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ernels in the Selberg trace formula on the k-regular tree and zeros of the Ihara zeta fun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770840

      • 저자
      • 발행사항

        [S.l.]: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2005

      • 학위수여대학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 수여연도

        2005

      • 작성언어

        영어

      • 주제어
      • 학위

        Ph.D.

      • 페이지수

        110 p.

      • 지도교수/심사위원

        Chair: Audrey Terras.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소속기관이 구독 중이 아닌 경우 오후 4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 원문보기가 가능합니다.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are various kernels that we can associate to the k-regular tree, Tk . Here we will take a few of those kernels and insert them into the Selberg trace formula on Tk . Amongst the results, we find a simple proof for the Graph Prime Number The...

      There are various kernels that we can associate to the k-regular tree, Tk . Here we will take a few of those kernels and insert them into the Selberg trace formula on Tk . Amongst the results, we find a simple proof for the Graph Prime Number Theorem and a proof of McKay's Theorem regarding the distribution of the adjacency matrix eigenvalues for a sequence of regular graphs of fixed degree whose number of vertices go to infinity. Using a simple change of variables, we are able to find the limiting distribution of the t-values of the Ihara zeta function for a (q + 1)-regular graph. We then provide evidence that, when our graphs are random, the level spacings of the t-values have the same distribution as the Gaussian Orthogonal Ensemble. And even when the graph is not random, the level spacings of the t-values are the same as the level spacings of the eigenvalues of the associated adjacency matrix.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