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어말자음군은 어말이나 자음 앞에서 두 자음이 모두 실현될 수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종성에 하나의 자음만 실현되는 음절구조제약에 따른 것으로 이를 자음군단순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609237
최은영 (충남대학교)
2013
-
어말자음군 ; 자음군단순화 ; 재구조화 ; 연음 ; 음절 ; 방언 ; Word final consonant cluster ;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 Connected speech ; Restructuring ; Syllable ; Dialect
810.5
KCI등재
학술저널
109-138(3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어의 어말자음군은 어말이나 자음 앞에서 두 자음이 모두 실현될 수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종성에 하나의 자음만 실현되는 음절구조제약에 따른 것으로 이를 자음군단순화...
한국어의 어말자음군은 어말이나 자음 앞에서 두 자음이 모두 실현될 수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종성에 하나의 자음만 실현되는 음절구조제약에 따른 것으로 이를 자음군단순화라 한다. 이러한 자음군단순화의 실현 양상을 체계적이고 간결하게 규칙화하는 것은 어렵다. 그러므로 본고는 자음군단순화의 규칙을 찾기에 앞서 방언에서 실현되는 자음군단순화의 현상의 특징을 먼저 검토하고자 한다. 한국어의 어말자음군은 크게 ㄹ이 선행하는 자음군과 ㄹ이 아닌 다른 자음이 선행하는 자음군으로 나눌 수 있다. 본고는 ㄹ외의 자음이 선행하는 비ㄹ계 자음군을 자료로 하여 방언에서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방언의 자료는 제주도를 제외한 8개 지역을 대상으로 하되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의『한국방언자료집Ⅰ~Ⅷ』(1987~1995)에 준하여 논의하였다. 본고는 비ㄹ계자음군단순화와 관련하여 자음군의 방언별 실현 양상을 검토하고 그에 관련하여 특이하게 실현되는 양상을 검토하였다. 방언에서는 기존의 연구와는 다르게 실현되는 양상들이 있다. 크게 후행음절과 관련된 것과 자음군단순화가 두 자음이 아닌 제3의 자음으로 실현되는 경우가 있었다. 후행음절과 관련된 것으로는 두 가지 특이한 실현 양상을 검토하였다. 첫째, ‘ㄳ, ㅄ’ 자음군은 자음이 후행하든 모음이 후행하든지 간에 경음으로 실현되어야 한다. 그러나 경음이 아닌 평음으로 실현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둘째, ‘ㄶ’ 자음군은 자음이 후행하면 격음으로 실현된다. 그러나 평음으로 실현되는 양상이 있었다. 그리고 어말자음군 다음에 후행하는 음절의 자질을 검토하여 어떠한 양상을 포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모음이 후행하는 경우 연음이 되어 자음군이 모두 실현되어야 하지만 하나의 자음이 탈락하여 재구조화가 실현되기도 한다. 이러한 재구조화가 방언별로 어느 정도 실현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이와 같이 자음군단순화와 관련된 몇 가지의 문제점들을 통하여 자음군단순화의 실현에 대한 특질을 규명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orean word final consonant cluster has the feature that both of the two consonants in the coda, Korean word final consonant clusters, shouldn't be pronounced in front of the coda or the consonants in in the initial position. This is why a restric...
The Korean word final consonant cluster has the feature that both of the two consonants in the coda, Korean word final consonant clusters, shouldn't be pronounced in front of the coda or the consonants in in the initial position. This is why a restriction of only one consonant in the word final consonant cluster having sound by the syllable structure constraints. This rule is called the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It is very hard to make the aspect of the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a rule systematically and simply. Therefore I intend to examine the aspects of the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which can be seen in dialects in this paper before I try to find the rule for the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The Korean Word final consonant cluster is largely divided into the two groups. One is the consonant cluster starting with ‘ㄹ’. The other is the consonant cluster not starting with ‘ㄹ’. I have examined how the aspects of Korean Word final consonant clusters, especially not starting with ‘ㄹ’ in the word final consonant clusters, appear in dialects, Most of the date dealt with in this paper are from『The Collection of Korean Dialects』(1987~1995), b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which are collections of dialect data from 9 districts, namely the whole country. But the date of Je-ju were not studied in this paper. I have found two aspects in those dialects, which the former studies had passed by. One is related with the following syllable, and the other is the case which the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appears not with