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고제 심청가 범피중류 연구 = A study in <Beompijungryu> in Sim-cheong-ga of Junggoj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219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unggoje(singing style of pansori in Chungcheong and Gyeonggi-do) pansori has very unique style of melody with overall story structure and specific narratives compared to Dongpyeonje(singing style of pansori in eastern part of Jeolla-do) and Seopyeonje (singing style of pansori in western part of Jeolla-do) which has been demonstrated through precedent researches. In this paper, I studied how such unique characteristics of Junggoje are represented in <Beompijungryu(the part when Sim Cheong departs to become a sacrifice offering)>.
      As a result, <Beompijungryu> sung by Lee Dong-baek, Kim Chang-ryong, and Sim Sang-geon commonly included 'sounds of rowing a boat' which was not discovered in singers of other pansori sect. Moreover, Kim Chang-ryong and Sim Sang-geon described the scene that seamen took Sim Cheong on board and departs. This part was sung with creative impromptu like a narration and commonly seen in Junggoje.
      Each singers used diverse styles of mode, and Butsimsae(narration in rhythm) also had no difference with sectors.
      The melody form of Kim Chang-ryong and Sim Sang-geon were comparatively plain compare to the melody of other singers. Lee Dong-beak used similar melody form repeatedly at many times. Such characteristics of melody form in Junggoje pansori were also mentioned in my precedent study.
      We could see Kim Chang-ryong's impromptu tendency of melody in his <Beompijungryu>. He recorded this song on side A and B dividedly. There is a part that is recorded both on A and B but the melodies are different. Such impromptu melody tendency was also discovered in Sim Sang-geon's <Daejangbuhan> record which can be seen as a characteristic of Junggoje pansori.
      번역하기

      Junggoje(singing style of pansori in Chungcheong and Gyeonggi-do) pansori has very unique style of melody with overall story structure and specific narratives compared to Dongpyeonje(singing style of pansori in eastern part of Jeolla-do) and Seopyeonj...

      Junggoje(singing style of pansori in Chungcheong and Gyeonggi-do) pansori has very unique style of melody with overall story structure and specific narratives compared to Dongpyeonje(singing style of pansori in eastern part of Jeolla-do) and Seopyeonje (singing style of pansori in western part of Jeolla-do) which has been demonstrated through precedent researches. In this paper, I studied how such unique characteristics of Junggoje are represented in <Beompijungryu(the part when Sim Cheong departs to become a sacrifice offering)>.
      As a result, <Beompijungryu> sung by Lee Dong-baek, Kim Chang-ryong, and Sim Sang-geon commonly included 'sounds of rowing a boat' which was not discovered in singers of other pansori sect. Moreover, Kim Chang-ryong and Sim Sang-geon described the scene that seamen took Sim Cheong on board and departs. This part was sung with creative impromptu like a narration and commonly seen in Junggoje.
      Each singers used diverse styles of mode, and Butsimsae(narration in rhythm) also had no difference with sectors.
      The melody form of Kim Chang-ryong and Sim Sang-geon were comparatively plain compare to the melody of other singers. Lee Dong-beak used similar melody form repeatedly at many times. Such characteristics of melody form in Junggoje pansori were also mentioned in my precedent study.
      We could see Kim Chang-ryong's impromptu tendency of melody in his <Beompijungryu>. He recorded this song on side A and B dividedly. There is a part that is recorded both on A and B but the melodies are different. Such impromptu melody tendency was also discovered in Sim Sang-geon's <Daejangbuhan> record which can be seen as a characteristic of Junggoje pansori.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중고제 판소리는 동편제나 서편제와 비교할 때 전체 이야기 구성이나 구체적인 사설, 선율면에서 매우 독특한 형태를 띠고 있음이 그간 밝혀져 왔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독특한 중고제의 특성이 심청가 중 <범피중류> 대목에서는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첫째, 이동백․김창룡․심상건이 부른 중고제 <범피중류>는 송광록의 더늠인 <범피중류>를 수용하되, 도입부에 선인들이 배를 노저어 가면서 부르는 노젓는소리를 포함하고 있다. 이는 다른 유파에서는 전혀 발견되지 않는 중고제 판소리만의 독특한 특징이다. 김창룡과 심상건은 노젓는소리 앞부분에 선인들이 심청이를 배에 태우고 출항하는 내용이 길게 서술되는 점에서도 공통적인데, 이 부분을 두 창자 모두 창조 도섭으로 부르고 있다. 노젓는소리 부분은 김창룡의 음반에서 가장 길고, 이동백은 매우 소략하다. 그러나 이동백의 음반은 심청가 창극 전집 음반으로 소리가 축약되었을 가능성이 있고, 세 창자의 노젓는소리는 선율이 유사하게 진행된다. 이에 세 창자의 노젓는소리는 서로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중고제 판소리 <범피중류>에 이 대목이 공통적으로 존재하였다고 하겠다.
      둘째, 이동백은 주로 글자 한 글자에 한 음씩을 대입 시키면서 선율이 복잡하지 않고 간결하며, 유사한 선율 형태를 반복적으로 사용한다. 김창룡과 심상건은 동․서편제 창자 및 이동백과 비교하여 선율이 비교적 평탄하고, 김창룡은 한 장단에 두 세 글자만 두어 한 음을 길게 쭉 뻗어 내는 선율 형태를 많이 사용한다. 또한 김창룡은 즉흥적인 선율 구사 경향을 보여주는데, 이러한 즉흥적인 선율 구사 경향은 심상건의 다른 소리에서도 발견된 바, 중고제 창자들의 소리 경향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악조는 각 창자마다 우조나 계면조의 사용이 다양하고, 유파에 따른 공통점이나 특성은 찾기 어렵다. 붙임새는 김창룡의 경우 확대형태를 많이 사용하고, 김소희는 엇붙임을 유일하게 사용하는 점에서 독특하지만, 역시 유파에 따른 차이는 발견되지 않는다.
      정리하자면, 중고제 판소리 심청가 <범피중류>에서 유파적 특성은 악조나 붙임새에서는 발견되지 않고 사설과 선율에서 주로 발견되며, 송광록의 더늠 <범피중류>를 수용하였으되, 동․서편제와는 또 다른 소리 계보로 서로 관련되어 발전하였다고 하겠다.
      번역하기

