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매스티지 브랜드 명품성 개념에 대한 측정항목과 구조규명에 관한 연구 = Dimensionalizing and Measuring asstige Brand Luxu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940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브랜드 명품성 연구와는 달리 매스티지 브랜드 명품성(MBL : Masstige Brand Luxury) 개념을 다차원적 위계 구조로 모형화하고 이에 대한 실증적 검증을 시도하였다. 구체적으로 맨 상위수준의 매스티지 브랜드 명품성을 구성하는 3가지 기본차원으로서 기능적 가치(functional value), 상징적 가치(symbolic value), 경험적 가치(experiential value)를 제시하였다. 3개 기본차원들은 각각 2-4개씩의 하위차원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모형화하였다. 기능적 가치의 하위차원으로서는 품질성(quality), 합리성(rationality), 대중성(popularity), 상징적 가치의 하위차원으로서는 과시성(conspicuousness), 소속성(membership), 유명성(reputation), 자아확장성(extended self), 경험적 가치의 하위차원으로서는 독특성(uniqueness)과 쾌락성(hedonism)이 포함되어 총 9개의 하위차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MBL의 3차원 위계구조에 대한 실증적 검증을 위해 3단계 분석절차, 즉 3개 기본차원에 대한 검증, 3개 기본차원의 상위차원으로서의 매스티지 브랜드 명품성에 대한 검증, 그리고 3개 기본차원-9개 하위차원 구조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검증과정을 통해 본 연구모형으로 제시한 MBL의 3차원적 위계적 구조가 실증적으로 지지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브랜드 명품성 연구와는 달리 매스티지 브랜드 명품성(MBL : Masstige Brand Luxury) 개념을 다차원적 위계 구조로 모형화하고 이에 대한 실증적 검증을 시도하였다. 구체적으...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브랜드 명품성 연구와는 달리 매스티지 브랜드 명품성(MBL : Masstige Brand Luxury) 개념을 다차원적 위계 구조로 모형화하고 이에 대한 실증적 검증을 시도하였다. 구체적으로 맨 상위수준의 매스티지 브랜드 명품성을 구성하는 3가지 기본차원으로서 기능적 가치(functional value), 상징적 가치(symbolic value), 경험적 가치(experiential value)를 제시하였다. 3개 기본차원들은 각각 2-4개씩의 하위차원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모형화하였다. 기능적 가치의 하위차원으로서는 품질성(quality), 합리성(rationality), 대중성(popularity), 상징적 가치의 하위차원으로서는 과시성(conspicuousness), 소속성(membership), 유명성(reputation), 자아확장성(extended self), 경험적 가치의 하위차원으로서는 독특성(uniqueness)과 쾌락성(hedonism)이 포함되어 총 9개의 하위차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MBL의 3차원 위계구조에 대한 실증적 검증을 위해 3단계 분석절차, 즉 3개 기본차원에 대한 검증, 3개 기본차원의 상위차원으로서의 매스티지 브랜드 명품성에 대한 검증, 그리고 3개 기본차원-9개 하위차원 구조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검증과정을 통해 본 연구모형으로 제시한 MBL의 3차원적 위계적 구조가 실증적으로 지지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rough qualitative and empirical research, the authors find that masstige brand luxury (MBL) construct conforms to the hierarchical third-order factor structure that ties masstige brand luxury perceptions to distinct and actionable primary dimensions : functional value, symbolic value, experiential value. In turn, each primary dimension has two or four subdimensions that define the basis of masstige brand luxury perceptions. Specifically, nine subdimensions were proposed : quality, rationality and popularity as subdimension of functional value, conspicuousness, membership, reputation and extended self (symbolic value), uniqueness and hedonism (experiential value).
      According to Dabholkar et al. (1996), we decided to test the proposed model in three stages-a test of the four basic dimensions, a test of the second-order factor, and a test of the subdimensions. These tests reveal whether our proposed hierarchical structure is supported in part or whol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the three stage approach support the hierarchical third-order factor structure of MBL and validity of the scale as the measure of MBL.
      번역하기

      Through qualitative and empirical research, the authors find that masstige brand luxury (MBL) construct conforms to the hierarchical third-order factor structure that ties masstige brand luxury perceptions to distinct and actionable primary dimensions...

