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학교 도서관과 연계한 문학 수업 실행 연구 : 초등학교 1, 2학년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708715

      • 저자
      • 발행사항

        공주 : 공주교육대학교, 2012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2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75.48 판사항(5)

      • DDC

        372.64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충청남도

      • 형태사항

        vi, 116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101-106

      • 소장기관
        • 공주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implementation of literature class linked with school library so that literary response of 1st, 2nd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who are under beginning stage of literature would be activated by reading literary works. This study started influenced by a critical mind that it is hard to achieve a goal of literary education and to arouse a literary response of learners with a current text-based system only.
      This study is intended to enhance activation of literary response by reorganizing teaching schedule and main subject material and studying literary instruction-learning plan linked with library based on goal and content of literary achievement of 7th reformed curriculum.
      Topic of study was established in two categories as follows.
      First, what kind of influence reorganization of literary class linked with library exerts over activation of literary response of learners?
      Second, what kind of effect literary class linked with library exerts over class progress by the teachers?
      Period of study implementation was extended from March 3, 2011 to July 14, 2011. 1st graders started from April 5 when school adaptation period including basic learning practice (training) ended and 2nd graders started from March 3 when period of autonomous class ended. Subjects of study was total 288 students (1st grader: 144 persons, 2nd grader: 144 persons, respectively) of 's‘ elementary school located at Daejeon Metropolitan City. Each grade had 4 classes and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was 36 persons. As a place of implementation, classroom of each grade and library were used and 8 week class for 1st graders and 13 week class for 2nd graders based on 40 minutes per class one time a week were progressed.
      Library as a space of free idea and treasury of diversified works was utilized. A class of utilizing school library is not just to progress class by moving place to library but to widen a boundary of instruction-class limited to classroom, teachers and textbooks by providing voluntary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of learners by making advantage of diversified data and utilizing space available at library.
      In particular, in view of a locational condition of library in our school, it is located at the most central part of our school and it may maintain a maximum accessibility to researcher and students and play a role of being able to be expanded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In addition, as it is well ventilated and lighted, library could be utilized under a comfortable atmosphere.
      Level of the works carried on textbook was sometimes much easier than reading level of learners and inherent pleasure woven into literary works was reduced as original works was not carried on textbook as they are due to compositional limitation of textbook. Researcher looked for the works suitable for the standard of literary achievement in curriculum and learning goal of each chapter and suggested them to learners.
      Researcher reorganized teaching schedule, main subject material after looking for contents of literary chapter implemented in textbook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 of literary area of 2007 reformed curriculum.
      Focusing on realizing literary goal more extensively, class of researcher had made literary response to be aroused actively and as the learners were getting closer to books, they were made to take their time of visiting library willingly.
      For first graders teacher in charge of class progressed class based on contents of reading Subject and researcher progressed literary class at library so that literary response would be deepened along with its class timing. Class plan was reorganized to be matched with achievement standard and chapter represented in curriculum by linkage and class timing was synchronized with a time when the teacher in charge progressed a class of chapter having a goal of literary achievement. For 2nd graders, contrary to 1st graders, a class of progressing one hour every week by selecting teaching schedule of chapter having literary achievement standard among reading subject was implemented.
      In order to implement the class like this, the works to be utilized for each class were selected. As literary works to be utilized for class were furnished at library where researcher was working, learners were arranged to look for such works again after finishing their class and in particular, in case that same books were available in dozens, by finding the books of which same main subject material were available in dozens, literary class of majority was attempted to be progressed.
      In view of the fact that individual literary responses of 36 persons which was class capacity were different one another, it is considered to be a meaningful selection of literary works. Of course, it was hard to find 36 kind of books but the works were selected so that 1st graders may read together with maximum mate and 2nd graders in group of 4 students.
      As a result of progressing literary class linked with library as above,
      learners' interest in literary works was increased and they had shown a positive attitude of reading by finding out a lot of works at library. In addition, in terms of ability of literary response, speaking and writing book report of learners were enhanced and they were motivated to show keen interest in literary class in library utilizing literary works.
      As researcher could understand a flow of class while he (she) directly involved in reorganizing teaching schedule and main subject material in analyzing main subject materials of curriculum and textbook and selected literary works based on such process, teaching ability was enhanced consequently. In addition, it could be realized that for 1st and 2nd grade of elementary school, literary class linked with library was enabled through reorganization during a process of its actual implementation.
      Literary class linked with library is a process of experience through which teaching method of teachers who wish to a
      번역하기

      This study focuses on implementation of literature class linked with school library so that literary response of 1st, 2nd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who are under beginning stage of literature would be activated by reading literary works. This study...

