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어 학습자의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에 관한 연구 : 한국어 말하기 수업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398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 교실 내에서 발견되는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기피 현상을 의사소통의지(Willingness to Communicate)의 부족으로 인한 것으로 보고 한국어 학습자의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 과제는 다음 세 가지이다. 첫째, 한국어 학습자의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이다. 둘째, 학습자 내적 요인 중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를 저해 또는 촉진하는 요인이 무엇이며, 학습자가 이들을 얼마나 자신의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의 저해 또는 촉진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셋째, 학습자 외적 요인 중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를 저해 또는 촉진하는 요인이 무엇이며, 학습자가 이들을 얼마나 자신의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의 저해 또는 촉진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내면 성찰 연구인 학습 일지와 회상 자극기법을 연구 방법으로 사용하여 학습자의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의 내적 요인은 정의적 요인, 언어적 요인, 사회·문화적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의 외적 요인은 주제 요인, 대화 상대자 요인, 교사 요인, 기타 학습자 외적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내적 요인 중 정의적 요인은 다양한 수업 관련 감정(자신감, 불안감, 책임감 등), 동기, 학습자 신념 그리고 피곤함과 배고픔과 같은 수업 외적 원인으로 인한 감정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언어적 요인은 어휘력, 발음, 언어 이해 및 표현 능력 그리고 언어 능력 부족으로부터 야기된 모국어 의존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사회·문화적 요인은 체면과 과거 학습 경험으로 분석되었다. 한국어 학습자들은 이러한 다양한 학습자 내적 요인 중 어휘력과 자신감을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를 가장 크게 저해 또는 촉진하는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학습자들은 과업과 관련된 어휘를 모를 때 의사소통의지가 낮아지고 반대로 어휘를 알고 있을 때 의사소통의지가 높아진다고 하였으며 지각의사소통능력과 불안감에 영향을 받아 형성된 자신감의 정도가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외적 요인 중 주제 요인은 주제 친숙도와 주제 관련 지식, 주제에 대한 관심과 흥미로 분석되었고 대화 상대자 요인은 대화 상대자의 참여도, 대화 상대자의 언어 능력, 대화 상대자와의 친숙도, 대화 상대자의 모국어 그리고 대화 상대자의 태도와 반응 등으로 분석되었다. 교사 요인은 교사의 지지와 관심, 교사 언어, 교사와의 친숙도, 교사의 오류 수정 그리고 교사의 유머 등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기타 학습자 외적 요인은 수업 분위기, 교재 및 교수 방법, 언어 사용의 기회 그리고 한국어능력시험 평가 영역으로 분석되었다. 이렇게 분석된 다양한 학습자 외적 요인 중 한국어 학습자들은 주제 요인, 대화 상대자의 참여도 그리고 대화 상대자의 언어 능력을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학습자 외적 요인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은 주제 관련 지식이 있고 주제가 흥미로울 때 의사소통의지가 높아지고 주제 관련 경험이 없고 관심 없는 주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때 의사소통의지가 낮아진다고 하였다. 그리고 적극적으로 대화에 참여하고 자신보다 언어 능력이 뛰어난 대화 상대자와 대화를 나눌 때 의사소통의지가 높아진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에서 총 1,473개의 정보 단위가 의사소통의지 관련 요인으로 분석되었는데 이 가운데 학습자 내적 요인은 625회(42%)였고 학습자 외적 요인은 848회(58%)였다. 그리고 어휘력(142회)은 저해 요인으로, 주제 친숙도와 주제 관련 지식(175회)은 촉진 요인으로 가장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다양한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이 상호작용을 이루어 학습자의 의사소통의지가 형성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연구 자료 분석을 통해 한국어 학습자의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가 성격, 학습자 신념, 언어 능력과 같은 성격적이고 고정적인 학습자 요인뿐만 아니라 주제, 대화 상대자, 수업 분위기 등과 같은 상황적 요인에 영향을 받아 형성되는 정의적 요인임이 밝혀졌다.
      한국어 학습자의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에 관한 본 연구의 결과물은 학습자의 교실 내 의사소통 기피 현상에 대해 이해하고 학습자의 의사소통의지를 높이는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의지 관련 요인을 더욱 정확히 규명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보다 다양한 학습자 집단을 대상으로 다양한 교실 상황에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 교실 내에서 발견되는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기피 현상을 의사소통의지(Willingness to Communicate)의 부족으로 인한 것으로 보고 한국어 학습자의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에 ...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 교실 내에서 발견되는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기피 현상을 의사소통의지(Willingness to Communicate)의 부족으로 인한 것으로 보고 한국어 학습자의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 과제는 다음 세 가지이다. 첫째, 한국어 학습자의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이다. 둘째, 학습자 내적 요인 중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를 저해 또는 촉진하는 요인이 무엇이며, 학습자가 이들을 얼마나 자신의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의 저해 또는 촉진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셋째, 학습자 외적 요인 중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를 저해 또는 촉진하는 요인이 무엇이며, 학습자가 이들을 얼마나 자신의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의 저해 또는 촉진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내면 성찰 연구인 학습 일지와 회상 자극기법을 연구 방법으로 사용하여 학습자의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의 내적 요인은 정의적 요인, 언어적 요인, 사회·문화적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의 외적 요인은 주제 요인, 대화 상대자 요인, 교사 요인, 기타 학습자 외적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내적 요인 중 정의적 요인은 다양한 수업 관련 감정(자신감, 불안감, 책임감 등), 동기, 학습자 신념 그리고 피곤함과 배고픔과 같은 수업 외적 원인으로 인한 감정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언어적 요인은 어휘력, 발음, 언어 이해 및 표현 능력 그리고 언어 능력 부족으로부터 야기된 모국어 의존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사회·문화적 요인은 체면과 과거 학습 경험으로 분석되었다. 한국어 학습자들은 이러한 다양한 학습자 내적 요인 중 어휘력과 자신감을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를 가장 크게 저해 또는 촉진하는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학습자들은 과업과 관련된 어휘를 모를 때 의사소통의지가 낮아지고 반대로 어휘를 알고 있을 때 의사소통의지가 높아진다고 하였으며 지각의사소통능력과 불안감에 영향을 받아 형성된 자신감의 정도가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외적 요인 중 주제 요인은 주제 친숙도와 주제 관련 지식, 주제에 대한 관심과 흥미로 분석되었고 대화 상대자 요인은 대화 상대자의 참여도, 대화 상대자의 언어 능력, 대화 상대자와의 친숙도, 대화 상대자의 모국어 그리고 대화 상대자의 태도와 반응 등으로 분석되었다. 교사 요인은 교사의 지지와 관심, 교사 언어, 교사와의 친숙도, 교사의 오류 수정 그리고 교사의 유머 등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기타 학습자 외적 요인은 수업 분위기, 교재 및 교수 방법, 언어 사용의 기회 그리고 한국어능력시험 평가 영역으로 분석되었다. 이렇게 분석된 다양한 학습자 외적 요인 중 한국어 학습자들은 주제 요인, 대화 상대자의 참여도 그리고 대화 상대자의 언어 능력을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학습자 외적 요인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은 주제 관련 지식이 있고 주제가 흥미로울 때 의사소통의지가 높아지고 주제 관련 경험이 없고 관심 없는 주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때 의사소통의지가 낮아진다고 하였다. 그리고 적극적으로 대화에 참여하고 자신보다 언어 능력이 뛰어난 대화 상대자와 대화를 나눌 때 의사소통의지가 높아진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에서 총 1,473개의 정보 단위가 의사소통의지 관련 요인으로 분석되었는데 이 가운데 학습자 내적 요인은 625회(42%)였고 학습자 외적 요인은 848회(58%)였다. 그리고 어휘력(142회)은 저해 요인으로, 주제 친숙도와 주제 관련 지식(175회)은 촉진 요인으로 가장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다양한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이 상호작용을 이루어 학습자의 의사소통의지가 형성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연구 자료 분석을 통해 한국어 학습자의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가 성격, 학습자 신념, 언어 능력과 같은 성격적이고 고정적인 학습자 요인뿐만 아니라 주제, 대화 상대자, 수업 분위기 등과 같은 상황적 요인에 영향을 받아 형성되는 정의적 요인임이 밝혀졌다.
