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노인 당뇨병 환자의 치료지시 이행과 당화혈색소와의 관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1127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 치료지시 이행 정도가 당화혈색소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2012년 8월 8일부터 8월 20일까지 실시하였으며, 대구광역시의 내분비내과의원의 외래환자 중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144부를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for window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당화혈색소의 차이를 살펴보면, 직업유무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다른 변수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료지시 이행 정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성별, 연령, 1년 내 병원을 옮긴 유무 변인을 제외한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당뇨병 치료지시 이행 정도가 당화혈색소와의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다.
      자가혈당과 당화혈색소의 상관관계수 값은 -.173으로 약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는 유의수준 p<.05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노인의 자가혈당 이행 정도가 높을수록 당화혈색소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치료지시 이행 정도 중 약물요법과 자가혈당이 당화혈색소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라면 누구나 약물복용과 자가혈당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쉽지가 않다. 이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이고, 이와 더불어 약물에 의존하지 않고, 식사조절이나 식이요법에 따른 당화혈색소 수치의 변화를 줄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후속적 연구에서는 당화혈색소에 치료지시 이행 정도와 함께 다른 변인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노인의 우울이나 생활 만족도 또한 당뇨병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이번 연구는 조사대상을 대구로 한정 하였으므로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 치료지시 이행 정도가 당화혈색소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2012년 8월 8일부터 8월 20일까지 실시하였으며, 대구광역시의 내분비...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 치료지시 이행 정도가 당화혈색소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2012년 8월 8일부터 8월 20일까지 실시하였으며, 대구광역시의 내분비내과의원의 외래환자 중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144부를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for window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당화혈색소의 차이를 살펴보면, 직업유무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다른 변수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료지시 이행 정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성별, 연령, 1년 내 병원을 옮긴 유무 변인을 제외한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당뇨병 치료지시 이행 정도가 당화혈색소와의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다.
      자가혈당과 당화혈색소의 상관관계수 값은 -.173으로 약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는 유의수준 p<.05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노인의 자가혈당 이행 정도가 높을수록 당화혈색소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치료지시 이행 정도 중 약물요법과 자가혈당이 당화혈색소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라면 누구나 약물복용과 자가혈당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쉽지가 않다. 이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이고, 이와 더불어 약물에 의존하지 않고, 식사조절이나 식이요법에 따른 당화혈색소 수치의 변화를 줄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후속적 연구에서는 당화혈색소에 치료지시 이행 정도와 함께 다른 변인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노인의 우울이나 생활 만족도 또한 당뇨병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이번 연구는 조사대상을 대구로 한정 하였으므로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performance of therapeutic instructions on diabetes and HbA1c.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rom August 8th, 2012 through August 20th, 2012, and collected 143 copies of questionnaires from the elderly 65 years old or older of the outpatients of the endocrinology hospital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19.0 for windows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view of the difference in HbA1c following general characteristic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een only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occupation, and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 variables.
      Second, in view of the difference in degree of performance of therapeutic instructions following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ariables excluding the variables of gender, age, and the experience of moving to another hospital in the past one year.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performance of therapeutic instructions on diabetes and HbA1c is as follows.
      The value of correlation number of self blood sugar test and HbA1c is -.173, which shows a weak correlation. Statistically i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p<.05 showing a negative correlation.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degree of performance of self blood sugar test of the elderly, the lower the HbA1c.
      This study makes the following suggestions through the above study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medication and self blood sugar test of the degree of performance of therapeutic instructions and HbA1c. It is not easy for patients to take medication and to regularly measure self blood sugar. Constant education will be needed for this, and an educational plan to make a change to the figure of HbA1c following diet or dietary therapy not relying on medicine should be groped.
      Second, a future study should be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bA1c and not only the degree of performance of therapeutic instructions but also other variables. For example, the depression or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may be a variable that can have a major impact on diabetes.
      Third, this study limited the subject of study to Daegu and has limitations in generaliz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performance of therapeutic instructions on diabetes and HbA1c.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rom August 8th, 2012 through August 20th, 2012, and collected 143 copies of questionnaires f...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performance of therapeutic instructions on diabetes and HbA1c.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rom August 8th, 2012 through August 20th, 2012, and collected 143 copies of questionnaires from the elderly 65 years old or older of the outpatients of the endocrinology hospital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19.0 for windows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view of the difference in HbA1c following general characteristic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een only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occupation, and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 variables.
      Second, in view of the difference in degree of performance of therapeutic instructions following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ariables excluding the variables of gender, age, and the experience of moving to another hospital in the past one year.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performance of therapeutic instructions on diabetes and HbA1c is as follows.
      The value of correlation number of self blood sugar test and HbA1c is -.173, which shows a weak correlation. Statistically i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p<.05 showing a negative correlation.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degree of performance of self blood sugar test of the elderly, the lower the HbA1c.
      This study makes the following suggestions through the above study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medication and self blood sugar test of the degree of performance of therapeutic instructions and HbA1c. It is not easy for patients to take medication and to regularly measure self blood sugar. Constant education will be needed for this, and an educational plan to make a change to the figure of HbA1c following diet or dietary therapy not relying on medicine should be groped.
      Second, a future study should be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bA1c and not only the degree of performance of therapeutic instructions but also other variables. For example, the depression or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may be a variable that can have a major impact on diabetes.
      Third, this study limited the subject of study to Daegu and has limitations in generaliz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3
      • Ⅱ. 이론적 배경 4
      • 1. 노인 당뇨병 4
      • Ⅰ. 서론 1
      • 1. 연구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3
      • Ⅱ. 이론적 배경 4
      • 1. 노인 당뇨병 4
      • 2. 당화혈색소 6
      • 3. 치료지시 이행 및 불이행 요인 8
      • Ⅲ. 연구방법 11
      • 1. 연구대상 11
      •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11
      • 3. 자료분석 방법 13
      • Ⅳ. 연구결과 14
      •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4
      • 2. 당뇨병 치료지시 이행 정도 18
      • 3. 당뇨병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당화 혈색소의 차이 19
      • 4. 당뇨병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료지시 이행 정도의 차이 22
      • 5. 당뇨병 치료지시 이행 정도와 당화혈색소와의 상관관계 27
      • Ⅴ. 논의 28
      • Ⅵ. 요약 32
      • 참고문헌 33
      • 국문초록 35
      • Abstract 37
      • 부록 3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