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읽기유창성 프로그램이 말더듬아동의 문식성과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Reading Fluency Program on Stuttering Children’s Literacy and Understand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710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reading fluency program on literacy (reading and writing) and comprehension of stuttering children.
      The subjects were two stuttering children in the 1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who don’t have any other disabilities or cognitive deficits. In the reading fluency program, 30 fairy tale books and four target words per book were selected with consideration for the age and interest of the children. It consists of 15 sessions in total while 2 fairy tale books per session and 1~2 sessions of 40 minutes per week were applied to the program.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reading fluency program, pre-post test was conducted in terms of reading, writing and comprehension. First, the reading fluency program improved reading and writing skills of stuttering children. Second, the reading fluency program improved their comprehension.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repeated reading using materials familiar to stuttering children influences positively on their reading, writing and comprehension improvemen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reading fluency program on literacy (reading and writing) and comprehension of stuttering children. The subjects were two stuttering children in the 1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who d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reading fluency program on literacy (reading and writing) and comprehension of stuttering children.
      The subjects were two stuttering children in the 1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who don’t have any other disabilities or cognitive deficits. In the reading fluency program, 30 fairy tale books and four target words per book were selected with consideration for the age and interest of the children. It consists of 15 sessions in total while 2 fairy tale books per session and 1~2 sessions of 40 minutes per week were applied to the program.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reading fluency program, pre-post test was conducted in terms of reading, writing and comprehension. First, the reading fluency program improved reading and writing skills of stuttering children. Second, the reading fluency program improved their comprehension.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repeated reading using materials familiar to stuttering children influences positively on their reading, writing and comprehension improvem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읽기유창성 프로그램이 말더듬아동의 문식성(읽기, 쓰기), 이해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말더듬아동 2명으로 다른 장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서 인지적인 결함이 없는 아동들이다. 읽기유창성 프로그램은 연구대상의 연령과 흥미를 고려하여 30편의 동화책을 선정하였고, 목표단어를 1편당 4개로 선정하였다. 1회기에 2편의 동화책을 적용하여 전체 15회기로 구성하였고, 주 1~2회기 40분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읽기유창성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읽기, 쓰기, 이해력으로 사전-사후검사를실시하였다. 첫째, 읽기유창성 프로그램은 말더듬아동의 읽기, 쓰기에 향상이 있었다. 둘째, 읽기유창성 프로그램은 이해력에 향상이 있었다. 따라서 말더듬아동에게 익숙한 읽기자료를이용한 반복읽기가 아동의 읽기와 쓰기, 이해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읽기유창성 프로그램이 말더듬아동의 문식성(읽기, 쓰기), 이해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말더듬아동 2...

      본 연구는 읽기유창성 프로그램이 말더듬아동의 문식성(읽기, 쓰기), 이해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말더듬아동 2명으로 다른 장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서 인지적인 결함이 없는 아동들이다. 읽기유창성 프로그램은 연구대상의 연령과 흥미를 고려하여 30편의 동화책을 선정하였고, 목표단어를 1편당 4개로 선정하였다. 1회기에 2편의 동화책을 적용하여 전체 15회기로 구성하였고, 주 1~2회기 40분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읽기유창성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읽기, 쓰기, 이해력으로 사전-사후검사를실시하였다. 첫째, 읽기유창성 프로그램은 말더듬아동의 읽기, 쓰기에 향상이 있었다. 둘째, 읽기유창성 프로그램은 이해력에 향상이 있었다. 따라서 말더듬아동에게 익숙한 읽기자료를이용한 반복읽기가 아동의 읽기와 쓰기, 이해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증열, "한국어 읽기 쓰기 진단 검사" 한국가이던스 2017

      2 박진원, "학령기 말더듬아동의 읽기유창성 및 쓰기유창성 비교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4 (14): 476-484, 2014

      3 이은지, "학령기 말더듬아동의 문장구성능력 특성"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111-124, 2013

      4 신명선, "학령기 말더듬 아동의 언어유창성과 구어유창성 특성" 한국언어치료학회 22 (22): 207-221, 2013

      5 김가원, "학령기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의 쓰기 과제에 따른 생성이름대기능력 비교"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3

      6 심현섭, "파라다이스유창성검사" 파라다이스복지재단 2004

      7 김저옥, "초등학교 읽기 교과서 어휘 연구 : 1학년을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8 현미자,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어휘 연구 : 저학년 국어(읽기)교과서를 중심으로" 배재대학교 대학원 2004