      This study focuses on implementation of literature class linked with school library so that literary response of 1st, 2nd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who are under beginning stage of literature would be activated by reading literary works. This study started influenced by a critical mind that it is hard to achieve a goal of literary education and to arouse a literary response of learners with a current text-based system only.
      This study is intended to enhance activation of literary response by reorganizing teaching schedule and main subject material and studying literary instruction-learning plan linked with library based on goal and content of literary achievement of 7th reformed curriculum.
      Topic of study was established in two categories as follows.
      First, what kind of influence reorganization of literary class linked with library exerts over activation of literary response of learners?
      Second, what kind of effect literary class linked with library exerts over class progress by the teachers?
      Period of study implementation was extended from March 3, 2011 to July 14, 2011. 1st graders started from April 5 when school adaptation period including basic learning practice (training) ended and 2nd graders started from March 3 when period of autonomous class ended. Subjects of study was total 288 students (1st grader: 144 persons, 2nd grader: 144 persons, respectively) of 's‘ elementary school located at Daejeon Metropolitan City. Each grade had 4 classes and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was 36 persons. As a place of implementation, classroom of each grade and library were used and 8 week class for 1st graders and 13 week class for 2nd graders based on 40 minutes per class one time a week were progressed.
      Library as a space of free idea and treasury of diversified works was utilized. A class of utilizing school library is not just to progress class by moving place to library but to widen a boundary of instruction-class limited to classroom, teachers and textbooks by providing voluntary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of learners by making advantage of diversified data and utilizing space available at library.
      In particular, in view of a locational condition of library in our school, it is located at the most central part of our school and it may maintain a maximum accessibility to researcher and students and play a role of being able to be expanded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In addition, as it is well ventilated and lighted, library could be utilized under a comfortable atmosphere.
      Level of the works carried on textbook was sometimes much easier than reading level of learners and inherent pleasure woven into literary works was reduced as original works was not carried on textbook as they are due to compositional limitation of textbook. Researcher looked for the works suitable for the standard of literary achievement in curriculum and learning goal of each chapter and suggested them to learners.
      Researcher reorganized teaching schedule, main subject material after looking for contents of literary chapter implemented in textbook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 of literary area of 2007 reformed curriculum.
      Focusing on realizing literary goal more extensively, class of researcher had made literary response to be aroused actively and as the learners were getting closer to books, they were made to take their time of visiting library willingly.
      For first graders teacher in charge of class progressed class based on contents of reading Subject and researcher progressed literary class at library so that literary response would be deepened along with its class timing. Class plan was reorganized to be matched with achievement standard and chapter represented in curriculum by linkage and class timing was synchronized with a time when the teacher in charge progressed a class of chapter having a goal of literary achievement. For 2nd graders, contrary to 1st graders, a class of progressing one hour every week by selecting teaching schedule of chapter having literary achievement standard among reading subject was implemented.
      In order to implement the class like this, the works to be utilized for each class were selected. As literary works to be utilized for class were furnished at library where researcher was working, learners were arranged to look for such works again after finishing their class and in particular, in case that same books were available in dozens, by finding the books of which same main subject material were available in dozens, literary class of majority was attempted to be progressed.
