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계축일기」의 궁녀 재현 양상과 그 의미 = A Literary Representation of the Court Ladies in Gyechuk-ilg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927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revisits Gyechuk-ilgi (A Diary of the Gyechuk year), a late Joseon Dynasty text written in vernacular Korean, in which court ladies (宮女) are represented as the subject and they talk about their masters. In Gyechuk-ilgi, court ladies, wh...

      This study revisits Gyechuk-ilgi (A Diary of the Gyechuk year), a late Joseon Dynasty text written in vernacular Korean, in which court ladies (宮女) are represented as the subject and they talk about their masters. In Gyechuk-ilgi, court ladies, who are the royal family’s subordinates, observe and devalue King Gwanghae while the narrator-who identifies with the court ladies-also critically evaluates the king. The court ladies’ diverse voices discussing the king de-naturalizes the king’s authority. Furthermore, Gyechuk-ilgi shows the complexity of master-servant relationships. The court ladies are not just tools that follow the orders of their master, they are represented as agents who exert influence toward their mastery, sometimes betraying and even threatening their master. The representation of court ladies in Gyechuk-ilgi creates a rift in the ideologically hierarchical world by exemplifying how the immoral and politically improper king and the selfish and unfaithful servants might have appeared in the real world, which consequently betrays the writer’s moral int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신연, "「서궁일기」 연구: 작자 추정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85

      2 정은임, "「계축일기」는 과연 소설인가? - 장르 파악을 위한 재조명 -" 숙명여대 대학원 4 : 1986

      3 임형택, "한,중 문학에서의 전통과 근대-20세기초 소설의 신구양식의 관련양상"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33 : 1998

      4 김기연, "찬탈(簒奪)에서 반정(反正)으로: 인조반정 이후 정치세력의 포섭과 정치적 정당성의 구축" 한국정치연구소 27 (27): 125-151, 2018

      5 민병도, "조선역대여류문집" 을유문화사 1950

      6 민영대, "조선시대 궁중소설 연구" 역락 2004

      7 홍순민, "조선시대 궁녀의 위상" 역사문제연구소 (68) : 241-267, 2004

      8 홍기원, "인목대비의 서궁일기" 민속원 2004

      9 김용숙, "이조 여류문학 및 궁중풍속의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출판부 1970

      10 이영호, "서술자의 측면에서 본 <계축일기>의 표현 전략 연구"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1) : 41-70, 2006

      1 김신연, "「서궁일기」 연구: 작자 추정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85

      2 정은임, "「계축일기」는 과연 소설인가? - 장르 파악을 위한 재조명 -" 숙명여대 대학원 4 : 1986

      3 임형택, "한,중 문학에서의 전통과 근대-20세기초 소설의 신구양식의 관련양상"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33 : 1998

      4 김기연, "찬탈(簒奪)에서 반정(反正)으로: 인조반정 이후 정치세력의 포섭과 정치적 정당성의 구축" 한국정치연구소 27 (27): 125-151, 2018

      5 민병도, "조선역대여류문집" 을유문화사 1950

      6 민영대, "조선시대 궁중소설 연구" 역락 2004

      7 홍순민, "조선시대 궁녀의 위상" 역사문제연구소 (68) : 241-267, 2004

      8 홍기원, "인목대비의 서궁일기" 민속원 2004

      9 김용숙, "이조 여류문학 및 궁중풍속의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출판부 1970

      10 이영호, "서술자의 측면에서 본 <계축일기>의 표현 전략 연구"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1) : 41-70, 2006

      11 정은임, "궁중문학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명학회 21 : 2008

      12 소재영, "궁정문학의 비극성"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3 : 1969

      13 백철, "국문학전사" 신구문화사 1970

      14 정병설, "계축일기의 작가문제와 역사소설적 성격" 한국고전문학회 15 : 1999

      15 민영대, "계축일기 연구" 한남대학교 1990

      16 정은임, "계축일기" 이회문화사 2005

      17 강한영, "계축일기" 형설출판사 1981

      18 계승범, "恭嬪 追崇 과정과 광해군의 母后 문제" 민족문화연구원 (48) : 373-406, 2008

      19 정병설, "『한중록』의 신고찰" 한국고전문학회 (34) : 171-198, 2008

      20 배개화, "『문장』지의 내간체 수용 양상" 한국현대소설학회 (21) : 141-160, 2004

      21 박혜인, "『계축일기』 속 궁녀와 생욕(生慾)의 서사" 이화어문학회 (47) : 97-123, 2019

      22 김정석, "「계축일기」인물성격 고 - 내인들의 성격을 중심으로 -" 우리어문학회 (12) : 243-270, 1999

      23 박홍규, "‘인조반정(仁祖反正)’의 주자학적 정당성 검토" 한국정치학회 50 (50): 51-74, 2016

      24 박은미, "‘복단이 실종사건’을 통해 본 <빈상설> 속 고전소설의 변형적 수용" 우리문학회 (50) : 265-305, 2016

      25 김강은, "<계축일기>의 서사 공간 연구 - 공간 주체의 변화를 중심으로 -" 국제어문학회 (80) : 137-158, 2019

      26 김정경, "<계축일기>에 나타난 선악관 고찰" 한국고전연구학회 0 (0): 161-195, 2007

      27 이승복, "<계축일기>에 나타난 갈등의 층위와 제시 방식"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34) : 193-222, 2017

      28 최기숙, "17세기 장편소설 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8 1.285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