      한국어 학습자의 교실 내 의사소통의지에 관한 본 연구의 결과물은 학습자의 교실 내 의사소통 기피 현상에 대해 이해하고 학습자의 의사소통의지를 높이는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의지 관련 요인을 더욱 정확히 규명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보다 다양한 학습자 집단을 대상으로 다양한 교실 상황에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Korean language
      learners' Willingness to Communicate (WTC) in class on the assumption that the
      communication avoidance of learners in language class is attributable to the WTC.
      This research has three study issues. The first one is 'what are Korean language
      leaner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influencing their WTC in class?'. The second
      one is 'Of learners' internal factors, what impedes or promotes their WTC in class?
      and how much do the learners recognize the factors as the ones to impede or
      promote their WTC in class?' The third one is 'Of learners' external factors, what
      impedes or promotes their WTC in class? and how much do the learners
      recognize the factors as the ones to impede or promote their WTC in class?'.
      Therefore, this researcher applied learning journals and stimulated recall as
      introspection research to Korean language learners in order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WTC in clas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is research data, the learners' internal factors
      influencing their WTC in class were categorized into affective, linguistic, and
      socio-cultural factors, and their external factors influencing the WTC in class were
      categorized into communication topic, interlocutor, teacher, and other factors.
      Of the internal factors, affective factors included various emotions related to
      class (confidence, anxiety, responsibility, etc.), motivation, learners' belief, emotions
      drawn from external class causes like fatigue and hungry and personality;
      linguistic factors included vocabularies, pronunciation, language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ability, and mother language dependence caused by poor language
      skills; socio-cultural factors included decency and past learning experience. Korean
      language learners recognized vocabularies and confidence as the factors that most
      impeded or promoted their WTC in class. The learners were reluctant to
      communicate when they didn't know the vocabularies related to a task, whereas
      their WTC was increased when they were aware of the vocabularies. A level of
      their confidence influenced by their perceived communication skills and anxiety
      greatly influenced their WTC in class.
      Of the external factors, communication topic factors included topic familiarity,
      knowledge of a topic and interest in a topic; interlocutor factors included
      participation of an interlocutor, language proficiency of an interlocutor, familiarity
      with an interlocutor, mother language of an interlocutor, attitudes and responses of
      an interlocutor; teacher factors included a teacher's support and interest, a teacher's
      language, familiarity with a teacher, a teacher's error correction, and a teacher's
      humor; other factors included class atmosphere, textbook and teaching method, an
      opportunity for language use, and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evaluation areas.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recognized topic factors as the ones
      that most impeded or promoted their WTC in class. Also, they recognized
      participation of an interlocutor and language skills of an interlocutor as main
      external factors that next most influenced their WTC in class. The learners' WTC
      was increased when they had knowledge of a topic and were interested in the
      topic, whereas their WTC was decreased when they had no relevant experience
      and were not interested in a topic. In addition, when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communication and communicated with an interlocutor with better language skills,
      their WTC was increased.
      In this research data, a total of 1,473 information units were analyzed as the
      factors related to the WTC. Learners' internal factors accounted for 625 (42%) and
      their external factors accounted for 848(58%). Vocabularies (142 units) was found to
      be an impediment factor, and topic familiarity and knowledge of a topic (175
      units) worked as promotion factors.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learners'
      various internal factors interacted with their external factors when their WTC was
      created. In addition, the data analysis revealed that Korean language learners'
      WTC was influenced by not only characteristic or relatively stable factors like
      personality, learners' belief and language proficiency, but situational factors such as
      a topic, an interlocutor, and class atmosphere.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Korean language learners' WTC in class will be
      used as a fundamental material to come up with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r
