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로들을 어떻게 대우할 것인가의 문제는 어느 전쟁에서나 발생하지만, 한국전쟁에서 포로라는 사안은 좀 더 각별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실제로, 한국전쟁은 포로 개인의 자유의사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645646
장세진 (한림대학교)
2016
Korean
포로 ; 난민 ; 수용소 ; UN ; 거제도 ; 냉전 ; 국민 ; 자원송환원칙 ; 김수영 ; 허남기 ; 강용준 ; 중립국 ; 인권 ; 증언 ; POW(Prisoner of war) ; refugees ; POW’s camp ; UN ; Geojedo ; Cold War ; nation ; Voluntary Repatriation ; Kim Suyoung ; Hur Namgi ; Kang Yongjun ; neutral state ; human rights ; Testimony
KCI등재
학술저널
9-61(53쪽)
1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포로들을 어떻게 대우할 것인가의 문제는 어느 전쟁에서나 발생하지만, 한국전쟁에서 포로라는 사안은 좀 더 각별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실제로, 한국전쟁은 포로 개인의 자유의사를 ...
포로들을 어떻게 대우할 것인가의 문제는 어느 전쟁에서나 발생하지만, 한국전쟁에서 포로라는 사안은 좀 더 각별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실제로, 한국전쟁은 포로 개인의 자유의사를 존중하여 이들이 향후 국적을 선택할 수 있게 한 이른바 ‘자원송환(Voluntary Repatriation)원칙’이 국제적 논쟁 끝에 도입된 최초의 전쟁이었다. 그 결과 포로란 ‘정치적 망명권’이 부여된, “자유로운 의사를 가진 개인이라는 미국식 자유주의의 원칙”을 전면에 내세운 개념으로 규정되기에 이른다. 원칙적으로, 이제 포로들은 출신 국가에 자동 귀속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선택으로 미래 ‘국민’의 자격을 획득할 수 있는 존재가 되었다. 그러나 이 글은 외부에서 부과된 규정이 아닌 포로들의 시점을 취한 다양한 형태의 글쓰기 내부로부터, 말하자면 포로들 자신의 체험적 서사를 통해 한국전쟁 포로란 과연 어떤 존재였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해보려는 시도이다. 포로들 스스로에 의한 자기재현(self-representational)적 글쓰기는 포로에 관한 국제법적 개념이 정작 당사자인 포로들의 삶에서 어떤 의미를 가졌는지를 되묻고, 또한 해당 개념이 당시 현실 속에서 실제적으로 수행(performance)한 효과들을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게 만드는, 의미 있는 아카이브이다.
포로들의 체험적 서사를 통해 이 글이 밝히고자 한 것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포로들은 국제법과 UN의 권위에 의해 정의된 존재이기도 했지만, 동시에 그들은 은유적인 의미에서 남한 냉전 주체의 원형이라 할 만한 존재들이었다는 점이다. 그들은 절박한 ‘국민-되기’의 글쓰기를 생산함으로써 ‘자유로운 개인’이라는 이상적(ideal) 휴머니즘의 원칙이 냉전의 현실 정치 논리 속에서 굴절되고 습합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둘째, 이 글은 포로들의 시점을 취한 텍스트가 재현 작용 특유의 역량을 통해 상황을 ‘증언’하고 있다는 점 또한 강조했다. 이 글에서 사용하는 증언의 의미는 “망각에 대항해서 ‘학살’의 기억을 잊지 말자”는 식의, ‘망각’ vs ‘기억’의 대립 구도로 축소될 성질의 것은 아니다. 중언과 관련해 이 글에서 보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은 오히려 ‘기억해야 할 것’과 ‘망각해야 할 것’을 지시하는 “발화 주체의 위치 설정”이며,“국민의 이야기와는 다른 위치 설정”을 읽어내려는 대안적인 독서와 해석의 가능성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ssue of appropriate treatment of POWs is a common topic of discussion in every war. Nevertheless, the issue of the POWs from the Korean War requires particular attention. In fact, after vigorous international discussion on the matter, the Korean ...