      Through qualitative and empirical research, the authors find that masstige brand luxury (MBL) construct conforms to the hierarchical third-order factor structure that ties masstige brand luxury perceptions to distinct and actionable primary dimensions : functional value, symbolic value, experiential value. In turn, each primary dimension has two or four subdimensions that define the basis of masstige brand luxury perceptions. Specifically, nine subdimensions were proposed : quality, rationality and popularity as subdimension of functional value, conspicuousness, membership, reputation and extended self (symbolic value), uniqueness and hedonism (experiential value).
      According to Dabholkar et al. (1996), we decided to test the proposed model in three stages-a test of the four basic dimensions, a test of the second-order factor, and a test of the subdimensions. These tests reveal whether our proposed hierarchical structure is supported in part or whol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the three stage approach support the hierarchical third-order factor structure of MBL and validity of the scale as the measure of MB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선형, "패션명품에 대한 태도 연구" 복식문화학회 9 (9): 842-854, 2001

      2 이승희, "패션명품브랜드에 대한 구매행동연구" 27 (27): 1241-1251, 2003

      3 최선형, "지각된 제품 특성과 과시적 소비 성향이 패션명품관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 27 (27): 209-218, 2003

      4 서정미, "새로운 소비계층, 매스티지(Masstige)" 삼성패션연구소 2004

      5 전인수, "브랜드 명품화의 3단계 모델 : PPCA 모델" 한국소비자학회 16 (16): 209-227, 2005

      6 임지훈, "브랜드 명품성 측정도구의 개발" 한국방송광고공사 18 (18): 185-216, 2006

      7 정지원, "물질주의성향과 과시소비성향이 수입명품선호도에 미치는 영향­대학생 소비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21 (21): 181-192, 2003

      8 문달주, "문화마케팅을 활용한 명품브랜드 이미지 구축에 관한 연구: 명품브랜드 이미지 유형과 문화마케팅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17 (17): 59-82, 2006

      9 이태민,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 품질구조 및 측정항목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학회 24 (24): 145-180, 2009

      10 박정현, "명품의 조건" (787) : 2004

      1 최선형, "패션명품에 대한 태도 연구" 복식문화학회 9 (9): 842-854, 2001

      2 이승희, "패션명품브랜드에 대한 구매행동연구" 27 (27): 1241-1251, 2003

      3 최선형, "지각된 제품 특성과 과시적 소비 성향이 패션명품관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 27 (27): 209-218, 2003

      4 서정미, "새로운 소비계층, 매스티지(Masstige)" 삼성패션연구소 2004

      5 전인수, "브랜드 명품화의 3단계 모델 : PPCA 모델" 한국소비자학회 16 (16): 209-227, 2005

      6 임지훈, "브랜드 명품성 측정도구의 개발" 한국방송광고공사 18 (18): 185-216, 2006

      7 정지원, "물질주의성향과 과시소비성향이 수입명품선호도에 미치는 영향­대학생 소비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21 (21): 181-192, 2003

      8 문달주, "문화마케팅을 활용한 명품브랜드 이미지 구축에 관한 연구: 명품브랜드 이미지 유형과 문화마케팅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17 (17): 59-82, 2006

      9 이태민,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 품질구조 및 측정항목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학회 24 (24): 145-180, 2009

      10 박정현, "명품의 조건" (787) : 2004

      11 신종국, "명품브랜드 동일시가 브랜드 감정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관리학회 11 (11): 39-62, 2006

      12 전종근, "명품-비명품 브랜드 충성도 결정요인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9 (9): 87-102, 2007

      13 성영신, "명품 vs 대중품 브랜드 로고에 대한 소비자 심리비교 : fMRI를 통한 지각, 인지 및 정서 반응" 한국광고학회 15 (15): 249-276, 2004

