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쾌락적 허기짐, 충동성이 폭식 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동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Relationships of hedonic hunger, impulsivity, and binge eating: Emphasis on moderating effect of impulsiv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018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objection of this study were to confirm the effect of hedonic hunger and impulsivity on binge eating, and to the moderating effect of impulsivity between hedonic hunger and binge eating. This study were conducted for 327 men and women in their 20s.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edonic hunger and impulsivity were the significant factors that explain binge eating. secondly, Food Available and Negative Urgency wer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sub-factors of hedonic hunger and impulsivity. Lastly, The moderating effect of impulsivity between hedonic hunger and binge eat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Negative Urgency between Food Available and binge eating were the significant factors that explain binge eating.
      번역하기

      This objection of this study were to confirm the effect of hedonic hunger and impulsivity on binge eating, and to the moderating effect of impulsivity between hedonic hunger and binge eating. This study were conducted for 327 men and women in their 20...

      This objection of this study were to confirm the effect of hedonic hunger and impulsivity on binge eating, and to the moderating effect of impulsivity between hedonic hunger and binge eating. This study were conducted for 327 men and women in their 20s.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edonic hunger and impulsivity were the significant factors that explain binge eating. secondly, Food Available and Negative Urgency wer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sub-factors of hedonic hunger and impulsivity. Lastly, The moderating effect of impulsivity between hedonic hunger and binge eat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Negative Urgency between Food Available and binge eating were the significant factors that explain binge eat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쾌락적 허기짐과 충동성이 폭식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쾌락적 허기짐과 폭식 행동의 관계에서 충동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329명의 20대 남성과 여성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부정 및 긍정 긴급성, 계획성 및 지속성 부족, 음식 추구, 음식 맛과 폭식행동 간의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쾌락적 허기짐과 충동성의 하위요인들 중 음식 추구(Food Available)와 부정 긴급성(Negative Urgency)이 폭식 행동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쾌락적 허기짐과 폭식 행동의 관계에서 충동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났고, 음식 추구와 폭식 행동의 관계에서 부정 긴급성의 조절효과도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쾌락적 허기짐과 충동성을 조절할 수 있는 치료적 개입에 대한 함의점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쾌락적 허기짐과 충동성이 폭식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쾌락적 허기짐과 폭식 행동의 관계에서 충동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329명의 20대 남...

      본 연구의 목적은 쾌락적 허기짐과 충동성이 폭식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쾌락적 허기짐과 폭식 행동의 관계에서 충동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329명의 20대 남성과 여성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부정 및 긍정 긴급성, 계획성 및 지속성 부족, 음식 추구, 음식 맛과 폭식행동 간의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쾌락적 허기짐과 충동성의 하위요인들 중 음식 추구(Food Available)와 부정 긴급성(Negative Urgency)이 폭식 행동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쾌락적 허기짐과 폭식 행동의 관계에서 충동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났고, 음식 추구와 폭식 행동의 관계에서 부정 긴급성의 조절효과도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쾌락적 허기짐과 충동성을 조절할 수 있는 치료적 개입에 대한 함의점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영경, "중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주는 개인 내적 요인"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8

      2 김수정, "아동학대가 우울⋅불안과 공격성에 미치는 지속 효과와 최신 효과에 대한 종단 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43) : 1-28, 2013

      3 고나래, "아동, 청소년기 복합외상경험이 정서조절과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4 조지영, "소년원 남자 청소년의 불안과 공격성의 관계 : 행동활성화체계(BAS), 행동억제체계(BIS)의 조절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5 박혜은, "부모로부터의 학대 경험이 초등학교 고학년 남녀 아동의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과 의도적 통제의 조절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6 권민정, "부모로부터의 학대 경험이 중학생의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 한국아동학회 36 (36): 71-89, 2015

      7 홍상황, "경계선 성격장애 척도의 타당화 연구" 17 (17): 259-271, 1998

      8 박성원, "경계선 성격 성향과 부정 긴급성이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주의편향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임상심리학회 36 (36): 20-32, 2017

      9 Ostrov, J. M., "The utility of forms and functions of aggression in emerging adulthood : Association with personality disorder symptomatology" 37 (37): 1147-1158, 2008

      10 Hayes, A. F., "The relative trustworthiness of inferential tests of the indirect effect in statistical mediation analysis : Does method really matter?" 24 (24): 1918-1927, 2013

      1 한영경, "중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주는 개인 내적 요인"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8