      understanding learners' communication avoidance in class and increasing their
      WTC. In order to define Korean language learners' WTC factors more clearly, it
      will be necessary to research a variety of class situations with the use of diverse
      learner group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Korean language learners' Willingness to Communicate (WTC) in class on the assumption that the communication avoidance of learners in language class is attributable to the WTC. This res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Korean language
      learners' Willingness to Communicate (WTC) in class on the assumption that the
      communication avoidance of learners in language class is attributable to the WTC.
      This research has three study issues. The first one is 'what are Korean language
      leaner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influencing their WTC in class?'. The second
      one is 'Of learners' internal factors, what impedes or promotes their WTC in class?
      and how much do the learners recognize the factors as the ones to impede or
      promote their WTC in class?' The third one is 'Of learners' external factors, what
      impedes or promotes their WTC in class? and how much do the learners
      recognize the factors as the ones to impede or promote their WTC in class?'.
      Therefore, this researcher applied learning journals and stimulated recall as
      introspection research to Korean language learners in order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WTC in clas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is research data, the learners' internal factors
      influencing their WTC in class were categorized into affective, linguistic, and
      socio-cultural factors, and their external factors influencing the WTC in class were
      categorized into communication topic, interlocutor, teacher, and other factors.
      Of the internal factors, affective factors included various emotions related to
      class (confidence, anxiety, responsibility, etc.), motivation, learners' belief, emotions
      drawn from external class causes like fatigue and hungry and personality;
      linguistic factors included vocabularies, pronunciation, language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ability, and mother language dependence caused by poor language
      skills; socio-cultural factors included decency and past learning experience. Korean
      language learners recognized vocabularies and confidence as the factors that most
      impeded or promoted their WTC in class. The learners were reluctant to
      communicate when they didn't know the vocabularies related to a task, whereas
      their WTC was increased when they were aware of the vocabularies. A level of
      their confidence influenced by their perceived communication skills and anxiety
      greatly influenced their WTC in class.
      Of the external factors, communication topic factors included topic familiarity,
      knowledge of a topic and interest in a topic; interlocutor factors included
      participation of an interlocutor, language proficiency of an interlocutor, familiarity
      with an interlocutor, mother language of an interlocutor, attitudes and responses of
      an interlocutor; teacher factors included a teacher's support and interest, a teacher's
      language, familiarity with a teacher, a teacher's error correction, and a teacher's
      humor; other factors included class atmosphere, textbook and teaching method, an
      opportunity for language use, and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evaluation areas.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recognized topic factors as the ones
      that most impeded or promoted their WTC in class. Also, they recognized
      participation of an interlocutor and language skills of an interlocutor as main
      external factors that next most influenced their WTC in class. The learners' WTC
      was increased when they had knowledge of a topic and were interested in the
      topic, whereas their WTC was decreased when they had no relevant experience
      and were not interested in a topic. In addition, when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communication and communicated with an interlocutor with better language skills,
      their WTC was increased.
      In this research data, a total of 1,473 information units were analyzed as the
      factors related to the WTC. Learners' internal factors accounted for 625 (42%) and
      their external factors accounted for 848(58%). Vocabularies (142 units) was found to
      be an impediment factor, and topic familiarity and knowledge of a topic (175
      units) worked as promotion factors.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learners'
      various internal factors interacted with their external factors when their WTC was
      created. In addition, the data analysis revealed that Korean language learners'
      WTC was influenced by not only characteristic or relatively stable factors like
      personality, learners' belief and language proficiency, but situational factors such as
      a topic, an interlocutor, and class atmosphere.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Korean language learners' WTC in class will be
      used as a fundamental material to come up with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r
      understanding learners' communication avoidance in class and increasing their
      WTC. In order to define Korean language learners' WTC factors more clearly, it
      will be necessary to research a variety of class situations with the use of diverse
      learner group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문지혜, 조현춘, 조현재, "성격심리학", 센게이지러닝코리아, 서울: 학지사, 2011

