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인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행동 의도 :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의지와 외국인의 국적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934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ways to improve Korean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ehavior. The research was planned to explain Korean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with psychological factor (Intercultural Willingness to Communicate, IWTC), situational factor (Foreigners’ nationality: American, Korean Chinese (chosunjok), Indonesian),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psychological factor and situational factor (IWTC × Foreigners’ nationality: American, Korean Chinese (chosunjok), Indonesian). A Survey experiment was conducted, and data from 654 Korean participants were gathered. First, psychological factor could explain Korean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Koreans with higher level of IWTC exposed higher probability to engage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dividual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pprehension and their understanding of injunctive norm regarding to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uld affect the level of individuals’ IWTC. Next, situational factor could partially explain Korean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Koreans appears to have relatively positive attitude when they met Americans as a communication counterpart compared to the situation when they met Korean Chinese (chosunjok). Lastly,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psychological factor and situational factor could not explain Korean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his was discussed in the conclusion.
      번역하기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ways to improve Korean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ehavior. The research was planned to explain Korean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with psychological factor (Intercultural Willingn...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ways to improve Korean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ehavior. The research was planned to explain Korean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with psychological factor (Intercultural Willingness to Communicate, IWTC), situational factor (Foreigners’ nationality: American, Korean Chinese (chosunjok), Indonesian),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psychological factor and situational factor (IWTC × Foreigners’ nationality: American, Korean Chinese (chosunjok), Indonesian). A Survey experiment was conducted, and data from 654 Korean participants were gathered. First, psychological factor could explain Korean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Koreans with higher level of IWTC exposed higher probability to engage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dividual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pprehension and their understanding of injunctive norm regarding to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uld affect the level of individuals’ IWTC. Next, situational factor could partially explain Korean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Koreans appears to have relatively positive attitude when they met Americans as a communication counterpart compared to the situation when they met Korean Chinese (chosunjok). Lastly,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psychological factor and situational factor could not explain Korean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his was discussed in the conclus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다수의 한국인들이 실제 경험할 법한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호의적인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행동을 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을 할 수 있을지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심리적 요인(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의지), 상황적 요인(외국인의 국적: 미국인, 조선족, 인도네시아인), 그리고 심리적 요인과 상황적 요인의 상호 작용(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의지×외국인의 국적: 미국인, 조선족, 인도네시아인)을 통해 한국인들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행동 의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심리적 요인은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행동 의도를 잘 설명할 수 있었다. 한국인들은 높은 수준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의지를 가질수록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에 참여하려는 행동 의도를 가질 확률이 높았다.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의지 형성에는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불안감,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명령적 규범 인식이 주요한 영향을 미쳤다. 상황적 요인은 한국인들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행동 의도를 부분적으로 설명했다. 한국인들은 조선족에 비해 미국인을 만난 경우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행동을 보다 적극적으로 시작하고자 했다. 심리적 요인과 상황적 요인의 상호 작용은 한국인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행동 의도를 설명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결론에서 진행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대다수의 한국인들이 실제 경험할 법한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호의적인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행동을 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을 할 수 있을지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

      본 연구는 대다수의 한국인들이 실제 경험할 법한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호의적인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행동을 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을 할 수 있을지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심리적 요인(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의지), 상황적 요인(외국인의 국적: 미국인, 조선족, 인도네시아인), 그리고 심리적 요인과 상황적 요인의 상호 작용(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의지×외국인의 국적: 미국인, 조선족, 인도네시아인)을 통해 한국인들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행동 의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심리적 요인은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행동 의도를 잘 설명할 수 있었다. 한국인들은 높은 수준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의지를 가질수록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에 참여하려는 행동 의도를 가질 확률이 높았다.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의지 형성에는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불안감,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명령적 규범 인식이 주요한 영향을 미쳤다. 상황적 요인은 한국인들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행동 의도를 부분적으로 설명했다. 한국인들은 조선족에 비해 미국인을 만난 경우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행동을 보다 적극적으로 시작하고자 했다. 심리적 요인과 상황적 요인의 상호 작용은 한국인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행동 의도를 설명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결론에서 진행하였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