      9 차일심, "초등지적장애학생의 읽기유창성과 읽기이해력 향상을 위한 반복읽기와 질문 전략의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대학원 2016

      10 민혜숙, "체계적인 반복읽기 프로그램이 읽기학습부진아동의 읽기 유창성과 독해력에 미치는 효과" 교육연구소 9 (9): 149-172, 2008

      1 조증열, "한국어 읽기 쓰기 진단 검사" 한국가이던스 2017

      2 박진원, "학령기 말더듬아동의 읽기유창성 및 쓰기유창성 비교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4 (14): 476-484, 2014

      3 이은지, "학령기 말더듬아동의 문장구성능력 특성"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111-124, 2013

      4 신명선, "학령기 말더듬 아동의 언어유창성과 구어유창성 특성" 한국언어치료학회 22 (22): 207-221, 2013

      5 김가원, "학령기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의 쓰기 과제에 따른 생성이름대기능력 비교"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3

      6 심현섭, "파라다이스유창성검사" 파라다이스복지재단 2004

      7 김저옥, "초등학교 읽기 교과서 어휘 연구 : 1학년을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8 현미자,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어휘 연구 : 저학년 국어(읽기)교과서를 중심으로" 배재대학교 대학원 2004

      9 차일심, "초등지적장애학생의 읽기유창성과 읽기이해력 향상을 위한 반복읽기와 질문 전략의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대학원 2016

      10 민혜숙, "체계적인 반복읽기 프로그램이 읽기학습부진아동의 읽기 유창성과 독해력에 미치는 효과" 교육연구소 9 (9): 149-172, 2008

      11 김민지, "자기평가를 활용한 반복읽기 중재가 ADHD 아동의 읽기 유창성 및 자기평가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12 유영미, "읽기장애 아동의 읽기 오류 분석" 15 (15): 47-72, 2013

      13 언어재활사협회, "언어재활사란"

      14 문석배, "신경학적 각인방법을 활용한 반복읽기 중재가 ADHD아동의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진주교육대학교 대학원 2017

      15 김영태,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 시립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2009

      16 정은화, "반복읽기전략이 정신지체아동의 읽기 유창성과 읽기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7 이혜선, "반복읽기와 질문전략을 결합한 읽기중재가 초등학교 저학년 읽기장애 학생의 읽기이해와 읽기유창성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18 송정연, "반복읽기가 저시력 학생의 읽기 유창성에 미치는 효과" 20 (20): 57-79, 2004

      19 이태수, "반복읽기(RCR)와 SQ3R 독해전략이 읽기장애아동의 읽기유창성과 읽기이해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133-147, 2007

      20 최정임, "반복 읽기가 텍스트 재인에 미치는 효과" 高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21 주진주, "반복 읽기 전략이 정신지체 고등학생의 읽기 유창성과 읽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2 강보순, "문자매체에 따른 반복읽기가 저시력 학생의 읽기 효율성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339-361, 2007

      23 박지현, "말더듬아동과 정상아동의 의사소통의도 출현율 비교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24 이다연, "말더듬 회복 여부에 따른 학령전기 말더듬 아동의 언어능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25 전희숙, "말더듬 아동과 유창한 아동의 구문 특성비교" 大邱大學校 再活科學大學院 1997

      26 신명선, "말더듬 성인의 읽기, 쓰기 및 말하기 유창성 특성" 한국언어치료학회 19 (19): 53-69, 2010

      27 박지현, "다양한 방식의 반복적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읽기 흥미 및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77-96, 2014

      28 박희향, "끊어읽기(CR)·반복읽기(RR)가 자폐성 아동의 읽기 유창성과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8

      29 박경숙, "기초학습기능검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89

      30 배소영, "구문의미이해력검사" 시립서울장애인복지관 2004

      31 Guitar, B., "Stuttering: An integrated approach to its nature and management"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6

      32 Nippold, M. A., "Stuttering and phonology : Is there an interaction?" 11 (11): 99-110, 2002

      33 임호찬, "K-CPM 레이븐 지능검사" 한국가이던스 2004

      34 전희숙, "FU프로그램이 학령전 말더듬 아동의 유창성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치료학회 20 (20): 197-216,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5-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6-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KCI등재
      2006-05-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대구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3 1.33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8 1.518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