      14 김선숙, "매스티지(Masstiege) 명품에 관한 고찰 (제2보)-쇼핑 성향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30 (30): 12-19, 2006

      15 김선숙, "매스티지(Masstiege) 명품에 관한 고찰 (제1보)-추구 가치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29 (29): 1381-1388, 2005

      16 박정현, "대중적 명품브랜드를 만들어라" (748) : 2003

      17 박미정, "과시적 소비성향과 정장 수입브랜드 선호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26 (26): 3-14, 2002

      18 이순묵, "공변량구조분석" 성원사 1990

      19 Sheth, Jagdish I, "Why we buy what we buy: A theory of consumption values" 22 (22): 159-170, 1991

      20 Dubois, B., "The market for luxury goods: income versus culture" 27 (27): 35-44, 1993

      21 Vickers, J. S., "The Marketing of Luxury Goods: An exploratory study-three conceptual dimensions" 3 : 459-478, 2003

      22 Bhat, S., "Symbolic and Functional Positioning of Brands" 15 (15): 32-43, 1998

      23 Park, C. Whan, "Strategic Brand Concept-Image Management" 50 : 135-145, 1986

      24 Eastman, J.K., "Status consumption in consumer behavior: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7 (7): 41-51, 1999

      25 O'Class, A., "Status brands: examining the effects of non-product related brand associations on status and conspicuous consumption" 11 (11): 67-88, 2002

      26 Aron, O. C., "Status Brnads: examining the effects of non-product related brand associations on status and conspicuous consumption" 11 (11): 67-88, 2002

      27 Brady, M.K., "Some New Thoughts on Conceptualizing Perceived Service Quality: A Hierarchical Approach" 65 : 34-49, 2001

      28 Bearden, W. O., "Reference group influence on product and brand purchase decisions" 9 : 183-194, 1982

      29 Belk, R. W., "Possessions and the extended self" 15 : 139-168, 1988

      30 Bagozzi, Richard,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16 (16): 74-94, 1988

      31 Dubois, B., "Observations: Understanding the World of International Luxury Brands: The 'Dream Formula'" 35 (35): 69-76, 1995

      32 Vigneron, F., "Measuring perceptions of brand luxury" 11 (11): 484-506, 2004

      33 Deng, S., "Measuring market orientation: a multi-factor, multi-item approach" 10 : 725-742, 1994

      34 Silverstein, M. J., "Luxury for the masses" 81 (81): 48-57, 2003

      35 Reicheld, F.F., "Learning from Customer Defections" Harvard Business Review 56-69, 1996

      36 Reynolds, Thomas J., "Laddering Theory, Method, Analysis and Interpretation"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11-31, 1988

      37 Tsai, S.P., "Impact of personal orientation on luxury-brand purchase value: An international investigation" 47 (47): 429-454, 2005

      38 Holt, Douglas B., "How Consumers Consume: A Typology of Consumption Practices" 22 : 1-, 1995

      39 Fornell, C.,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18 : 39-50, 1981

      40 Smith, J. B., "Customer Value Creation : A Practical Framework" 15 (15): 7-23, 2007

      41 Holbrook, Morris B., "Consumption Experience, Customer Value and Subjective Personal Introspection: An Illustrative Photographic Essay" 59 (59): 714-725, 2006

      42 Dubois, B., "Consumer rapport to luxury: Analysing complex and ambivalent attitudes" HEC School of Management 2001

      43 Dubois, B., "Attitude towards the concept of luxury: an exploratory analysis" 1 : 273-278, 1994

      44 Vigneron, F., "A review and a conceptual framework of prestige-seeking consumer behavior" 1999 (1999): 1-15, 1999

      45 Churchill, G. A. Jr., "A Paradigm for Developing Better Measures of Marketing Constructs" 16 : 64-73, 1979

      46 Dabholkar, Prathiba, C., "A Measure of Service Quality for Retail Stores" 24 : 3-16,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Academy of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KCI등재후보
      2005-05-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Academy of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KCI등재후보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고객만족경영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4 1.44 1.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3 2.04 2.198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