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행동경제학적 관점에서의 공연소비행동, 공연만족도, 재 관람의도와의 관계 = Relationship among performing art consumer behavior from a behavioral economics perspective, performing art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of performing arts visi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930247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한양대학교 대학원 , 공연예술학과 , 2024. 2

      • 발행연도

        2024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ii, 101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권두 국문요지, 권말 Abstract 수록
        지도교수: 이해준
        부록 수록
        참고문헌: p. 89-96

      • UCI식별코드

        I804:11062-200000728483

      • 소장기관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tructural relation among performing art consumer behavior from a behavioral economics perspective, performing art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of performing arts visitors. Research 1 explore the performing art consumer behavior from a behavioral economics perspective based on literatures and interview of performing arts experts . Research 2 analyze structural relation among performing art consumer behavior from a behavioral economics perspective, performing art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of performing arts visitors. The subjects in research 1 were composed of 8 performing arts experts with in-depth interview were used to collect and analyze the data for result. The subjects in research 2, 290 performing arts visitors were surveyed on the performing art consumer behavior from a behavioral economics perspective questionnaire, performing art satisfaction questionnaire, revisit intention of performing arts visitors questionnaire.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method. SPSS 23.0 and AMOS 23.0 were us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difference analysis(t-test and ONE-way ANOVA), confirmation factor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forming art consumer behavior from a behavioral economics perspective factors of performing arts visitors were heuristics, sunk cost, mental accounting, veblen effect, herd mentality.
      Second, there was difference except some factors in performing art consumer behavior from a behavioral economics perspective, performing art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of performing arts visitors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 such as age, sex.
      Third, sunk cost had a negative effect on performing art satisfaction of performing arts visitors, veblen effect had a negative effect on performing art satisfaction of performing arts visitors, heuristics had a negative effect on revisit intention of performing arts visitors, performing art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revisit intention of performing arts visito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tructural relation among performing art consumer behavior from a behavioral economics perspective, performing art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of performing arts visitors. Research 1 explore the perform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tructural relation among performing art consumer behavior from a behavioral economics perspective, performing art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of performing arts visitors. Research 1 explore the performing art consumer behavior from a behavioral economics perspective based on literatures and interview of performing arts experts . Research 2 analyze structural relation among performing art consumer behavior from a behavioral economics perspective, performing art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of performing arts visitors. The subjects in research 1 were composed of 8 performing arts experts with in-depth interview were used to collect and analyze the data for result. The subjects in research 2, 290 performing arts visitors were surveyed on the performing art consumer behavior from a behavioral economics perspective questionnaire, performing art satisfaction questionnaire, revisit intention of performing arts visitors questionnaire.