      In view of the fact that individual literary responses of 36 persons which was class capacity were different one another, it is considered to be a meaningful selection of literary works. Of course, it was hard to find 36 kind of books but the works were selected so that 1st graders may read together with maximum mate and 2nd graders in group of 4 students.
      As a result of progressing literary class linked with library as above,
      learners' interest in literary works was increased and they had shown a positive attitude of reading by finding out a lot of works at library. In addition, in terms of ability of literary response, speaking and writing book report of learners were enhanced and they were motivated to show keen interest in literary class in library utilizing literary works.
      As researcher could understand a flow of class while he (she) directly involved in reorganizing teaching schedule and main subject material in analyzing main subject materials of curriculum and textbook and selected literary works based on such process, teaching ability was enhanced consequently. In addition, it could be realized that for 1st and 2nd grade of elementary school, literary class linked with library was enabled through reorganization during a process of its actual implementation.
      Literary class linked with library is a process of experience through which teaching method of teachers who wish to 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문학 입문기에 있는 초등학교 1, 2학년이 문학 작품을 읽고 문학 반응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학교 도서관과 연계한 문학 수업 실행 연구이다. 이 연구는 현행 교과서 체계로만으로는 문학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고 학습자의 문학적 반응을 일으키기에는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였다. 7차 개정 교육과정의 문학 성취 목표와 내용을 기준으로 차시, 제재의 재구성을 하고 도서관과 연계한 문학 교수-학습안을 구안하여 문학 반응의 활성화를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설정하였다.
      첫째, 도서관과 연계한 문학 수업의 재구성이 학습자의 문학 반응 활성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도서관과 연계한 문학 수업이 교사의 수업 전개에 어떤 효과를 미치는가?
      연구 실행 기간은 2011년 3월 3일부터 7월 14일까지이다. 1학년은 기본학습 훈련을 비롯한 학교 적응 기간이 끝난 4월 5일부터, 2학년은 학급 자치 기간을 마친 3월 3일부터 시작하였다. 연구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ㅅ’초등학교 1학년 144명, 2학년 144명이다. 각 학년은 4학급이며 학급당 인원수는 36명이다. 실행 장소는 각 학급 교실과 도서관을 이용하였고, 주 1회 40분 수업으로 1학년은 8주, 2학년은 13주에 걸쳐 수업을 진행하였다.
      자유로운 발상의 공간이자 다양한 작품의 보고로 도서관을 활용했다. 이는 학교 도서관 할용 수업이 단순히 도서관으로 장소를 옮겨 이동 수업을 하는 것이 아니라 도서관에 있는 다양한 자료와 활용 공간을 이용하여 학습자의 자발적인 참여와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교실과 교사, 교과서에만 한정되는 교수-학습의 경계를 넓히게 된다. 특히 본교 도서관의 입지적 조건을 볼 때 학교 내에서 가장 중심적인 위치로 연구자와 학생들에게 최대의 접근성을 유지할 수 있고, 미래를 대비해 확장할 수 있는 공간의 역할을 한다. 더불어 통풍과 채광이 잘 되어 쾌적한 분위기 속에서 도서관을 활용할 수 있었다.
      교과서에 실린 작품은 학습자의 읽기 수준보다 쉬운 경우가 있었고, 교과서 구성상의 문제로 원작을 그대로 싣지 않아 문학 작품이 갖고 있는 고유의 즐거움이 줄어들었다. 연구자는 교육과정의 문학 성취 기준과 단원 학습 목표에 맞는 작품을 찾아 학습자에게 제시하였다.
      연구자는 2007 개정 교육과정의 문학 영역의 성취 기준을 중심으로 교과서에 구현된 문학 단원 내용을 찾아 본 후 차시, 제재의 재구성을 하였다. 연구자의 수업은 문학 목표 실현에 더 초점을 두고 문학 반응이 활발히 일어나도록 했다. 학습자는 책과 더 가까워지면서 도서관에 즐겨 가는 시간을 갖게 하였다.
      1학년은 읽기 교과의 내용은 담임교사가 수업을 하고, 연구자는 그 시기에 맞게 문학 반응을 더 심화할 수 있도록 도서관 문학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 계획을 교육과정에 나타난 성취기준과 단원에 맞게 연계하여 재구성하였고, 수업 시기는 담임교사가 문학 성취 목표가 있는 단원의 수업을 할 때 동시에 실시했다. 2학년은 1학년과 달리 읽기 교과 중 문학 성취 기준이 있는 단원의 차시를 뽑아 일주에 한 시간씩 하는 수업을 실행하였다.
      이와 같은 수업 실행을 위해 각 수업에 활용할 작품을 선정하였다. 수업에 활용한 문학 작품은 연구자가 근무하는 학교 도서관에 구비되어 있어 학습자가 수업을 마친 후에 다시 찾아 볼 수 있도록 하였고 특히 같은 도서가 여러 권 있는 경우, 같은 제재가 여러 권 있는 것을 찾아 다인수 학급의 문학 수업을 전개하고자 하였다. 이는 36명의 학급 인원이 36명의 개개의 문학적 반응이 다름을 볼 때 의미 있는 작품 선정이다. 물론 36개의 도서를 찾기는 어려웠으나 1학년은 최대 짝과 함께 볼 수 있도록, 2학년은 최대 4명의 모둠원이 함께 읽을 수 있도록 작품을 선정하였다.
      위와 같이 도서관과 연계한 문학 수업을 실행한 결과 학습자는 문학 작품에 대한 흥미가 증대되어 도서관에 가서 작품을 많이 찾아 읽는 적극적인 읽기의 모습을 보였다. 또한 학습자는 문학 반응 능력이 말하기, 독서록 쓰기 등에서 향상되었으며 문학 작품을 활용한 도서관 문학 수업에 높은 흥미를 갖게 되었다.
      연구자는 교육과정, 교과서 제재 분석에서 제재, 차시의 재구성을 직접 하였고, 그에 따른 문학 작품을 선정하면서 수업의 흐름을 알고 있어 교수 능력이 향상되었다. 또한 도서관과 연계한 문학 수업이 초등학교 1, 2학년에서 재구성을 통해 가능함을 실행을 통해 알게 되었다.
      도서관과 연계한 문학 수업은 문학적 입문기의 학습자가 문학 작품에 흥미를 갖고, 반응을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교수 학습 방법의 변화 뿐 아니라 학습자의 배움이 작품에서 느낌으로 확장되고 작품과 학습자, 교사와 학습자, 학습자 간의 상호 작용하고 서로의 감정을 나누는 경험의 과정이다. 이제는 교사 중심의 정해진 문학 방법을 통한 목표 도달과정에서 학습자의 수준에 알맞은 목표 설정과 제재, 시간의 재구성을 과감히 기획하고 실행하여 학습자의 문학적 반응을 끌어올리고 작품에서 삶으로 탐구하는 수업이 되어야 할 것이다.
      <주요 용어> 문학 교육, 도서관 수업, 학습
      번역하기