      2 Lightbown, Patsy, "How Languages are Learned",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University Press. (한국어판: 임병빈 외 공역, 2005, 외국어 어떻게 배우고 가 르치는가, 범문사), 1999

      3 김종문, "『구성주의 교육학』", 서울: 교육과학사, 2007

      4 조성남, "질적연구방법과 실제", 그린, 그린, 2011

      5 유기웅, "질적 연구 방법의 이해", 박영사, 박영사, 2012

      6 임성택, "『통계적 분석 방법 해설』", -구조방정식 모형의 논리와 적용-, 원미사, 2012

      7 박이도, "『모국어습득과 외국어학습』", 서울: 한국문화사, 1996

      8 Stern, H. H., "Fundamental concepts of language teaching", Oxfor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한국어판: 심영태 외 공역, 1995, 언어 교수의 기본개념,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1983

      9 김태영, "영어 학습동기 연구의 최근경향", 한국문화사, 서울: 한국문화사, 2013

      10 조수진, "한국어 말하기 교수의 원리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박사 학위논 문, 2006

      1 문지혜, 조현춘, 조현재, "성격심리학", 센게이지러닝코리아, 서울: 학지사, 2011

      2 Lightbown, Patsy, "How Languages are Learned",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University Press. (한국어판: 임병빈 외 공역, 2005, 외국어 어떻게 배우고 가 르치는가, 범문사), 1999

      3 김종문, "『구성주의 교육학』", 서울: 교육과학사, 2007

      4 조성남, "질적연구방법과 실제", 그린, 그린, 2011

      5 유기웅, "질적 연구 방법의 이해", 박영사, 박영사, 2012

      6 임성택, "『통계적 분석 방법 해설』", -구조방정식 모형의 논리와 적용-, 원미사, 2012

      7 박이도, "『모국어습득과 외국어학습』", 서울: 한국문화사, 1996

      8 Stern, H. H., "Fundamental concepts of language teaching", Oxfor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한국어판: 심영태 외 공역, 1995, 언어 교수의 기본개념,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1983