      중고제 판소리는 동편제나 서편제와 비교할 때 전체 이야기 구성이나 구체적인 사설, 선율면에서 매우 독특한 형태를 띠고 있음이 그간 밝혀져 왔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독특한 중고제의...

      중고제 판소리는 동편제나 서편제와 비교할 때 전체 이야기 구성이나 구체적인 사설, 선율면에서 매우 독특한 형태를 띠고 있음이 그간 밝혀져 왔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독특한 중고제의 특성이 심청가 중 <범피중류> 대목에서는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첫째, 이동백․김창룡․심상건이 부른 중고제 <범피중류>는 송광록의 더늠인 <범피중류>를 수용하되, 도입부에 선인들이 배를 노저어 가면서 부르는 노젓는소리를 포함하고 있다. 이는 다른 유파에서는 전혀 발견되지 않는 중고제 판소리만의 독특한 특징이다. 김창룡과 심상건은 노젓는소리 앞부분에 선인들이 심청이를 배에 태우고 출항하는 내용이 길게 서술되는 점에서도 공통적인데, 이 부분을 두 창자 모두 창조 도섭으로 부르고 있다. 노젓는소리 부분은 김창룡의 음반에서 가장 길고, 이동백은 매우 소략하다. 그러나 이동백의 음반은 심청가 창극 전집 음반으로 소리가 축약되었을 가능성이 있고, 세 창자의 노젓는소리는 선율이 유사하게 진행된다. 이에 세 창자의 노젓는소리는 서로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중고제 판소리 <범피중류>에 이 대목이 공통적으로 존재하였다고 하겠다.
      둘째, 이동백은 주로 글자 한 글자에 한 음씩을 대입 시키면서 선율이 복잡하지 않고 간결하며, 유사한 선율 형태를 반복적으로 사용한다. 김창룡과 심상건은 동․서편제 창자 및 이동백과 비교하여 선율이 비교적 평탄하고, 김창룡은 한 장단에 두 세 글자만 두어 한 음을 길게 쭉 뻗어 내는 선율 형태를 많이 사용한다. 또한 김창룡은 즉흥적인 선율 구사 경향을 보여주는데, 이러한 즉흥적인 선율 구사 경향은 심상건의 다른 소리에서도 발견된 바, 중고제 창자들의 소리 경향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악조는 각 창자마다 우조나 계면조의 사용이 다양하고, 유파에 따른 공통점이나 특성은 찾기 어렵다. 붙임새는 김창룡의 경우 확대형태를 많이 사용하고, 김소희는 엇붙임을 유일하게 사용하는 점에서 독특하지만, 역시 유파에 따른 차이는 발견되지 않는다.
      정리하자면, 중고제 판소리 심청가 <범피중류>에서 유파적 특성은 악조나 붙임새에서는 발견되지 않고 사설과 선율에서 주로 발견되며, 송광록의 더늠 <범피중류>를 수용하였으되, 동․서편제와는 또 다른 소리 계보로 서로 관련되어 발전하였다고 하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진영, 도서출판 박이정 1997