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method. SPSS 23.0 and AMOS 23.0 were us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difference analysis(t-test and ONE-way ANOVA), confirmation factor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forming art consumer behavior from a behavioral economics perspective factors of performing arts visitors were heuristics, sunk cost, mental accounting, veblen effect, herd mentality.
      Second, there was difference except some factors in performing art consumer behavior from a behavioral economics perspective, performing art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of performing arts visitors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 such as age, sex.
      Third, sunk cost had a negative effect on performing art satisfaction of performing arts visitors, veblen effect had a negative effect on performing art satisfaction of performing arts visitors, heuristics had a negative effect on revisit intention of performing arts visitors, performing art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revisit intention of performing arts visito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행동경제학적 관점에서 공연예술 소비행동을 탐색하여 공연예술 관람에 대한 합리적인 소비행동 및 공연 활성화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행동경제학적 관점에서의 공연예술 소비행동, 공연 만족도, 재 관람의도와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행동경제학적 관점에서 공연예술 소비행동의 영향력을 통해 문화 소비자 및 생산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 활성화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연구방법은 연구목적에 부합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과 양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통합적인 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연구 문제를 연구1, 연구2로 세분화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1은 행동경제학적 관점에서의 공연예술 소비행동을 탐색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진행하였으며, 연구2는 연구1에서 제작된 행동경제학적 관점에서의 공연 소비행동, 관람 만족도, 재 관람의도와의 관계를 자료처리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1은 공연예술 전문가 8명을 선정하여 심층면접을 진행하여 질적연구 방법으로 행동경제학적 관점에서의 공연예술 소비행동을 탐색하였다. 연구2는 20세 이상 공연예술 관람객 290명을 대상으로 편의표본 추출 방법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연구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행동경제학적 관점에서의 공연예술 소비행동을 탐색한 결과, 공연예술 관람객들은 휴리스틱, 매몰비용, 심리적회계, 베블렌효과, 군중심리와 같은 비합리적인 소비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나이에 따른 행동경제학적 관점에서의 공연예술 소비행동, 공연만족도, 재 관람의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휴리스틱의 경우, 40대, 50대는 효율적인 소비행동, 20대, 30대, 60대, 70대는 비합리적인 소비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몰비용의 경우, 20대와 같이 젊은 연령층에서 미래의 의사결정과 관계가 없는 매몰비용을 고려대상에 넣기 때문에 비합리적인 의사결정이 이뤄지는 것으로 이해된다. 심리적 회계의 경우, 20대, 30대, 50대는 돈의 가치 판단에 있어서 지출하는 성향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이해된다. 군중심리의 경우, 20대, 30대, 4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젊은 연령대일수록 의사결정이나 행동을 할 때 다른 사람들의 의사결정이나 행동을 따라 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성별에 따른 행동경제학적 관점에서의 공연예술 소비행동, 공연만족도, 재 관람의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매몰비용, 심리적회계, 재 관람의도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여자의 경우 공연예술 관람의 비율이 높아 재 관람의도에서 높게 나타난 것으로 이해되며, 향후 남자의 공연예술 관람을 높이기 위해 노력이 요구된다.
      셋째, 매몰비용은 공연만족도에 부적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합리적인 공연 소비행동을 위해서는 매몰비용은 고려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베블렌효과는 공연만족도에 부적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베블렌효과는 비합리적인 소비행동이며, 베블렌효과와 같은 과시형 소비유형은 공연만족도를 낮추는 한 요인이다. 휴리스틱은 재 관람의도에 부적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공연관람 선택 시 공연의 내용, 공연 기획의 의도, 출연진, 공연 일정, 공연 비용 등 공연 선택 시 다양한 사항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행동경제학적 관점에서 공연예술 소비행동을 탐색하여 공연예술 관람에 대한 합리적인 소비행동 및 공연 활성화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행동경제학적 관점에...

