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신연, "「서궁일기」 연구: 작자 추정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85
2 정은임, "「계축일기」는 과연 소설인가? - 장르 파악을 위한 재조명 -" 숙명여대 대학원 4 : 1986
3 임형택, "한,중 문학에서의 전통과 근대-20세기초 소설의 신구양식의 관련양상"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33 : 1998
4 김기연, "찬탈(簒奪)에서 반정(反正)으로: 인조반정 이후 정치세력의 포섭과 정치적 정당성의 구축" 한국정치연구소 27 (27): 125-151, 2018
5 민병도, "조선역대여류문집" 을유문화사 1950
6 민영대, "조선시대 궁중소설 연구" 역락 2004
7 홍순민, "조선시대 궁녀의 위상" 역사문제연구소 (68) : 241-267, 2004
8 홍기원, "인목대비의 서궁일기" 민속원 2004
9 김용숙, "이조 여류문학 및 궁중풍속의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출판부 1970
10 이영호, "서술자의 측면에서 본 <계축일기>의 표현 전략 연구"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1) : 41-70, 2006
1 김신연, "「서궁일기」 연구: 작자 추정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85
2 정은임, "「계축일기」는 과연 소설인가? - 장르 파악을 위한 재조명 -" 숙명여대 대학원 4 : 1986
3 임형택, "한,중 문학에서의 전통과 근대-20세기초 소설의 신구양식의 관련양상"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33 : 1998
4 김기연, "찬탈(簒奪)에서 반정(反正)으로: 인조반정 이후 정치세력의 포섭과 정치적 정당성의 구축" 한국정치연구소 27 (27): 125-151, 2018
5 민병도, "조선역대여류문집" 을유문화사 1950
6 민영대, "조선시대 궁중소설 연구" 역락 2004
7 홍순민, "조선시대 궁녀의 위상" 역사문제연구소 (68) : 241-267, 2004
8 홍기원, "인목대비의 서궁일기" 민속원 2004
9 김용숙, "이조 여류문학 및 궁중풍속의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출판부 1970
10 이영호, "서술자의 측면에서 본 <계축일기>의 표현 전략 연구"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1) : 41-70, 2006
11 정은임, "궁중문학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명학회 21 : 2008
12 소재영, "궁정문학의 비극성"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3 : 1969
13 백철, "국문학전사" 신구문화사 1970
14 정병설, "계축일기의 작가문제와 역사소설적 성격" 한국고전문학회 15 : 1999
15 민영대, "계축일기 연구" 한남대학교 1990
16 정은임, "계축일기" 이회문화사 2005
17 강한영, "계축일기" 형설출판사 1981
18 계승범, "恭嬪 追崇 과정과 광해군의 母后 문제" 민족문화연구원 (48) : 373-406, 2008
19 정병설, "『한중록』의 신고찰" 한국고전문학회 (34) : 171-198, 2008
20 배개화, "『문장』지의 내간체 수용 양상" 한국현대소설학회 (21) : 141-160, 2004
21 박혜인, "『계축일기』 속 궁녀와 생욕(生慾)의 서사" 이화어문학회 (47) : 97-123, 2019
22 김정석, "「계축일기」인물성격 고 - 내인들의 성격을 중심으로 -" 우리어문학회 (12) : 243-270, 1999
23 박홍규, "‘인조반정(仁祖反正)’의 주자학적 정당성 검토" 한국정치학회 50 (50): 51-74, 2016
24 박은미, "‘복단이 실종사건’을 통해 본 <빈상설> 속 고전소설의 변형적 수용" 우리문학회 (50) : 265-305, 2016
25 김강은, "<계축일기>의 서사 공간 연구 - 공간 주체의 변화를 중심으로 -" 국제어문학회 (80) : 137-158, 2019
26 김정경, "<계축일기>에 나타난 선악관 고찰" 한국고전연구학회 0 (0): 161-195, 2007
27 이승복, "<계축일기>에 나타난 갈등의 층위와 제시 방식"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34) : 193-222, 2017
28 최기숙, "17세기 장편소설 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