      본 연구는 문학 입문기에 있는 초등학교 1, 2학년이 문학 작품을 읽고 문학 반응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학교 도서관과 연계한 문학 수업 실행 연구이다. 이 연구는 현행 교과서 체계로만으로...

      본 연구는 문학 입문기에 있는 초등학교 1, 2학년이 문학 작품을 읽고 문학 반응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학교 도서관과 연계한 문학 수업 실행 연구이다. 이 연구는 현행 교과서 체계로만으로는 문학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고 학습자의 문학적 반응을 일으키기에는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였다. 7차 개정 교육과정의 문학 성취 목표와 내용을 기준으로 차시, 제재의 재구성을 하고 도서관과 연계한 문학 교수-학습안을 구안하여 문학 반응의 활성화를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설정하였다.
      첫째, 도서관과 연계한 문학 수업의 재구성이 학습자의 문학 반응 활성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도서관과 연계한 문학 수업이 교사의 수업 전개에 어떤 효과를 미치는가?
      연구 실행 기간은 2011년 3월 3일부터 7월 14일까지이다. 1학년은 기본학습 훈련을 비롯한 학교 적응 기간이 끝난 4월 5일부터, 2학년은 학급 자치 기간을 마친 3월 3일부터 시작하였다. 연구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ㅅ’초등학교 1학년 144명, 2학년 144명이다. 각 학년은 4학급이며 학급당 인원수는 36명이다. 실행 장소는 각 학급 교실과 도서관을 이용하였고, 주 1회 40분 수업으로 1학년은 8주, 2학년은 13주에 걸쳐 수업을 진행하였다.
      자유로운 발상의 공간이자 다양한 작품의 보고로 도서관을 활용했다. 이는 학교 도서관 할용 수업이 단순히 도서관으로 장소를 옮겨 이동 수업을 하는 것이 아니라 도서관에 있는 다양한 자료와 활용 공간을 이용하여 학습자의 자발적인 참여와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교실과 교사, 교과서에만 한정되는 교수-학습의 경계를 넓히게 된다. 특히 본교 도서관의 입지적 조건을 볼 때 학교 내에서 가장 중심적인 위치로 연구자와 학생들에게 최대의 접근성을 유지할 수 있고, 미래를 대비해 확장할 수 있는 공간의 역할을 한다. 더불어 통풍과 채광이 잘 되어 쾌적한 분위기 속에서 도서관을 활용할 수 있었다.
      교과서에 실린 작품은 학습자의 읽기 수준보다 쉬운 경우가 있었고, 교과서 구성상의 문제로 원작을 그대로 싣지 않아 문학 작품이 갖고 있는 고유의 즐거움이 줄어들었다. 연구자는 교육과정의 문학 성취 기준과 단원 학습 목표에 맞는 작품을 찾아 학습자에게 제시하였다.
      연구자는 2007 개정 교육과정의 문학 영역의 성취 기준을 중심으로 교과서에 구현된 문학 단원 내용을 찾아 본 후 차시, 제재의 재구성을 하였다. 연구자의 수업은 문학 목표 실현에 더 초점을 두고 문학 반응이 활발히 일어나도록 했다. 학습자는 책과 더 가까워지면서 도서관에 즐겨 가는 시간을 갖게 하였다.
      1학년은 읽기 교과의 내용은 담임교사가 수업을 하고, 연구자는 그 시기에 맞게 문학 반응을 더 심화할 수 있도록 도서관 문학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 계획을 교육과정에 나타난 성취기준과 단원에 맞게 연계하여 재구성하였고, 수업 시기는 담임교사가 문학 성취 목표가 있는 단원의 수업을 할 때 동시에 실시했다. 2학년은 1학년과 달리 읽기 교과 중 문학 성취 기준이 있는 단원의 차시를 뽑아 일주에 한 시간씩 하는 수업을 실행하였다.
