선총독부 1918

      9 "조계산송광사사고" 아세아문화사 1977

      10 김상현, "일본표해록" 동국대학교 출판부 2010

      1 김영덕, "金剛界曼茶羅의 韓國的 變容에 관한 연구" 한국불교연구원 34 (34): 147-173, 2011

      2 김진현, "화엄대회를 통해 본 조선불교사 재고" 한국불교학회 (59) : 129-162, 2011

      3 정민, "호남의 한문전통과 한문학: 漢文學 遺産 속에 가려진 無等山의 표상 -山水遊記를 중심으로" 21 : 1998

      4 도수희, "한국의 지명" 아카넷 2003

      5 송광사본말사, "한국의 불화 6" 성보문화재연구원 1998

      6 배규범, "청허당집" 지만지 2008

      7 김정희, "조선후기 화승연구: 금암당 천여" 29 : 1998

      8 "조선사찰자료 上" 조선총독부 1918

      9 "조계산송광사사고" 아세아문화사 1977

      10 김상현, "일본표해록" 동국대학교 출판부 2010

      11 강소연, "일본 다나카家 소장 고려말기 <毘盧遮那三千佛圖>에 대한 고찰 -三千大天世界에 충만한 法身의 조형적 표현-" 한국미술사학회 261 (261): 5-39, 2009

      12 문명대, "원효사의 소천불상, In 삼매와 평담미, 한국의 불상조각 4" 예경 2003

      13 남동신, "원효" 새누리 1999

      14 "신증동국여지승람"

      15 문명대, "선운사 대웅보전 三身三世佛形 毘盧遮那 三佛壁畵의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30) : 75-100, 2008

      16 이용윤, "삼세불의 형식과 개념 변화" 동악미술사학회 (9) : 91-118, 2008

      17 나경수, "무등산 전설의 연구" 한국민속학회 41 : 225-254, 2005

      18 신법타, "무등산 원효사" 원효사 1980

      19 박선홍, "무등산" 도서출판 금호문화 1998

      20 "무등산" 광주직할시・향토문화개발협의회 1988

      21 이고운, "명산고찰(名山古刹)따라" 신문출판사 1987

      22 "래여애반다라"

      23 범해, "동사열전" 광제원 1991

      24 "동국여지승람"

      25 정민, "대흥사 천불전 부처의 일본 표류와 조선표객도" 48 : 2009

      26 박명희, "국역 무등산유산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2010

      27 이평래, "고려후기 수리시설의 확충과 수전개발" 5 : 1991

      28 崔柄憲, "高麗時代 華嚴學의 變遷" 민족사 1992

      29 邊東明, "高麗後期의 無等山信仰과 光州" 38 : 2000

      30 許興植, "韓國中世佛敎史硏究" 一潮閣 1994

      31 고경명, "遊瑞石錄" 霽峯全集

      32 김승희, "禪雲寺・來蘇寺・開巖寺 大雄寶殿의 佛敎繪畵" 3 : 2000

      33 權克和, "瑞石圭峯記, In 臥遊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77

      34 오세창, "槿域書畵徵" 시공사 1998

      35 "東國李相國集"

      36 金廷禧, "朝鮮後期 畵僧 硏究(2): 海雲堂 益贊" 한국불교미술사학회 (18) : 83-123, 2002

      37 李薰, "朝鮮後期 漂流民과 韓日關係" 國學資料院 2000

      38 안귀숙, "朝鮮後期 佛畵僧의 系譜와 義謙比丘에 관한 硏究」(上)" 8 : 1994

      39 曺凡煥, "新羅 下代 景文王의 佛敎政策" 16 : 1999

      40 "文化遺蹟總覽" 문화재관리국 1977

      41 최남선, "尋春巡禮, In 육당최남선전집 6" 현암사 1973

      42 김정희, "大興寺 法身中圍會三十七尊圖考: 朝鮮時代 密敎系 佛畵의 硏究(1)" 238・239 : 2003

      43 冲止, "圓鑑國師集" 亞細亞文化社 1998

      44 "光州市史" 광주시사편찬위원회 1965

      45 "光州-유구한 문화의 도시"

      46 成春慶, "光州 證心寺 石造菩薩立像에 대한 考察" 한국문화사학회 (21) : 693-718, 2004

      47 "元曉寺"

      48 "元曉大師"

      49 이영호, "11세기 한국불교계의 선종(禪宗) 상황과 특징" 불교문화연구원 (56) : 85-110,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전남사학 -> 역사학연구 KCI등재
      2006-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전남사학회 -> 호남사학회
      영문명 : Chonnam Historical Association -> Honam Historical Associ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 1.18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