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성근교도시 ‘두모포’의 木花田 매매문서 분석 = Analysis of the Cotton Field Sale Document in Dumopo, a Suburban City of Hanseo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618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한성부 남부 토지매매문서(17세기-19세기)에 기재된 장소를 현재의 장소와 연결시키고, 그에 파생된 사실을 설명하였다. 또한 두모포 목화전 매매문서에 기입된 자료를 가지고...

      본 논문에서는 한성부 남부 토지매매문서(17세기-19세기)에 기재된 장소를 현재의 장소와 연결시키고, 그에 파생된 사실을 설명하였다. 또한 두모포 목화전 매매문서에 기입된 자료를 가지고 목화전 재배 환경을 파악하고 매매된 목화전 면적을 계산하였다. 이를 통해 한성근교도시 두모포의 농업 규모를 확인하였다.
      토지매매문서에 기재된 장소, 둔지방 와서계 富原面, 두모방 신촌리계 수리재[車峴], 동호독서당, 漢江岩串舊垈와 漢江亭基, 화경고개, 趙判書宅 등을 조사하였다.
      두모포의 경강상인들은 두모포에서 유통업·선박업·조선업 등을 활발하게 하면서 두모포를 발전시켰다. 반면에 두모포의 농업 상황에 대해서는 기록이 거의 없다. 한성 근교에서는 수익성이 높은 다양한 작물을 재배하여, 도성으로 유통시키고 있었다. 목화전 매매문서를 보면, 두모포 내에서도 한성 근교와 같은 농업활동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그 규모는 알기 어렵다. 그 규모를 알기 위해서 대략이나마 목화전 매매문서에 나온 매매된 목화전 면적을 계산했다.
      면적을 계산하기 위해, 먼저 매매로 인해 소유주가 바뀐 문서는 같은 땅이므로 ‘1곳’으로 산정했다. 다음으로 다양하게 기재되어있는 거래물건의 단위를 結負로 통일시키고, ‘전분6등분’을 이용해서 다시 이를 인지하기 쉽게 ‘평’으로 환산하여 오늘날의 옥수동 면적과 비교하였다. 현재 옥수동의 넓이는 1.94㎢이다. ‘전분6등법’의 5등급을 적용했을 때, 옥수동은 목화전매매문서 넓이의 30배이다. 6등급을 적용했을 때, 옥수동은 목화전매매문서 넓이의 19배이다. 거래된 1건의 땅은 보통 300평에서 600평이었다. 정약용에 의하면 상품작물 농사는 벼농사보다 10배나 수익이 많다고 하였고, 구체적으로 600평의 마늘밭에서는 수백냥의 수익을 올린다고 하였다. 따라서 두모포의 언덕배기 경작지도 곡식을 심는다면 이익이 적겠지만 목화전이라면 수익이 꽤 많다. 두모포는 포구에서는 경강상인의 상업 활동과 언덕을 개간한 밭에서는 면화작물의 재배로 한성 근교의 都農都市로써 성장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주로 문서에 기재된 공간적 요소, 즉 매매물건의 소재지와 거래면적, 사표를 가지고 옛 지역과 오늘날의 지역을 연결시키고, 매매된 면적을 계산해서 그 지역의 생산 규모를 가늠해 보았다. 옛 지명으로 현재의 지역을 찾아내고, 예전의 단위를 현재의 단위로 환산하는 데에는 많은 오류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런 오류를 하나씩 찾아가는 과정이 있다면, 우리는 더 많은 사실과 진실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we connect the locations listed in the land sale documents of the southern part of Hanseongbu (17th-19th century) with their current counterparts and explain the derived facts. Additionally, the data written in the Mokhwajeon (cotton fi...

      In this paper, we connect the locations listed in the land sale documents of the southern part of Hanseongbu (17th-19th century) with their current counterparts and explain the derived facts. Additionally, the data written in the Mokhwajeon (cotton field) sale documents of Dumopo were used to assess the cotton cultivation environment and calculate the area of the sold cotton fields. This helped ascertain the agricultural scale of Dumopo, a suburban city near Hanseong.
      The document investigated places recorded in the land sale documents, such as ‘Dunchibang Waseogye Fuyuanmyeon (둔지방와서계富原面)’, ‘Dumobang Sinchon –ri- gye Surijae(두모방 신촌리계 수리재[車峴])’, ‘Dongho Reading Room’, ‘HangangRock Cape’ and ‘Hangang Pavilion Site’, ‘Hwagyeong Pass’, and ‘the residence of Zhao Minister’.
      Merchants in Dumopo vigorously engaged in distribution, shipbuilding, and ship business, contributing to Dumopo’s development. However, there is hardly any record of the agricultural conditions in Dumopo. In the suburbs of Hanseong, various profitable crops were cultivated and transported to the capital. Cotton field sale documents indicate that similar agricultural activities were conducted in Dumopo as in other suburban cities, although the scale is difficult to determine. To estimate this scale, the area of the cotton fields sold as mentioned in the documents was calculated.
      To calculate the area, documents with a change of ownership through sales were counted as 'one place' since they involved the same land. Then, the units listed variably in the documents were standardized to gyeolbu(結負), and 'one-sixth division' was used to convert these into a more comprehensible unit, 'pyeong(坪)', and compared with the current area of Oksu-dong. Today, the area of Oksu-dong is 1.94 km². Applying the fifth grade of the 'The law dividing farmland into six grades', Oksu-dong is 30 times larger than the area described in the cotton field sale documents; with the sixth grade, it is 19 times larger. The area of one traded piece of land typically ranged from 300 to 600 pyeong. According to Jeong Yak-yong, crop farming produces ten times more profit than rice farming, and specifically, a 600-pyeong garlic field could yield several hundred nyang(兩) in profit. Therefore, while hillside cultivated lands in Dumopo would yield less profit if planted with grains, cotton fields could be quite profitable. Dumopo grew as an agricultural-urban city near Hanseong, with commercial activities by Kyunggang merchants at the port and cultivation of cotton crops on the cleared hillsides.
      In this paper, we primarily explored the spatial elements written in documents, namely the location and area of the property sold, along with the "four markers" (四標), to connect ancient regions with today's geographical areas. We also estimated the scale of production in these areas by calculating the sold areas. Identifying modern regions based on ancient place names and converting historical units into contemporary ones can introduce numerous errors. However, if we methodically address these errors, we will be able to uncover more facts and truth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