      9 김태영, "영어 학습동기 연구의 최근경향", 한국문화사, 서울: 한국문화사, 2013

      10 조수진, "한국어 말하기 교수의 원리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박사 학위논 문, 2006

      11 김주환,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12 박종원, "Nvivo 11 Applications: Handling Qualitative Data", 글로벌콘텐츠, 글로벌콘텐츠, 2016

      13 강소산,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효능감 연구", 부산대학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전공 박사 학위논문, 2016

      14 유현옥, "생태학적 관점의 읽기 평가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국어교육 전공 석사 학위논문, 2004

      15 이기재, "초등영어 학습자의 의사소통의지 연구", 계명대학교,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 위논문, 2003

      16 고형진, "한국어 학습자의 자기결정성 동기 연구", 경희대학교, 경희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 학과 석사 학위논문, 2011

      17 강곤, "중국대학의 한국어 말하기교육과정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인하대학교 국어교육학과 박사 학위논문, 2016

      18 Krashen, Stephen 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d Second Language Learning", Pergamon Press, Pergamon Press. (한국어판: 김윤경 역, 2000, 외국어 교육 이론과 실제: 학 습인가, 습득인가?, 한국문화사), 1981

      19 고동운, "상사의 부하 체면 행위와 부하 태도와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석 사 학위논문, 2006

      20 김희영, "한국어 학습자와 교사의 언어 학습 신념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2

      21 Singh, Neerja, ". 인도인을 위한 한국어 말하기 교수 학습 원리", 서울대학교 국어 교육과 박사 학위논문, 2007

      22 정재희, "영어 학습 동기부여 방안의 연구, Athenaeum 제7권", 단국영어영문학회, 157-172, 2001

      23 와타나베 요시야스,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적응에 관한 연구", 교육대학 원 석사 학위논문, 2002

      24 손명양, "중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 연구", 전남대학교 한국어교 육협동과정 박사 학위논문, 2017

      25 김애주, "한국 대학생의 영어 듣기 처리과정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영어영문 학과 석사 학위논문, 2000

      26 최은진, "EFL 교실 상호작용: 교사의 피드백과 학습자 수용", 서울시립대학교 영 어영문학과 석사 학위논문, 2010

      27 전제희, "외국어로서 한국어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전략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연세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0

      28 윤연진, "한국어 학습자의 장독립성-장의존성 인지양식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1

      29 문선미, "교실 상호작용을 활성화시키는 교사 발화 전략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연세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7

      30 Piao, Haiyan., "한국어 말하기 교수 학습에서의 상호작용 전략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박사 학위논문, 2009

      31 최희철, "계획적 행동 이론을 적용한 상담추구 의도 예측 모형", 단국대학교 대학원, 단국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10

      32 곽홍란, "동화 동요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교수-학습법 연구", 영남대학교 외국 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과 박사 학위논문, 2016

      33 배승재, "성격특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신대학교 대학원, 동신대학교 경영 학과 박사 학위논문, 2014

      34 이효신, "읽기 동기 및 불안과 한국어 읽기의 관계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외 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 박사 학위논문, 2012

      35 이현희, "초등학생들의 영어 의사소통의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6

      36 주민욱, "중국인의 체면유형에 대한 실증연구, 中國學硏究 第75輯", 중국학연구회, 275-297, 2016

      37 김상경,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 평가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경희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학과 박사 학위논문, 2015

      38 이해련, "EFL 학습자의 WTC와 의사소통행동 분석, 언어학연구 제32권", 한국중 원언어학회, 189-208, 2014

      39 배수영, "학습자의 성격과 국어와 영어의 의사소통 의욕과의 관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5

      40 정아경, "한국어 학습 경험을 통해 본 한국어 능력 발달 사례 연구", 건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 학위논문, 2011

      41 양계민, 정진경, "문화적응 이론의 전개와 현황, 한국심리학회지 제23권 1호", 한국 심리학회, 101-136, 2004

      42 이연정, "성격 유형이 한국어 학습자의 글쓰기 과정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이화여자대 학교 한국학과 석사 학위논문, 2015

      43 노아실, "주제에 대한 관심과 숙달도가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 학교 한국학과 석사 학위논문, 2007

      44 진달래, "대학생의 성격 5요인과 Holland의 직업적 성격유형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 대학교 심리학과 석사 학위논문, 2016