      본 연구의 목적은 행동경제학적 관점에서 공연예술 소비행동을 탐색하여 공연예술 관람에 대한 합리적인 소비행동 및 공연 활성화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행동경제학적 관점에서의 공연예술 소비행동, 공연 만족도, 재 관람의도와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행동경제학적 관점에서 공연예술 소비행동의 영향력을 통해 문화 소비자 및 생산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 활성화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연구방법은 연구목적에 부합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과 양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통합적인 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연구 문제를 연구1, 연구2로 세분화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1은 행동경제학적 관점에서의 공연예술 소비행동을 탐색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진행하였으며, 연구2는 연구1에서 제작된 행동경제학적 관점에서의 공연 소비행동, 관람 만족도, 재 관람의도와의 관계를 자료처리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1은 공연예술 전문가 8명을 선정하여 심층면접을 진행하여 질적연구 방법으로 행동경제학적 관점에서의 공연예술 소비행동을 탐색하였다. 연구2는 20세 이상 공연예술 관람객 290명을 대상으로 편의표본 추출 방법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연구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행동경제학적 관점에서의 공연예술 소비행동을 탐색한 결과, 공연예술 관람객들은 휴리스틱, 매몰비용, 심리적회계, 베블렌효과, 군중심리와 같은 비합리적인 소비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나이에 따른 행동경제학적 관점에서의 공연예술 소비행동, 공연만족도, 재 관람의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휴리스틱의 경우, 40대, 50대는 효율적인 소비행동, 20대, 30대, 60대, 70대는 비합리적인 소비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몰비용의 경우, 20대와 같이 젊은 연령층에서 미래의 의사결정과 관계가 없는 매몰비용을 고려대상에 넣기 때문에 비합리적인 의사결정이 이뤄지는 것으로 이해된다. 심리적 회계의 경우, 20대, 30대, 50대는 돈의 가치 판단에 있어서 지출하는 성향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이해된다. 군중심리의 경우, 20대, 30대, 4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젊은 연령대일수록 의사결정이나 행동을 할 때 다른 사람들의 의사결정이나 행동을 따라 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성별에 따른 행동경제학적 관점에서의 공연예술 소비행동, 공연만족도, 재 관람의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매몰비용, 심리적회계, 재 관람의도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여자의 경우 공연예술 관람의 비율이 높아 재 관람의도에서 높게 나타난 것으로 이해되며, 향후 남자의 공연예술 관람을 높이기 위해 노력이 요구된다.
      셋째, 매몰비용은 공연만족도에 부적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합리적인 공연 소비행동을 위해서는 매몰비용은 고려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베블렌효과는 공연만족도에 부적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베블렌효과는 비합리적인 소비행동이며, 베블렌효과와 같은 과시형 소비유형은 공연만족도를 낮추는 한 요인이다. 휴리스틱은 재 관람의도에 부적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공연관람 선택 시 공연의 내용, 공연 기획의 의도, 출연진, 공연 일정, 공연 비용 등 공연 선택 시 다양한 사항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지 ⅶ
      • 제1장 서론 1
      • 1. 연구 필요성 · 1
      • 2. 연구 목적 4
      • 3. 연구 문제, 연구 가설 및 연구 모형 4
      • 국문요지 ⅶ
      • 제1장 서론 1
      • 1. 연구 필요성 · 1
      • 2. 연구 목적 4
      • 3. 연구 문제, 연구 가설 및 연구 모형 4
      • 4. 용어 정의 11
      • 제2장 이론적 배경· 13
      • 1. 공연예술과 소비행동 · 13
      • 2. 행동경제학· 25
      • 3. 공연만족도· 35
      • 4. 재 관람의도 40
      • 제3장 연구방법 · 44
      • 1. 행동경제학적 관점에서의 공연예술 소비행동 탐색 45
      • 1) 연구대상 · 45
      • 2) 조사도구 · 46
      • 3) 연구절차 · 47
      • 4) 자료분석 · 48
      • 5) 연구의 진실성 및 윤리성 · 48
      • 6) 연구의 제한점 49
      • 2. 행동경제학적 관점에서의 공연예술 소비행동, 공연만족도,
      • 재 관람의도와의 관계분석 50
      • 1) 연구대상 및 표집방법 · 50
      • 2) 측정도구 · 50
      • 3)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 51
      • 4) 자료처리 · 56
      • 5) 연구의 제한점 57
      • 제4장 연구결과 · 58
      • 1. 행동경제학적 관점에서의 공연예술 소비행동 탐색 58
      • 1) 공연관람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휴리스틱· 58
      • 2) 관람객의 매몰비용에 영향을 주는 소비행동 59
      • 3) 공연관람 선택에서의 심리적회계 61
      • 4) 공연관람에서의 베블렌효과 61
      • 5) 공연관람 선택에서의 군중심리 62
      • 2. 행동경제학적 관점에서의 공연예술 소비행동, 공연만족도,
      • 재 관람의도와의 관계분석 · 66
      • 1) 개인특성변인의 빈도분석 및 정규성 검증· 66
      • 2) 개인특성변인에 따른 차이분석 68
      • 3) 관계 분석 74
      • 제5장 논의 80
      • 1. 행동경제학적 관점에서의 공연예술 소비행동 탐색· 80
      • 2. 개인특성변인에 따른 차이분석 · 82
      • 3. 관계분석 84
      • 제6장 결론 및 제언 86
      • 1. 결론86
      • 2. 제언· 88
      • 참고문헌 89
      • 설 문 지 97
      • ABSTRACT 1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