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형 통합위기관리체제 도입의 필요성과 대안 모색 = Establishing National Integrated Crisis Management System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211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ver since the event of the 9.11 attacks and its recovery,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started to focus on the national crisis management system via multidimensional approach. Moreover, the common demonstrator of such approach is selected by the n...

      Ever since the event of the 9.11 attacks and its recovery,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started to focus on the national crisis management system via multidimensional approach. Moreover, the common demonstrator of such approach is selected by the nations as response paradigm, which strongly indicates the successful national integrated crisis management system. The main them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the national integrated crisis management system towards the enforcement of the national security in Korea. After the 21st century, the Republic of Korea has adopted the concept of comprehensive national security in order to expand the national security concept. Although such adaptation might have intended to create the basic manuals of the crisis management in order to build the comprehensive national security system, and to protect civilians’ welfares and wealth. Four key topic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one of the possible reason of national integrated crisis management not being pursued is due to the administration’s lack of understandings. In the early 2000s, the administration has announced the official guidance of national crisis management while publishing the manuals without any reasonable analysis of the core concepts. The nationally scattered crisis system focusing only on improving the administrative system has been harshly criticized when such complex crisis situations were raised. The second research topic is to seek the measures towards improvement of the scattered crisis system so that the national crisis management could be integrated. After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uch systems between nations to nations, the analysis suggests thatthe integrated crisis management system is the most suitable system for security management of Korea as well as the US government. The third research topic is about setting system structure, which could fit South Korean security environments if the national integrated crisis management system is to be established. The fourth topic is to the realistic measures to establish the national crisis management system. In order to establish its measures, all the element of the system will be organized in the bottom echelon while in a much more constructive manner. The required bottom echelon will be composed of the following seven systems: the theoretic system; the legal system; the organization system; the management system; the information system; the resource management system; and the education syst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가위기체제가 추구하는 목표는 국민과 영토, 주권을 방위하는 전통적· 군사적 위협에 대응하는 전통적 안보개념을 넘어서서, 경제적 이해관계 의 상충, 환경·인종·종교·이념적 갈등을 �...

      국가위기체제가 추구하는 목표는 국민과 영토, 주권을 방위하는 전통적· 군사적 위협에 대응하는 전통적 안보개념을 넘어서서, 경제적 이해관계 의 상충, 환경·인종·종교·이념적 갈등을 포괄하는 테러 등 다차원적 전 쟁 이전의 비상사태에 대비하는 복합적 요인에 의한 전쟁 이전의 비상 사태에까지 그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새로운 안보환경에 따른 국가안보의 개념 변화와 미국의 9.11 테러 이 후의 신안보 전장의 전개와 더불어 특히 남북 분단 상황하에 있는 우리 나라의 경우 급변하는 국제간 세계정세와 국내의 잦은 재난에 대한 위 기의식에서 국가 통합위기관리 체제의 필요성과 그 대응방안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미국과 일본의 사례에 대한 비교 고찰을 통해 바람직한 한국 형 국가위기관리체제의 구축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 며, 통합형 국가위기관리체제를 이상적 모델로 하여 구체적인 구축방안 을 추구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지범, "행정학적 패러다임에 입각한 국가위기관리의 진화 - 영국, 미국, 한국의 비교 연구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6 (6): 239-254, 2010

      2 이채언, "한국의 국가위기관리 조직체계에 관한 연구"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8 (8): 1-28, 2012

      3 남주홍, "한국위기관리체제 발전방향" 30 : 2003

      4 김진항, "포괄안보시대의 한국국가위기관리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1

      5 국가안전보장회의 사무처, "평화번영과 국가안보"

      6 백진숙, "위기관리 연구의 흐름과 동향: 최근 10년간의 국내 학위논문 분석"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6 (6): 17-28, 2010

      7 박광석, "우리나라의 위기관리체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2000

      8 국가비상기획위원회, "비상기획위원회 연혁집" 비상기획위원회 1990

      9 이재은, "국가위기관리의 학술적 발전 방안에 관한 비교 연구: 미국, 일본, 독일을 중심으로"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 (2): 54-79, 2006

      10 이재은, "국가위기관리의 학문적 체계화의 의의와 필요성"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 (1): 20-32, 2005

      1 정지범, "행정학적 패러다임에 입각한 국가위기관리의 진화 - 영국, 미국, 한국의 비교 연구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6 (6): 239-254, 2010

      2 이채언, "한국의 국가위기관리 조직체계에 관한 연구"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8 (8): 1-28, 2012

      3 남주홍, "한국위기관리체제 발전방향" 30 : 2003

      4 김진항, "포괄안보시대의 한국국가위기관리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1

      5 국가안전보장회의 사무처, "평화번영과 국가안보"

      6 백진숙, "위기관리 연구의 흐름과 동향: 최근 10년간의 국내 학위논문 분석"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6 (6): 17-28, 2010

      7 박광석, "우리나라의 위기관리체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2000

      8 국가비상기획위원회, "비상기획위원회 연혁집" 비상기획위원회 1990

      9 이재은, "국가위기관리의 학술적 발전 방안에 관한 비교 연구: 미국, 일본, 독일을 중심으로"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 (2): 54-79, 2006

      10 이재은, "국가위기관리의 학문적 체계화의 의의와 필요성"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 (1): 20-32, 2005

      11 정찬권, "국가위기관리 조직체계 정비방안" 2012

      12 이홍기, "국가 통합위기관리체제 구축 방안" 대진대학교 대학원 2014

      13 김열수, "국가 위기관리관련 법령정비방안" 2012

      14 정지범, "국가 위기관리 입법론 연구: 입법의 기초와 비교법적 접근" 법문사 2009

      15 Quarantelli, F. L., "What is Disaster?: Perspective on the Question" Rout Ledge 1998

      16 Mclelland, Charles. A., "Quantitative International Politics" Free Press 1968

      17 Buzan, Barry, "New Patterns of Global Security in the Twenty-first Century" 67 : 1991

      18 권혁빈, "NSC(국가안전보장회의) 체제의 한미일 비교" 한국경호경비학회 (37) : 29-50, 2013

      19 Herman, Charles. F., "Crisis in Foreign Policy: A Simulation Analysis" Bobbs-Meril 1969

      20 Snyder, Glenn H., "Conflict among Nations: Bargaining, Decision Making and System Structure in International Crisi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국제문제연구 -> 국가안보와 전략
      외국어명 : The Studies of International Affairs -> National Security and Strategy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of International Affair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3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7 0.57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