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문
- Ⅰ. 서론
- 1. 문제제기
- 2. 연구목적
- Ⅱ. 선행연구 검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911327
김희정 (인제대학교 통일학과)
2021
Korean
일제 ; 강제동원 ; 조선인 ; 진상규명 ; 구술채록 ; Japanese Imperialism ; Forced Mobilization ; Korean ; Fact Finding ; Oral Statement Recording
322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81-105(25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2019
2 김영수, "해외사례를 통해서 본 한국의 과거사정리" 한국제노사이드연구회 6 : 45-, 2009
3 이동주, "태평양전쟁기 조선인 해군 군속의운영과 처리" 동북아역사재단 (54) : 209-246, 2016
4 손경호, "태평양 전쟁 말기 한반도에 대한 미군과 일본군의 의도와 준비: 인식의 일치와 행동의 불일치" 한국미국사학회 30 : 117-146, 2009
5 정혜경, "징용 공출 강제연행 강제동원" 도서출판 선인 2013
6 최영호, "주요 선진국 피해자지원재단의활동과 시사점" 44 : 2019
7 와끼모토히사시, "조선인 강제연행과 나" 재단법인 고오베학생청년센타 출판부 1994
8 김미정, "전시체제기 조선총독부의 여성노동력 동원정책과 실태" 고려대학교대학원 2015
9 고태우, "전시 총동원체제기 ‘개발동맹’의 형성과 토건업계의 동향 - 경성(조선)토목건축업협회의 활동을 중심으로 -" 국학연구원 (192) : 105-144, 2020
10 정혜경, "일제말기 제주도 군사시설공사에 전환배치된조선인 광부의 경험 세계-한반도 내 강제동원 피해에 대한 인식과 배경을 중심으로-" 한일민족문제학회 (35) : 5-67, 2018
1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2019
2 김영수, "해외사례를 통해서 본 한국의 과거사정리" 한국제노사이드연구회 6 : 45-, 2009
3 이동주, "태평양전쟁기 조선인 해군 군속의운영과 처리" 동북아역사재단 (54) : 209-246, 2016
4 손경호, "태평양 전쟁 말기 한반도에 대한 미군과 일본군의 의도와 준비: 인식의 일치와 행동의 불일치" 한국미국사학회 30 : 117-146, 2009
5 정혜경, "징용 공출 강제연행 강제동원" 도서출판 선인 2013
6 최영호, "주요 선진국 피해자지원재단의활동과 시사점" 44 : 2019
7 와끼모토히사시, "조선인 강제연행과 나" 재단법인 고오베학생청년센타 출판부 1994
8 김미정, "전시체제기 조선총독부의 여성노동력 동원정책과 실태" 고려대학교대학원 2015
9 고태우, "전시 총동원체제기 ‘개발동맹’의 형성과 토건업계의 동향 - 경성(조선)토목건축업협회의 활동을 중심으로 -" 국학연구원 (192) : 105-144, 2020
10 정혜경, "일제말기 제주도 군사시설공사에 전환배치된조선인 광부의 경험 세계-한반도 내 강제동원 피해에 대한 인식과 배경을 중심으로-" 한일민족문제학회 (35) : 5-67, 2018
11 전성현, "일제말기 경남지역 근로보국대와 국내노무동원" 부산경남사학회 (95) : 169-206, 2015
12 이복주, "일제말기 강제동원의 유형과 실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3 김어진, "일제강제징용 피해자의 손해배상에 관한 민사법적 연구" 조선대학교대학원 2021
14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홈페이지"
15 노영종, "일제 말기 충남지역 노동력 강제동원과 거부투쟁"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9
16 강정숙, "일제 말기 조선인 군속 동원 - 오키나와로의 연행자를 중심으로" 수선사학회 (23) : 171-206, 2005
17 정구태, "일제 강점기 강제징용 피해자들의 손해배상청구와 소멸시효-대법원 2018.10.30. 선고 2013다61381 전원합의체 판결을 계기로-" 법학연구원 25 (25): 249-268, 2018
18 김수아,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담론 구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19 "서울신문 홈페이지"
20 이정은, "동아시아 아카이브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기록의 활용방안 연구" 2019
21 김광영, "국내 강제동원진상규명사업의 과제" 33-38, 2019
22 정혜경, "공문서의 미시적 구조인식에서 본 남양농업이민(1939~40)" 3 : 69-112, 2002
23 김종학, "강제동원 문제의 역사적 전개와 향후 전망" 외교안보연구소 2019
24 김광열, "被强制動員 韓人 생사불명자에 대한한일 양국의 전후처리" 한일관계사학회 (26) : 303-340, 2007
25 김윤미, "總動員體制와 勤勞報國隊를 통한 ‘國民皆勞’-조선에서 시행된 근로보국대의 초기 운용을 중심으로(1938~1941)-" 한일민족문제학회 (14) : 121-162, 2008
26 김윤미, "日帝의 ‘滿洲開拓’ 政策과 朝鮮人 動員" 한일민족문제학회 (17) : 5-50, 2009
27 정혜경, "國內 所藏 戰時體制期 朝鮮人 人的動員 關連 名簿資料의 實態 및 活用方案" 한일민족문제학회 (16) : 81-126, 2009
28 신주백, "1945년 한반도에서 일본군의 ‘본토결전’ 준비" 한국역사연구회 (49) : 181-210, 2003
29 김광열, "1945년 전반의 日本陸軍 農耕勤務隊 피동원 한인 ―나가노(長野)현 배치 부대를 중심으로―" 한일민족문제학회 (19) : 89-122, 2010
국내 동포 밀집거주지역의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정책 현황과 개선 방안
코로나·팬데믹과 재일외국인의 사회적 영 : 재일동포사회를 중심으로
코로나19 감염병 팬데믹으로 고려인 생태계에 나타난 양상에 관한 연구 - 연수구 함박마을을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 |
202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20-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3-0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재외한인학회 -> 재외한인연구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