      2 김수정, "아동학대가 우울⋅불안과 공격성에 미치는 지속 효과와 최신 효과에 대한 종단 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43) : 1-28, 2013

      3 고나래, "아동, 청소년기 복합외상경험이 정서조절과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4 조지영, "소년원 남자 청소년의 불안과 공격성의 관계 : 행동활성화체계(BAS), 행동억제체계(BIS)의 조절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5 박혜은, "부모로부터의 학대 경험이 초등학교 고학년 남녀 아동의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과 의도적 통제의 조절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6 권민정, "부모로부터의 학대 경험이 중학생의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 한국아동학회 36 (36): 71-89, 2015

      7 홍상황, "경계선 성격장애 척도의 타당화 연구" 17 (17): 259-271, 1998

      8 박성원, "경계선 성격 성향과 부정 긴급성이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주의편향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임상심리학회 36 (36): 20-32, 2017

      9 Ostrov, J. M., "The utility of forms and functions of aggression in emerging adulthood : Association with personality disorder symptomatology" 37 (37): 1147-1158, 2008

      10 Hayes, A. F., "The relative trustworthiness of inferential tests of the indirect effect in statistical mediation analysis : Does method really matter?" 24 (24): 1918-1927, 2013

      11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 1986

      12 Stinson, J. D., "The impact of trauma on the onset of mental health symptoms, aggression, and criminal behavior in an inpatient psychiatric sample" 61 : 13-22, 2016

      13 Hoeve, M.,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hood maltreatment, mental health problems, and aggression in justice‐involved boys" 41 (41): 488-501, 2015

      14 Richey, A., "The Role of Hostile Attributions in the Associations Between Child Maltreatment and Reactive and Proactive Aggression" 25 (25): 1043-1057, 2016

      15 Vitaro, F., "Subtypes of aggressive behaviors : A developmental perspective" 30 (30): 12-19, 2006

      16 Bandura, A., "Social learning analysis of aggression" Lawrence Erlbaum 1976

      17 Dodge, K. A., "Reactive and proactive aggression in school children and psychiatrically impaired chronically assaultive youth" 106 (106): 37-, 1997

      18 Conner. K. R., "Reactive aggression and suicide : Theory and evidence" 8 : 413-432, 2003

      19 Shields, A., "Reactive aggression among maltreated children : The contributions of attention and emotion dysregulation" 27 (27): 381-395, 1998

      20 Gabbard, G. O., "Psychodynamic psychiatry in clinical practice" American Psychiatric Pub 2014

      21 Fossati, A., "Predicting borderline and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features in nonclinical subjects using measures of impulsivity and aggressiveness" 125 (125): 161-170, 2004

      22 Crittenden, P. M., "Physical and psychological maltreatment in middle childhood and adolescence" 6 (6): 145-164, 1994

      23 Morey, L. C., "Personality assessment screener"

      24 Blair, R. J. R., "Neuroimaging of psychopathy and antisocial behavior : a targeted review" 12 (12): 76-82, 2010

      25 Chen, P., "Moderating effects of childhood maltreatment on associations between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adult aggression" 42 (42): 1293-1304, 2012

      26 Berkowitz, L., "Frustration-aggression hypothesis : examination and reformulation" 106 (106): 59-73, 1989

      27 Marsee, M. A., "Exploring the cognitive and emotional correlates to proactive and reactive aggression in a sample of detained girls" 35 : 969-981, 2007

      28 Linehan, M. M.,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for patien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drug-dependence" 8 (8): 279-292, 1999

      29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2013

      30 Hodgdon, H. B., "Child maltreatment and aggression: The mediating role of moral disengagement,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callousness among juvenile offenders" Temple University 2009

      31 Ford, J. D., "Child abuse and aggression among seriously emotionally disturbed children" 39 (39): 25-34, 2009

      32 Adler, G., "Borderline psychopathology and its treatment" Aronson 1985

      33 Kaplan, C.,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in youth : The prospective impact of child abuse on non-suicidal self-injury and suicidality" 71 : 86-94, 2016

      34 Sobel, M. E.,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13 : 290-312, 1982

      35 Frias, A., "Anxious adult attachment ma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10 (10): 274-284, 2016

      36 Mancke, F., "Aggression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 multidimensional model" 6 (6): 278-291, 2015

      37 Rauch, S. L., "A symptom provocation study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using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and script-driven imagery" 53 (53): 380-387,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4-04-1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linical Psychology -> Korean Clinical Psychology Association
      2005-01-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심리학회 산하 임상심리학회 -> 한국임상심리학회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