      45 정미애, "체면이 영어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언어연구 제28권 4호", 한국현대언 어학회, 767-790, 2013

      46 임문숙, "Piaget와 Vygotsky의 인식론에 비추어 본 구성주의의 학습 원리", 청주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1

      47 강현주,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구인으로서 상호작용능력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학위논문, 2013

      48 배태일, "제2언어 의사소통 의사 구조 모형 연구, 영어교육 제66권 4호", 한국영어 교육학회, 307-327, 2011

      49 박수인, "친애동기의 수준 및 유형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연세대학 교 심리학과 석사 학위논문, 2014

      50 오혜인,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인지양식과 성취도와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연세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1

      51 조위수,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전략 사용 양상과 교수 방안 연구", 부산외국 어대학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과 박사 학위논문, 2012

      52 이수진, "중학생 학습자들의 영어 학습 동기와 학습전략과의 상관관계",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외국 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3

      53 유진영, "EFL 학습자의 영어학습 신념과 성취도의 상관관계에 관 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숙명 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0

      54 이정연,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설득적 말하기 교육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한국외국어 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학위논문, 2016

      55 박지민,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불안과 학업성취도와의 상관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4

      56 이진화, "영어교육에 게재된 학습자 요인 연구 개관, 영어교육 제70권 5호", 한국 영어교육학회, 133-159, 2015

      57 원종희,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불안과 구어 유창성 간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 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7

      58 나카가와 마사오미, "「한국어 말하기 수행 평가 연구: 일본 지역 학습자를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박사 학위논문, 2014

      59 김희선, "생태학적 관점에서 학교폭력 유발요인이 학교폭력에 끼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화 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4

      60 정설군,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불안과 구어 숙달도 간의 상관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경 희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학과 석사 학위논문, 2016

      61 이혜주, "한중일 소비자의 체면과 명품 소비가치가 명품 소비에 미치는 영향", 서 울대학교 의류학과 박사 학위논문, 2015

      62 이향, "“한국어 말하기 수행 평가의 발음 범주 채점에 대한 타당성 검증”", 이화여 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학위논문, 2013

      63 안승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불안과 의사소통의지에 관한 연구", 연 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3

      64 김기범, 최상진, "체면(體面)의 심리적 구조,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14권 1호", 한국심리학회, 185-202, 2000

      65 최욱, "한국어 학습자의 성격에 따른 의사소통 전략 사용 양상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고 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1

      66 이용숙,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의 성격유형에 따른 학습결과 분석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1

      67 신재한, "『(21세기 창의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와 실제』", 이모션북스, 이모션북스, 2017, 2017

      68 임양희, "외국인학교 제3문화 청소년의 문화정체성과 한국어 학습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4

      69 김동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수업 불안과 말하기 유창성의 상관관계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 학위논문, 2016

      70 조혜진, "출력 가설을 활용한 영어수업이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9

      71 이해련, "EFL 학습자의 의사소통의지와 구두의사소통능력, 영어교육연구 제30 호", 한국영어교육연구학회, 94-110, 2005

      72 김나나,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사용 장면에 따른 한국어 불안 양상 연 구",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한국학과 석사 학위논문, 2012

      73 이윤경, "내향성의 적응적 특성: 내향성과 대인관계 강점 및 심리적 건강과의 관 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석사 학위논문, 2011

      74 김지영, "한국어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언어 기능별 성취도와의 상관관 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7

      75 임근영, "국내 거주 외국인의 한국 문화 적응 스트레스가 한국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청주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 학위논문, 2008

      76 강승혜,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학습 전략 유형 및 학습결과 분석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박사 학위논문, 1996

      77 강승혜, "한국어 교실에서의 학습자 요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 집",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3-34, 2013

      78 김정화, 최은규, 안경화,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방향에 대하여, 한국어 교육 제11권 1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67-83, 2000

      79 강승혜, "한국어교육 연구에서의 교사, 학습자 연구 동향 분석, 이중언어학 제56 권 0호", 이중언어학회, 1-29, 2014

      80 바트체첵, "회화적 담화 능력 신장을 위한 몽골인 학습자 대상 한국어 말하기 교 육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배재대학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과 박사 학위논문, 2017

      81 김신혜, 이기재, "Peter, A. E 초등 영어학습자의 의사소통 의지에 관한 연구, 초 등영어교육 제12권",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01-226, 2006