      2 김진영, 도서출판 박이정 1997

      3 "「폴리돌 심청전」 서울: 신나라뮤직"

      4 "「판소리명창 이선유」 한국의위대한판소리명창들(5), 서울: 신나라"

      5 "「판소리명창 김창룡, 그 손녀 김차돈」 콜럼비아유성기원반(2), 서울: LG미디어"

      6 "「박록주 판소리」 콜럼비아유성기원반(8), 서울: LG미디어"

      7 "「동편제 판소리」 명인명창선집(6), 서울: 서울음반"

      8 "「김소희 판소리 일생」 서울: 지구레코드"

      9 "「가야금산조와 병창 심상건」 콜럼비아유성기원반(5), 서울: LG미디어"

      10 裵淵亨, "李東伯 춘향가 연구" 판소리학회 15 : 59-115, 2003

      1 김진영, 도서출판 박이정 1997

      2 김진영, 도서출판 박이정 1997

      3 "「폴리돌 심청전」 서울: 신나라뮤직"

      4 "「판소리명창 이선유」 한국의위대한판소리명창들(5), 서울: 신나라"

      5 "「판소리명창 김창룡, 그 손녀 김차돈」 콜럼비아유성기원반(2), 서울: LG미디어"

      6 "「박록주 판소리」 콜럼비아유성기원반(8), 서울: LG미디어"

      7 "「동편제 판소리」 명인명창선집(6), 서울: 서울음반"

      8 "「김소희 판소리 일생」 서울: 지구레코드"

      9 "「가야금산조와 병창 심상건」 콜럼비아유성기원반(5), 서울: LG미디어"

      10 裵淵亨, "李東伯 춘향가 연구" 판소리학회 15 : 59-115, 2003

      11 정병욱, "한국의 판소리" 집문당 1981

      12 서종문, "판소리 중고제의 역사적 이해" 경북대 국어교육연구회 24 : 33-63, 1992

      13 배연형, "판소리 중고제론" 판소리학회 5 : 149-195, 1994

      14 신은주, "판소리 중고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15 신은주, "판소리 중고제 심정순 바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16 신은주, "판소리 중고제 고제론" 한국고음반연구회 12 : 145-169, 2002

      17 노재명, "판소리 음반 걸작선" 삼호출판사 1997

      18 신은주, "판소리 선율의 생성구조와 즉흥성" 국립남도국악원 211-234, 2008

      19 노재명, "판소리 명창 이동백 단가 연구" 한국고음반연구회 (8) : 85-177, 1998

      20 신은주, "충청지역 판소리 문화의 역사와 전승양상" 한국음악사학회 (40) : 367-410, 2008

      21 신은주, "충청제 판소리 심화영 창 춘향가 연구 -“초입~백백홍홍” 대목을 중심으로" 한국국악학회 37 : 155-182, 2005

      22 김성경, "중고제 명창 김창룡의 판소리 음악어법" 중앙대학교 대학원 1997

      23 정노식, "조선창극사" 조선일보사 1940

      24 정광수, "전통문화 오가사전집" 문원사 1986

      25 김성경, "이동백 판소리 음악어법 연구" (8) : 209-254, 1998

      26 명현, "음반에 담긴 중고제 판소리 명창들의 음악어법, in 유성기음반으로 보는 경기충청의 소리" 국립민속국악원 45-88, 2006

      27 배연형, "유성기음반 판소리 사설(1) 김창룡 편" 판소리학회 5 : 391-418, 1994

      28 신은주, "심화영의 삶과 소리" 국립국악원 188 : 73-111, 2008

      29 이향희, "심청가 중 범피중류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2

      30 송혜진, "심정순 창 심청가의 장단구성 특징" 정신문화연구원 299-320, 1988

      31 "심정순 <천자뒤풀이> 연구" 국립민속국악원 257-285, 2005

      32 신은주, "심상건 가야금병창 긴사랑가에 나타난 즉흥성과 선율 구사 원리" 판소리학회 (31) : 267-324, 2011

      33 신은주, "김창룡 명창론" 판소리학회 15 : 189-235, 2003

      34 "Victor 49088-B 소상팔경(배연형 자료 제공)"

      35 김석배, "<조선창극사> 소재 심청가 더늠의 문제점" 문학과언어학회 18 : 65-86, 1997

      36 유영대, "<심청가>의 형성과 전승계보, in 판소리 동편제 연구" 태학사 121-162, 1998

      37 김석배, "<심청가> 더늠의 통시적 연구" 판소리학회 9 : 195-27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1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Pansori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7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71 1.536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