The issue of appropriate treatment of POWs is a common topic of discussion in every war. Nevertheless, the issue of the POWs from the Korean War requires particular attention. In fact, after vigorous international discussion on the matter, the Korean War became the first to implement so-called “voluntary repatriation,” a principle stating that POWs’ free will should be respected by allowing them to choose their nationality at the end of the war. As a result, POWs came to be defined under the principle of American liberalism:individuals with free will and a “right of asylum.” In theory, POWs became individuals with a right to acquire the “citizenship” of their choice, rather than automatically returning to their country of birth. However, the present article attempts to answer the question of the identity of Korean War POWs by examining various forms of writing by the POWs themselves, that is, their own narratives of their experiences in the war, unadulterated by the definitions given to them by external agents. The POWs’ s elf-representational writings are meaningful archives that allow us to examine the ways the concept of POWs as defined by international law played out in their lives, as well as to critically reflect on the practical effects of this concept at the time.
By examining the POWs’ experimental narratives, the present article sought to uncover two things. First, although the POWs were defined by the international law and authority of the UN, they were also the main agents of the South Korean cold war in analogical terms. By producing desperate writings about “becoming citizens,” they demonstrated the distortion and compromise of the principle of ideal humanism—the “free individual”—by political logic in the cold reality of the war. Second, the paper emphasized that the texts written from the POWs’ perspectives “testify” to the circumstances at the time through the typical effect of reproduction. The meaning of “testimony” used in this article is not to be reduced to a simple conflict between “oblivion” and “memory,” emphasizing the need “to fight against oblivion and not to forget the memory of the ‘massacre’.” By contrast, this article focuses on “setting the position of the speaker” who orders “things to be remembered” and “things to be forgotten” and the possibility of an alternative reading and interpretation that attempts to sense a “positional setting different from citizens’ stories.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덕신, "휴전협정 성립의 비화-포로문제를 중심으로" 1962
2 조르죠 아감벤, "호모 사케르-주권 권력과 벌거벗은 생명" 새물결 2008
3 서은주, "한국전쟁의 기억과 글쓰기 - 거제도 포로수용소 체험을 중심으로 -" 한국작문학회 (12) : 43-75, 2011
4 조성훈, "한국전쟁과 포로" 선인 2010
5 김보영, "한국전쟁 휴전회담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6 석보, "피묻은 철조망" 연합신문사 1954
7 김학재, "판문점 체제의 역사사회학적 이론화를 위하여" 한국사회사학회 (108) : 371-380, 2015
8 김학재, "판문점 체제의 기원 : 한국전쟁과 자유주의 평화기획" 후마니타스 2015
9 칼 슈미트, "파르티잔 이론" 인간사랑 1990
10 강용준, "철조망" 1960
1 최덕신, "휴전협정 성립의 비화-포로문제를 중심으로" 1962