      82 허영주, "교사유머의 유형화 및 유형별 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교육방법연구 제 23권 1호", 한국교육방법학회, 1-29, 2011

      83 장승민, "일기법을 이용한 심리학 연구의 최근 동향과 전망, 한국심리학회지, 제 30권 3호", 한국심리학회, 677-706, 2011

      84 정혜윤, "발음 오류에 제공된 수정적 피드백에 대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인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7

      85 조인영, "외국인 노동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한국어 말하기 수행 불안에 미치 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0

      86 안진명, "한국어 학습에서의 학습 양식 연구: 한국어 교사와 언어권별 학습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3

      87 임우진, "“초등영어학습자의 의사소통의지 및 전략, 말하기 과업 선호 도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16

      88 화영남,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불안 감소를 위한 교육 연극 활용 수업 모형 개발 연구",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 학위논문, 2015

      89 권세희, "과제 중심 말하기 활동이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불안과 흥미에 미 치는 영향",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0

      90 신상현, "“여성 결혼이민자와 유학생의 한국어 구어 발화에 나타난 의 사소통 문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3

      91 강수자, "Factors affecting the fluctuation of speakers' excitement in L2 communication, 영어영문학연구 제49권 3호", 대한영어영문학회, 21-43, 2007

      92 심상민, "일지 연구 방법을 사용한 일본인 학습자의 읽기 전략에 관한 연구, 이 중언어학 제33권", 이중언어학회, 95-119, 2007

      93 주운, "『중국 유학생의 한국어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의 관계-의사 소통 불안의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전남대학교 교육학과 석사 학위논문, 2011

      94 이혜련, "성격 5요인 모형(Big Five)이 사립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3

      95 이정님, "중등 영어학습자의 사회 문화적 요인에 관한 연구, 신영어영문학회 학술발표회 자료집", 신영어영문학회, 19-26, 2001

      96 이서영, "학습자 변인과 영어 학습 불안감 사이의 관계 고찰: 일반 인문계 고등 학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6

      97 백민영,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대한 연구: 일본어권 학습자와 영어권 학 습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한국학과 석사 학위논문, 2002

      98 유주연, "4명의 한국 성인 학습자들의 영어 말하기를 저해하는 요인: 사회문화 적 요인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3

      99 이해련, "협동학습이 EFL 학습자의 의사소통불안과 의사소통의지에 미치는 영 향, 언어학연구 제35호", 한국중원언어학회, 271-292, 2015

      100 허영주, "예비교사의 유머감각과 유머스타일이 교사교육에 요구하는 변화, 교육 방법연구 제22권 3호", 한국교육방법학회, 19-49, 2010

      101 안한나, "재미교포 한국어 학습자의 정체성 지각에 관한 연구: 한국어 능력과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6

      102 김경선,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면대면 인터뷰 방식과 컴퓨터 기반 방식 간 측정 학적 특성 비교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박사 학위논문, 2017

      103 강승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을 기초로 한 한국어교육학의 연구 영역, 새 국어교육 제110권 0호", 한국국어교육학회, 121-146, 2017

      104 Horwitz, E. K., "Becoming at Language Teacher, Pearson Education. (한국어 판: 전변만 외 공역, 2010, 유능한 언어 교사 되기", ㈜시그마프레스), 2008

      105 안주연, "한국어 학습자의 자기결정성 동기와 스트레스의 관계 연구: 국내 외국 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2

      106 김영우, "강진 한국 초등학생의 영어 사용 및 영어 의사소통의지에 대한 연구, 영어교육연구 제26권 3호",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89-112, 2014

      107 송윤희, 지성구, "대학 수업에서 교수자의 유머러스함, 래포, 몰입 및 만족도와의 관계, 교육과학연구 제43권 4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45-269, 2012

      108 Revere, S. C., "교실 상호작용이 한국어 학습자의 불안과 동기에 미치는 영향: 일지 연구(diary study)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4

      109 이추연, "한국어 교육에서의 학습 동기 유발에 관한 연구: 학습 환경(수업, 교사, 학습자 집단)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0

      110 진제희, "한국어 교실 구두 상호작용에 나타난 문제 해결을 위한 의미 협상: 교 사-학습자 대화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학위논문, 2004

      111 박혜숙, 이호정, "제2언어 동기적 자아와 의사소통의지가 영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제18권 2호", 글로벌영어교육학회, 259-284, 2013

      112 김미경, "의사소통 전략 훈련을 위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 방안 연구: 소통 장애 극복을 위한 전략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7

