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소경희 ; 최유리, "학교 중심 교육 개혁 맥락에서 교사의 실천 이해: ‘교사 행위주체성’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6 (36): 91-112, 2018
2 황규호,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국가교육과정의 과제" 한국교육과정학회 38 (38): 83-106, 2020
3 김혜진, "코로나19에 따른 초등 교사의 온라인 수업 경험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613-639, 2020
4 이호은 ; 최승미 ; 박경애 ; 이성희 ; 김현정, "코로나19로 인해 변화된 교육환경 속 중등교사의 경험과 적응과정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721-747, 2021
5 강성리, "코로나19(COVID-19) 상황에서 통합학급 유아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1 (21): 1-32, 2021
6 금선영 ; 조영환 ; 허선영 ; 김명신,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원격수업에 나타난교사 행위자성의 유형과 영향 요인" 한국교육공학회 37 (37): 161-190, 2021
7 지은경,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초등학교 신규교사의 교직생활 내러티브 탐구"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9 (9): 103-124, 2021
8 이지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풀어내기"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8 (8): 183-201, 2020
9 이혜경 ; 김희백, "코로나 뉴노멀 시대의 과학교사 행위주체성 탐색 -COVID-19에 따른 원격 수업 2년 차 실행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41 (41): 415-428, 2021
10 홍미화, "초등학교 저경력 교사의 수업 읽기를 통한 사회과 수업 전문성 소고"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6 (46): 91-116, 2007
1 소경희 ; 최유리, "학교 중심 교육 개혁 맥락에서 교사의 실천 이해: ‘교사 행위주체성’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6 (36): 91-112, 2018
2 황규호,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국가교육과정의 과제" 한국교육과정학회 38 (38): 83-106, 2020
3 김혜진, "코로나19에 따른 초등 교사의 온라인 수업 경험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613-639, 2020
4 이호은 ; 최승미 ; 박경애 ; 이성희 ; 김현정, "코로나19로 인해 변화된 교육환경 속 중등교사의 경험과 적응과정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721-747, 2021
5 강성리, "코로나19(COVID-19) 상황에서 통합학급 유아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1 (21): 1-32, 2021
6 금선영 ; 조영환 ; 허선영 ; 김명신,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원격수업에 나타난교사 행위자성의 유형과 영향 요인" 한국교육공학회 37 (37): 161-190, 2021
7 지은경,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초등학교 신규교사의 교직생활 내러티브 탐구"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9 (9): 103-124, 2021
8 이지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풀어내기"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8 (8): 183-201, 2020
9 이혜경 ; 김희백, "코로나 뉴노멀 시대의 과학교사 행위주체성 탐색 -COVID-19에 따른 원격 수업 2년 차 실행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41 (41): 415-428, 2021
10 홍미화, "초등학교 저경력 교사의 수업 읽기를 통한 사회과 수업 전문성 소고"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6 (46): 91-116, 2007
11 강세진 ; 임수진, "초등 저경력교사에 필요한 행정업무역량과 보유도 및 교육요구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36 (36): 331-358, 2019
12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Ⅲ : Writing" 아카데미프레스 2013
13 Creswell, J., "질적 연구방법론: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13
14 박영석 ; 은지용, "저경력 교사의 사회·문화 수업에 대한 멘토링 사례 연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0 (50): 49-65, 2011
15 유용모 ; 김미숙,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 사업에 나타난 교사 행위주체성(teacher agency)"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905-935, 2020
16 이은지, "어느 초임 체육교사의 코로나 19 상황 교직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학회 59 (59): 31-61, 2021
17 이성회, "생태학적 “교사 행위주체성”의 한계와 대안: 비판적 실재론에 기반한 ‘관계적 교사행위자성’ 개념모델 탐색" 한국교육사회학회 31 (31): 129-154, 2021
18 조성원 ; 소경희, "비대면 온라인 수업 속 인간과 기계의 얽힘의 이야기: 신유물론적 관점에서의 이해"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9 (9): 77-101, 2021
19 김병극, "내러티브 탐구의 존재론적, 방법론적, 인식론적 입장과 탐구과정에 대한 이해" 한국교육인류학회 15 (15): 1-28, 2012
20 홍영숙, "내러티브 탐구에 대한 이해"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3 (3): 5-21, 2015
21 Clandinin, J., "내러티브 탐구 : 교육에서의 질적연구의 경험과 사례" 교육과학사 2007
22 소경희 ; 최유리 ; 박지애, "교육개혁 실행 맥락에서 정책 문서의 행위성에 대한 탐색: 2015 개정 교육과정 문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40 (40): 29-54, 2022
23 소경희 ; 최유리, "교사의 교육개혁 실천의 중재 맥락으로서의 학교의 역할: ‘자유학기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8 (38): 33-58, 2020
24 김민조 ; 심영택 ; 김남균 ; 김종원, "교사들의‘반(半) 자발성’에서 출발한학교내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33 (33): 223-248, 2016
25 김민섭 ; 박일수, "교사 행위자성의 생태학적 접근방법이 초등학교 교육과정 실행에 주는 시사점"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5 (15): 77-101, 2021
26 Vaughn, M., "What is student agency and why is it needed now more than ever?" 59 (59): 109-118, 2020
27 Emirbayer, M., "What is Agency?" 103 (103): 962-1023, 1998
28 Connors, S., "Understanding Teacher Agency and Organizational Response to Reform Mandates" 16 (16): 313-332, 2020
29 Biesta, G., "The role of beliefs in teacher agency" 21 (21): 624-640, 2015
30 Ayers, W., "The SAGE Handbook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SAGE Publication Ltd 306-328, 2008
31 Huberman, M., "The Professional life cycle of teacher" 91 : 31-57, 1989
32 Fullan, M., "The New Meaning of Educational Change" Teachers College Press 2001
33 Connelly, M., "Teacher as curriculum planners: narratives of experience" Teachers College Press 1988
34 Priestley, M., "Teacher agency: An ecological approach" Bloomsbury Publishing 19-35, 2015
35 Tao, J., "Teacher agency and identity commitment in curricular refrom" 63 : 346-355, 2017
36 Jenkins, G., "Teacher agency : The effects of active and passive responses to curriculum change" 47 (47): 167-181, 2020
37 Clandinin, J., "Stories to live by : Narrative understandings of school reform" 28 (28): 149-164, 1998
38 Denzin, N., "Sociological methods : A sourcebook" McGraw-Hill 1978
39 Jina Ro, "Seeking the meaning of the job: Korean novice secondary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교육연구소 20 (20): 135-146, 2019
40 Edwards, A., "Relational agency : Learning to be a resourceful practitioner" 43 : 168-182, 2005
41 Hargreaves, A., "Professional capital after the pandemic : revisiting and revising classic understandings of teacher’s work" 5 (5): 327-336, 2020
42 Spillane, J., "Policy implementation and cognition : Reframing and refocusing implementation research" 72 : 387-431, 2002
43 권점례, "COVID-19 대응 온라인 개학에 따른 초, 중, 고등학교 원격 수업 실태 및 개선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44 Biesta, G., "Agency and learning in the lifecourse : Towards an ecological perspective" 39 (39): 132-149, 2007
45 Lasky, S., "A sociocultural approach to understanding teacher identity, agency and professional vulnerability in a context of secondary school reform" 21 : 899-916,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