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천황의 기원과 한국 = Ancient Korea and the Origin of The Emperor of Jap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559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the study about the origin of the Emperor of Japa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apanese Emperor and the ancient Korea. According to the theory of history, the baronial family in Kaya lands left his home and moved to the Japan Islands and ...

      This is the study about the origin of the Emperor of Japa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apanese Emperor and the ancient Korea. According to the theory of history, the baronial family in Kaya lands left his home and moved to the Japan Islands and built his land in Nara region in the end of 3th century.
      At that time ancient Korean people already cultivated the rice and had high technique of the cultivation. They believed gods of cultivation and thanked for the harvest. They celebrated the harvest together and enjoyed festivals in the year. It was written that people gathered and ate and drunk and danced all night in the festival in the ancient Korea.
      The people who went over to Japanese Islands from the part of south Korea initiated the technique of rice farming cultivation and harvest festival. It is recorded that men performed gods and women performed virgin who welcomed god at night. The marriage of god and virgin in the festival promised the good crop in the next year.
      The first Emperor of Japan spread his extent of influence through the ceremony of agriculture. The Emperor married with virgins in native powerful families as the god of harvest. He ruled Japan Islands through the religion of marriage of agriculture and the blood of the Emperor. The Emperor Tenmu in 8th century built up the system of Japan country. He said he is the god and Japan Islands belongs to him. In this way the religion turned to politics and the Japanese Emperor insists that he has the divine right of K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고대아시아 농경민족에 공통적으로 볼 수 있는 고대농경의례와 그 전승으로서의 신혼신화(神婚神話)와 신혼의례(神婚儀禮)가 한반도에서 일본열도로 이동해가는 과정을 천황의 일...

      본고는 고대아시아 농경민족에 공통적으로 볼 수 있는 고대농경의례와 그 전승으로서의 신혼신화(神婚神話)와 신혼의례(神婚儀禮)가 한반도에서 일본열도로 이동해가는 과정을 천황의 일본도래 전승을 통해 살피고 일본 천황제와 왕권 수립의 과정에 대해서 고찰한 것이다.
      신(神)이 처녀와 신혼(神婚)한다고 믿어 온 고대일본에서는 처녀는 신의 아내로 믿었다. 그러므로 인간 남자와의 결혼식은 신의 허락을 받은 의식이었던 것이다. 원래 모계(母系)적 사회를 오래 유지해 온 고대일본에서는 여성은 신과 가까운 존재로 보고 왔다. 고대시대에 천황은 각 지방의 호족(豪族) 등 세력자의 여동생이나 딸을 무녀(巫女)의 자격으로 궁중에 보내도록 하기도 하고 혈연관계를 맺고 지방 세력과의 관계를 확대해 갔다. 여성을 통해 종교적 지배와 혈연적 지배를 동시에 행한 것이다.
      고대농경의례는 농경민족에 공통적으로 볼 수 있는 보편적 의례이지만, 한국이나 일본의 경우, 이것이 조신(祖神)신앙과 겹치면서 신(神)과 처녀의 신혼의례(神婚儀禮)의 형태로 전승해 왔다. 특히 일본은 한반도에서 건너온 호족으로 인한 일본열도 지배의 방법으로 종교를 중심으로 민속적으로 천신(天神)과 국신(國神)의 결혼의례가 확대해 갔다. 이것이 일본국가 건설의 핵심사상이고 일본의 건국신화가 되어 국가의례가 되었다. 이렇게 해서 종교가 정치로 귀결했다.
      천황가의 신혼신화는 천황가의 일본 도래를 천손강림(天孫降臨)으로 묘사하고 천신의 자손의 가라쿠니 봉우리(韓國岳) 근처에 내린 천황가의 조상신과 땅에 있던 처녀와의 신혼(神婚)으로부터 시작한다. 천신(天神)과 국신(國神)의 결혼이야기를 통해 국신이 천신에게 땅을 양보해서 천신의 지배에 맡긴다는 이야기로 설명되어 있다. 이것은 도래세력이 토착세력을 정복하는 과정을 묘사한다. 이와 같이 일본열도의 국토 지배는 한반도 농경민족의 일본열도 도래와 그 신혼의례를 통해 시작했으며 도래세력에 의한 여성을 중심으로 하는 토착민에 대한 종교적 지배가 정치적 지배로 귀결함으로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열규, "한민족의 기원과 형성(하)" 소화 1996

      2 정범진, "한국인의 생활의식과 민중예술"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83

      3 일연, "한국의 민속,종교사상" 삼성출판사 1977

      4 김용숙, "한국여속사" 민음사 1989

      5 정상균, "한국서사문학사" 태학사 1998

      6 김택규, "한국민족의 기원과 형성(하)" 소화 1996

      7 조동일, "한국민요의 전통과 시가율격" 지식산업사 1969

      8 장수근, "한국민속학개론" 학연사 1983

      9 김택규, "한국민속연구논문선Ⅱ" 일조각 1982

      10 김택규, "한국민속문예론" 일조각 1991

      1 김열규, "한민족의 기원과 형성(하)" 소화 1996

      2 정범진, "한국인의 생활의식과 민중예술"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83

      3 일연, "한국의 민속,종교사상" 삼성출판사 1977

      4 김용숙, "한국여속사" 민음사 1989

      5 정상균, "한국서사문학사" 태학사 1998

      6 김택규, "한국민족의 기원과 형성(하)" 소화 1996

      7 조동일, "한국민요의 전통과 시가율격" 지식산업사 1969

      8 장수근, "한국민속학개론" 학연사 1983

      9 김택규, "한국민속연구논문선Ⅱ" 일조각 1982

      10 김택규, "한국민속문예론" 일조각 1991

      11 서연호, "한국 전승연희의 원리와 방법" 집문당 1997

      12 秋葉隆, "조선민속지" 동문선 1993

      13 김선풍, "민속론" 집문당 1989

      14 민속학회, "무속신앙" 교문사 1989

      15 천관우, "가야사연구" 일조각 1995

      16 江上波夫, "騎馬民族國家" 中央公論社 1984

      17 秋本吉郞, "風土記" 岩波書店 1958

      18 上田正昭, "解明日本史" 文英堂 1971

      19 小島憲之外, "萬葉集1" 小學館 1994

      20 直木孝次郞, "神話と歷文" 吉川弘館 1971

      21 三品彰英, "日本神話論" 平凡社 1970

      22 日本文學硏究資料刊行會, "日本神話2" 有精堂 1977

      23 井上光貞, "日本國家の起源" 岩波書店 1973

      24 笹山晴生, "日本古代史講義" 東京大學出版會 1979

      25 井上光貞, "日本古代の王權と儀禮" 東京大學出版會 1984

      26 水野祐, "日本古代の國家形成" 講談社 1967

      27 山口佳紀外, "新編日本古典文學全集1.古事記" 小學館 1997

      28 門脇禎二, "新日本史" 數硏出版 1990

      29 日本民俗硏究體系編集委員會, "心意傳承" おうふう 1988

      30 三品彰英, "建國神話の諸問題" 平凡社 1971

      31 小西甚一, "古代歌謠集" 岩波書店 1958

      32 多田一臣, "万葉歌の表現" 明治書院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3-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세계평화통일학회 ->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of world Peace and Unific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of Peace Stud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48 0.88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