2 조르죠 아감벤, "호모 사케르-주권 권력과 벌거벗은 생명" 새물결 2008
3 서은주, "한국전쟁의 기억과 글쓰기 - 거제도 포로수용소 체험을 중심으로 -" 한국작문학회 (12) : 43-75, 2011
4 조성훈, "한국전쟁과 포로" 선인 2010
5 김보영, "한국전쟁 휴전회담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6 석보, "피묻은 철조망" 연합신문사 1954
7 김학재, "판문점 체제의 역사사회학적 이론화를 위하여" 한국사회사학회 (108) : 371-380, 2015
8 김학재, "판문점 체제의 기원 : 한국전쟁과 자유주의 평화기획" 후마니타스 2015
9 칼 슈미트, "파르티잔 이론" 인간사랑 1990
10 강용준, "철조망" 1960
11 김학재, "진압과 석방의 정치-한국전쟁기 포로수용소의 국민형성" 한국제노사이드연구회 5 : 2009
12 김응교, "조국: 어느 북조선 인민의 수기 上下" 현장문학사 1990
13 강용준, "전환기의 내막" 조선일보사 1982
14 한나 아렌트, "전체주의의 기원" 한길사 2006
15 김학재, "전쟁포로들의 저항과 반공오리엔탈리즘 ― 한국전쟁기 유엔군 포로수용소 내 사건들을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36) : 141-178, 2010
16 송관호, "전쟁포로 : 인민군 출신 전쟁 포로의 마지막 증언" 눈빛 2015
17 하진, "전쟁 쓰레기" 시공사 2008
18 도미야마 이치로, "전장의 기억" 이산 2002
19 박영준, "용초도 근해" 1953
20 장용학, "요한시집" 1955
21 박영준, "암야" 1952
22 미셸 푸코, "안전, 영토, 인구" 난장 2011
23 황세준, "신생의 날-6·18 반공애국청년 석방 기록" 공우사 1954
24 차승기, "수용소라는 안전장치: 오무라 수용소, 폴리스, 그리고 잉여" 한국학연구소 (32) : 315-337, 2014
25 미셸 푸코, "성의 역사 2-쾌락의 활용" 나남 1990
26 임종명, "설립 초기 대한민국의 전사형 국민 생산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상(像)의 전용" 한국사연구회 (151) : 175-229, 2010
27 김광주, "석방인" 대영당 1954
28 토마스 램케, "생명정치란 무엇인가" 그린비 2015
29 강용준, "사월산/영웅교향악" 태극 1976
30 이혜령, "사상지리 (ideological geography)의 형성으로서의 냉전과 검열-해방기 염상섭의 이동과 문학을 중심으로" 상허학회 34 : 132-172, 2012
31 최미진, "반공포로의 석방과 국민형성의 딜레마 ―김광주의 『석방인(釋放人)』을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1) : 33-66, 2011
32 한은송, "반공애국청년투쟁 약사" 1974
33 조성훈, "미국 자료를 통해 본 휴접협상의 지연 요인 연구-포로문제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79 : 2000
34 박진홍, "돌아온 패자" 역사비평사 2001
35 송효순, "대석방" 신현실사 1973
36 주영복, "내가 겪은 조선전쟁 1·2" 고려원 1991
37 강용준, "나성에서 온 사내" 정음사 1984
38 김효순, "나는 일본군, 인민군, 국군이었다-시베리아 억류자, 분단과 냉전에 짓밟힌 사람들" 서해문집 2009
39 김수영, "나는 이렇게 석방되었다" 1953
40 박종은, "그 날 0시" 종화사 1993
41 최인훈, "광장" 1960
42 백응태, "거제도에서 판문점까지" 대원출판사 1987
43 유숙현, "거제도 포로수용소에서 포로의 체험과 송환선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44 김태일, "거제도 포로수용소 비사(秘史)" 북산책 2011
45 이한, "거제도 일기 : 석방된 포로의 피의 기록" 국제신보사 1952
46 손영목, "거제도 1·2" 동서문화사 2006
47 강용준, "개구리 싸움" 1960
48 나리타 유이치, "引揚に關する序章" 2003
49 허남기, "巨濟島: 世界の良心♕に訴える" 理論社 1952
50 Jacques Ranciére, "Who is the Subject of the Rights of Man?" 103 (103): 2004
51 주영복, "76인의 포로들 : 제3의 선택" 대광 1993
52 오세희, "65 포로수용소 : 한국전쟁 포로의 고발 수기" 만인사 2000
백철의 ‘신비평’ 전후, 한국 현대문학비평이론의 냉전적 양상
한국 현대시론에 나타난 ‘영감’의 문제에 관한 연구: 박용철과 조지훈의 시론을 중심으로
키워드와 네트워크: 토픽 모델링으로 본 『개벽』의 주제 지도 분석
고독의 위치: 폭력과 저항의 유착(流着): 한센인 노석현에 기대어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20-03-1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Sanghur Hakbo-The Jou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The Learned Society of Sanghur’s Literature | |
2020-03-1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Leaned Society of sanghur`s Literature -> Sanghur Hakbo: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4 | 1.14 | 1.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5 | 1.21 | 2.23 | 0.9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