      113 김태영, 전원정, "학습 동기 증진 언어하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영어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 초등영어교육 제21권 2호",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47-174, 2015

      114 차정선, "초등학생의 영어 학습 동기와 불안감이 영어 의사소통의지와 영어 말 하기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3

      115 Phares, E. J., "Introduction to personality, Charles E. Merrill Publishing Company, Columbus, Ohio. (한국어판: 홍숙기 역, 1987, 성격 심리학", 서울 : 박영사), 1984

      116 김태영, 차정선, "초등 영어 학습 동기와 불안감이 의사소통의지와 말하기 학습 에 미치는 영향, 초등영어교육 제19권 1호",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71-294, 2013

      117 이혜전, "프로토콜 분석을 통한 사과 화행 연구-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 로-,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석사 학위논문, 2008

      118 이진주, "한국어 학습자의 인지양식 분석을 통한 교수방안 연구: 모호함에 대한 관용(Ambiguity Tolerance)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2009

      119 리정자, "그룹 활동을 통한 의사소통능력신장 실증연구 -과제수행 중 상호작용 을 중심으로-, 중국조선어문 제2호",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15-20, 2002

      120 안주호, "투무르바트 툽싱바야르 몽골 현지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동악어문학 제68권", 동악어문학회, 253-277, 2016

      121 McKay, S. L., "Researching second language classrooms, Mahwah, N.J.: Lawrence Erlbaum. (한국어판: 김영주 역, 2009, 제2언어교실 연구방법론", 한 국문화사), 2006

      122 강승혜, "학습자 요인 측면에서 본 한국어 학습자 분석 -학습자 상담 사례 분석 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제27권 0호", 이중언어학회, 1-20, 2005

      123 안선경, 허경호, "개인의 성격과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 韓國 言論學報(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제48권 2호", 한국언론학 회, 321-345, 2004

      124 김영숙, 이지연, "한국 대학생의 영어 학습 동기, 의사소통의지와 영어전용공간 활 용에 관한 연구, 영어어문 교육 제14권 4호",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223-245, 2008

      125 이경애, "“여성결혼이민자의 학습양식과 한국어 학습전략 분석 연구 : 중국 어권과 베트남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학위논문, 2015

      126 한상미, "한국어 모어 화자와 비모어 화자 간의 의사소통 문제 연구 : 영어권 한국 어 학습자의 화용적 실패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학위 논문, 2005

      127 김용석, "인지적 요인과 정의적 요인 차원에서 사회 교육적 동기 모형과 L2 동기 자아 체계의 비교, 외국어 교육 제19권 4호",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81-214, 2012

      128 김익상, 이재영, "EFL학습자의 신념이 태도, 동기, 자신감 및 영어 의사소통의지 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언어학연구 제19권 3호", 한국언어연구학회, 53-76, 2014

      129 신헌재, "초등학교 읽기 영역의 생태학적 평가 방안 개발: 저학년 읽기 영역 평 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8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33-64, 2004

      130 김영은, 조일현, "사용성 검사 기법으로서 회상 자극기법(Stimulated Recall)의 타 당성과 실용성에 관한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2권 2호", 한국교육정보 미디어학회, 71-95, 2006

      131 정은선, "교장의 체면 행동이 교장-교사 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교사 효능 감의 매개효과와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조절 효과", 건국대학교 교육학과 박 사 학위논문, 2014

      132 김우형, 이해련, "정의적 요인과 구두 의사소통능력간의 관계: 불안감, 학습 동기 와 의사소통의지를 중심으로, 영어영문학연구 제32권 1호", 대한영어영문학 회, 245-267, 2006

      133 최숙경, "질적 자료 분석 소프트웨어(Nvivo2)의 유용성과 한계: 전통적 분석방법 과 Nvivo 분석방법의 비교, 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18권 1호", 한국정책분석평 가학회, 123-151, 2005

      134 이수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경험에 대한 생애사 연구: 교실 안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학습자 중심 교과 교육 연구 제63권", 학습자중심 교과교육학회, 709-735, 2016

      135 김현진, "언어 불안감, 자각 능력, 의사소통의사 및 동기와 제2언어 의사소통 빈 도의 관계: 한국 EFL 상황을 중심으로, 외국어교육 제12권 1호", 한국외국어 교육학회, 161-184, 2005

      136 강승혜, "특집: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학습자 요구 분석 -연세대학교 한국 어학당 학습자를 대상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제28권 0호", 연세대학 교 한국어학당, 251-286,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