      이와 같은 수업 실행을 위해 각 수업에 활용할 작품을 선정하였다. 수업에 활용한 문학 작품은 연구자가 근무하는 학교 도서관에 구비되어 있어 학습자가 수업을 마친 후에 다시 찾아 볼 수 있도록 하였고 특히 같은 도서가 여러 권 있는 경우, 같은 제재가 여러 권 있는 것을 찾아 다인수 학급의 문학 수업을 전개하고자 하였다. 이는 36명의 학급 인원이 36명의 개개의 문학적 반응이 다름을 볼 때 의미 있는 작품 선정이다. 물론 36개의 도서를 찾기는 어려웠으나 1학년은 최대 짝과 함께 볼 수 있도록, 2학년은 최대 4명의 모둠원이 함께 읽을 수 있도록 작품을 선정하였다.
      위와 같이 도서관과 연계한 문학 수업을 실행한 결과 학습자는 문학 작품에 대한 흥미가 증대되어 도서관에 가서 작품을 많이 찾아 읽는 적극적인 읽기의 모습을 보였다. 또한 학습자는 문학 반응 능력이 말하기, 독서록 쓰기 등에서 향상되었으며 문학 작품을 활용한 도서관 문학 수업에 높은 흥미를 갖게 되었다.
      연구자는 교육과정, 교과서 제재 분석에서 제재, 차시의 재구성을 직접 하였고, 그에 따른 문학 작품을 선정하면서 수업의 흐름을 알고 있어 교수 능력이 향상되었다. 또한 도서관과 연계한 문학 수업이 초등학교 1, 2학년에서 재구성을 통해 가능함을 실행을 통해 알게 되었다.
      도서관과 연계한 문학 수업은 문학적 입문기의 학습자가 문학 작품에 흥미를 갖고, 반응을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교수 학습 방법의 변화 뿐 아니라 학습자의 배움이 작품에서 느낌으로 확장되고 작품과 학습자, 교사와 학습자, 학습자 간의 상호 작용하고 서로의 감정을 나누는 경험의 과정이다. 이제는 교사 중심의 정해진 문학 방법을 통한 목표 도달과정에서 학습자의 수준에 알맞은 목표 설정과 제재, 시간의 재구성을 과감히 기획하고 실행하여 학습자의 문학적 반응을 끌어올리고 작품에서 삶으로 탐구하는 수업이 되어야 할 것이다.
      <주요 용어> 문학 교육, 도서관 수업, 학습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선행 연구 5
      • 가. 문학 수업 방법 연구 5
      • 나. 교재 재구성에 대한 연구 9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선행 연구 5
      • 가. 문학 수업 방법 연구 5
      • 나. 교재 재구성에 대한 연구 9
      • 다. 도서관 활용 수업에 대한 연구 11
      • Ⅱ. 이론적 배경 15
      • 1. 반응 중심 문학 교육 16
      • 가. 문학 반응의 개념과 범주 16
      • 나. 반응 중심 학습 모형 19
      • 2. 도서관 활용 수업(Library-Assisted Instruction : LAI) 25
      • 가. 학교 도서관의 개념 및 역할 25
      • 나. 도서관 활용 수업의 개념 및 유형 32
      • 다. 도서관 활용 수업의 실제 34
      • Ⅲ. 연구 방법 37
      • 1. 연구 맥락 37
      • 가. 연구 참여자 맥락 37
      • 나. 대상 학교 맥락 41
      • 다. 연구자의 역할 42
      • 2. 연구 기간 및 대상 45
      • 3. 자료 수집 및 분석 45
      • 가. 학교 도서관의 현황과 분석 45
      • 나. 학습자의 발달 수준 47
      • Ⅳ. 학교 도서관과 연계한 문학 수업의 실제 51
      • 1. 도서관 활용 수업 방법 51
      • 가. 자유로운 발상의 공간 이용 51
      • 나. 다양한 작품 활용 53
      • 2. 문학 수업 설계 54
      • 가. 문학 수업의 재구성 54
      • 나. 작품 선정 62
      • 3. 문학 수업 실행 68
      • 가. 1학년 수업 69
      • 나. 2학년 수업 78
      • 4. 평가 87
      • 가. 학습자 평가 87
      • 나. 교사 평가 91
      • Ⅴ. 결론 및 제언 96
      • 참고문헌 101
      • 영문초록 107
      • 부록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