one of the final consonants but with a third consonant. Especially, I've examined the two extraordinary aspects related with the following syllable. First, the consonant cluster ‘ㄳ, ㅄ’ should be sounded into a tense sounds whether they are in front of the consonants or the vowels. But I have found the extraordinary aspects that they are sounded into lax consonants not tense sounds. Second, the consonant cluster ‘ㄶ’ should be sounded into aspirated sounds in front of the consonants. But I have also found the extraordinary aspects that they are sounded with lax consonants. Through Examining the features of the syllables behind the Word final consonant cluster, I have able to catch how the Word final consonant cluster are sounded. Finally, in front of the vowels, the latter one in the Word final consonant cluster should be linked, and then both in the Word final consonant cluster should be pronounced. But I have also found the extraordinary aspect that one of the consonant in the word final consonants is dropped out by the reconstruction. So I have tried to examine how the reconstruction appears in each district except Je-ju. I hope that my research help look into the features of the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minutel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차균, "현대 국어에서 자질의 강도와 축약" 한말연구학회 17 : 56-70, 2003
2 이문규, "현대 국어 음운론" 한국문화사 100-, 2005
3 이혜숙, "한국어의 겹받침" 한국언어학회 5 (5): 11-12, 1980
4 이상규, "한국어 방언학" 학연사 21-, 2007
5 "한국방언자료집 Ⅰ~Ⅷ" 정신문화연구원 1987
6 "표준어 규정 해설"
7 성석제, "충북과 경북 지역간의 방언 경계에 대하여 : 몇몇 음운현상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8 민현식, "중세국어의 자음교체에 의한 어사분화에 대하여" 한국어교육학회 51 : 324-325, 1985
1 김차균, "현대 국어에서 자질의 강도와 축약" 한말연구학회 17 : 56-70, 2003
2 이문규, "현대 국어 음운론" 한국문화사 100-, 2005
3 이혜숙, "한국어의 겹받침" 한국언어학회 5 (5): 11-12, 1980
4 이상규, "한국어 방언학" 학연사 21-, 2007
5 "한국방언자료집 Ⅰ~Ⅷ" 정신문화연구원 1987
6 "표준어 규정 해설"
7 성석제, "충북과 경북 지역간의 방언 경계에 대하여 : 몇몇 음운현상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8 민현식, "중세국어의 자음교체에 의한 어사분화에 대하여" 한국어교육학회 51 : 324-325, 1985
9 최은영, "자음군단순화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1
10 배주채, "음절말자음과 어간말자음의 음운론" 서울大學校 大學院 1989
11 김정대, "음운면에서 본 경남 방언의 구획" 경남대학 인문과학연구소 13 : 102-103, 2000
12 金正泰, "음운규칙의 공존서에 대한 연구" 忠南大學校 大學院 1987
13 "우리말 큰사전④ 옛말과 이두" 한글학회, 어문각 1991
14 김차균, "어말 자음군 단순화 원칙에 대한 연구" 한남대학교 한남어문학회 13 : 362-635, 1987
15 서재극, "어두 p, m의 교체와 어사분화" 국어국문학회 27 : 173-178, 1964
16 성낙수, "불규칙 용언의 학교 문법, ‘한글 맞춤법’에 수용된 양상과 기본형태 분석" 청람어문교육학회 (38) : 367-399, 2008
17 홍윤표, "근대국어의 어간말 자음군 표기에 대하여" 국어학회 16 : 117-, 1987
18 정철주, "근대국어 어간말 자음군의 연구- CV 음운론적 접근으로-" 한국어문연구학회 5 : 35-, 1991
19 조경하, "국어의 후두 자질과 음운 현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20 허남렬, "국어의 어간말 자음군에 대한 연구" 경남대학교 1991
21 김진우, "국어 음운의 두저류" 5-6, 2010
22 김진우, "국어 음운론에 있어서의 공모성" 어문연구학회 7 : 88-90, 1971
23 정영호, "국어 용언어간의 기저형 ‘X(C)ㅎ-/X(C)ㆆ-’" 국어국문학회 (151) : 91-116, 2009
24 임보선, "국어 어간말 자음군에 대한 통시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5
25 이진호, "국어 어간말 자음군과 관련 현상에 대한 통시음운론"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26 남광우, "고어사전" 교학사 1997
27 윤지희, "경상북도 영덕 방언의 특징"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 12 : 366-383, 2000
28 유창균, "경상도 방언의 원류와 그성격" 계명대학교한국학연구소 16 : 135-, 1989
29 최명옥, "경상남북도간의 방언 분화 연구" 애산학회 13 : 57-58, 1992
30 정수희, "개화기 국어의 표기와 음운체계 : 신소설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31 김현진, "《구급방언해》의 표기법과 음운현상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2 정석호, "[단행본] 경북동남부 방언사전 : 영천·경주·포항을 중심으로" 글누림 2007
『韓國漢字語辭典』에 수록된 한국고유한자의 주석 내용에 대한 오류 검토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6-06-3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EOMUNYEONGU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5 | 0.35 | 0.3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43 | 0.724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