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노인들이 구성하는 학습의 의미에 관한 문화 기술적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456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tarted as an effort to illuminate the context and the meaning of senior citizens' learning, which was focused on the various programs adopted by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for the elderly in the northern Seoul area. By an ethnographic study method, I tried to explore how the elderly are being categorized, and what kind of meanings influence them in the process of learning.
      I divided the daily life of senior citizens' learning into four categories. First of all, I found that the elderly enjoyed the pleasure of learning by taking part in the various programs. And the aged people interpreted their leisure anew. They experienced perspective transformation by being involved in leisure programs. Also, the aged people form a network by being involved in the same age group, which in turn forms the mechanism for a social support relationship. Finally, They tried to gain authority over the community and other generations.
      I concluded that the senior citizens improve their daily life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by getting involved in learning activities. As a result, there have to be a variety of high-quality support systems for the learning of the elderly. Because this in turn changed their ways of life in the process of upgrading the quality of life.
      번역하기

      This study started as an effort to illuminate the context and the meaning of senior citizens' learning, which was focused on the various programs adopted by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for the elderly in the northern Seoul area. By an ethnographic...

      This study started as an effort to illuminate the context and the meaning of senior citizens' learning, which was focused on the various programs adopted by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for the elderly in the northern Seoul area. By an ethnographic study method, I tried to explore how the elderly are being categorized, and what kind of meanings influence them in the process of learning.
      I divided the daily life of senior citizens' learning into four categories. First of all, I found that the elderly enjoyed the pleasure of learning by taking part in the various programs. And the aged people interpreted their leisure anew. They experienced perspective transformation by being involved in leisure programs. Also, the aged people form a network by being involved in the same age group, which in turn forms the mechanism for a social support relationship. Finally, They tried to gain authority over the community and other generations.
      I concluded that the senior citizens improve their daily life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by getting involved in learning activities. As a result, there have to be a variety of high-quality support systems for the learning of the elderly. Because this in turn changed their ways of life in the process of upgrading the quality of lif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문화 기술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노인대학생들이 학습 일상 속에서 보여주는 학습의 의미를 살피는 것이다. 이를 위해 노인들을 크게 ‘적극적 참여형’과 ‘제한적 참여형’으로 유형화하였다. 이들은 학습 일상 속에서 다음과 같은 의미체계를 만들어갔다. 첫째, 그들은 다양한 학습 프로그램에 참가함으로써 학습하는 즐거움을 느꼈다. 이로 인해 노인들은 ‘학습인’으로 변화하였다. 둘째, 노인들은 다양한 여가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여가의 소비자에서 ‘여가의 생산자’로 거듭 나게 되었다. 셋째, 노인들은 동료 노인과 강사, 행정진, 지역사회와의 관계망 속에서 ‘사회적 지지기제’를 만들어 갔다. 넷째, 그들은 여러 봉사활동 및 세대공동체교육을 통하여 ‘존경받는 어르신’으로서의 역할을 체득하였다. 결국, 학습은 인생의 겨울을 맞이하고 있는 노인들에게도 커다란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노인들은 지혜로운 학습활동을 통해서 삶의 여유로움을 만끽하고 삶의 질을 올리기도 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문화 기술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노인대학생들이 학습 일상 속에서 보여주는 학습의 의미를 살피는 것이다. 이를 위해 노인들을 크게 ‘적극적 참여형’과 ‘제한적 참여...

      이 연구의 목적은 문화 기술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노인대학생들이 학습 일상 속에서 보여주는 학습의 의미를 살피는 것이다. 이를 위해 노인들을 크게 ‘적극적 참여형’과 ‘제한적 참여형’으로 유형화하였다. 이들은 학습 일상 속에서 다음과 같은 의미체계를 만들어갔다. 첫째, 그들은 다양한 학습 프로그램에 참가함으로써 학습하는 즐거움을 느꼈다. 이로 인해 노인들은 ‘학습인’으로 변화하였다. 둘째, 노인들은 다양한 여가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여가의 소비자에서 ‘여가의 생산자’로 거듭 나게 되었다. 셋째, 노인들은 동료 노인과 강사, 행정진, 지역사회와의 관계망 속에서 ‘사회적 지지기제’를 만들어 갔다. 넷째, 그들은 여러 봉사활동 및 세대공동체교육을 통하여 ‘존경받는 어르신’으로서의 역할을 체득하였다. 결국, 학습은 인생의 겨울을 맞이하고 있는 노인들에게도 커다란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노인들은 지혜로운 학습활동을 통해서 삶의 여유로움을 만끽하고 삶의 질을 올리기도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갤럽연구소 한국노인의 생활과 의식구조 제2차 국제비교 한국갤럽조사연구소" 1990

      2 "평생교육백서" 교육부 2003

      3 김길자, "평생교육관점에서의 노인교육 프로그램개발연구" 2004

      4 "퇴직교원의 노후준비를 위한 프로그램개발연구" 1999

      5 "태극대학교 대원원의 학문적 수월성 유지기제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1997

      6 "질적 연구: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2002

      7 "인식전환 학습이론에 근거한 은빛노인대학의 사례연구" 1998

      8 "서울지역노인의 여가의식에 관한 연구" 22 : 35-54, 2003

      9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인 여가의 역할에 관한 연구" 24 (24): 53-70, 2004a

      10 "문화탐구를 위한 참여관찰방법" 19801988

      1 "한국갤럽연구소 한국노인의 생활과 의식구조 제2차 국제비교 한국갤럽조사연구소" 1990

      2 "평생교육백서" 교육부 2003

      3 김길자, "평생교육관점에서의 노인교육 프로그램개발연구" 2004

      4 "퇴직교원의 노후준비를 위한 프로그램개발연구" 1999

      5 "태극대학교 대원원의 학문적 수월성 유지기제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1997

      6 "질적 연구: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2002

      7 "인식전환 학습이론에 근거한 은빛노인대학의 사례연구" 1998

      8 "서울지역노인의 여가의식에 관한 연구" 22 : 35-54, 2003

      9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인 여가의 역할에 관한 연구" 24 (24): 53-70, 2004a

      10 "문화탐구를 위한 참여관찰방법" 19801988

      11 "대학중심의 노인교육에 관한 연구" 2003

      12 "노인학교의 현황 및 발전 방안" 1 : 107-125, 1998

      13 "노인학교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여가활동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2002

      14 "노인의 학습요구분석에 관한 연구" 17 : 52-69, 2002

      15 "노인의 여가" 2005

      16 "노인복지관 사회교육 프로그램 참여 노인들의 교육욕구와 사회참여욕구" 2004

      17 "노인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21 (21): 85-98, 2002

      18 "노인교육 과정에 관한 참여관찰 및 포커스인터뷰" 23 : 107-126, 2004

      19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교육과학사 1999

      20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교육과학사 1997

      21 "http://www.senior21.or.kr/seoul"

      22 "What is ethnography? Texas working papers in Sociolinguistics" 1978

      23 "Vitality in later life" 1992

      24 "The psychological benefits leisure activities for the elderly A manual and final report of an investigation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Development of Psychology" 1983

      25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s" Jossey-Bass Publishers 1998

      26 "Homo ludens- A study of play element in culture:호모루덴스" The Beacon Press 1999

      27 "Entwicklung im erwachsenenalter aus der sicht junger mittelalter und alter erwachsener Zeitschrift fuer entwicklungspsychologie und pedagogiche psychologie" 1-21, 1990

      28 "An introduction to the social scienc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2-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Anthropology of Education -> The Journal of Anthropology of Educ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5 1.45 1.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5 1.903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