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지털 교과서 인터페이스의 상대적 공간 개념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Notion of Relative Space in Digital Textbook Interfac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318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extbooks have been emphasized for their strictness and accuracy in content and format according to the curriculum regulation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ritically analyze that current digital textbooks are designed in a way that does not utilize the characteristics and advantages of digital media and follows the appearance of printed textbooks in the visual representation and format of the origin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media discourse was reviewed from the wholistic perspective to confirm the identity and direction of digital textbooks that are changing technologically. As a research method, the meaning of the two spaces of books’ pages and digital screen was conceptually interpreted, and it was confirmed that digital textbooks should be recognized as new media and not as supplementation of printed textbooks. The interpretation of the ‘relative space of the interface’ presented in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formative composition of an absolute space in which the space of the digital as fixed medium cannot be applied, and should be recognized as a relative space for complex action in the learning process. Textbook design should be designed to effectively communicate with the current learning generation, which is digital native. Focusing on the term ‘textbook-interface-learner’ the process of substituting the internal system, external system, and learning generation of textbooks was an effective approach to embody the concept of relative space. When ‘the universal model of interface suggested by Baxley’ was applied, the concept of relative space could be systematically review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ncept of ‘relative space’ of textbook design in a digital environment can be applied to the internal and external systems of textbooks and learners. It was meaningful to derive a new approach to spatial composition based on current digital textbooks by comparing the conceptual differences between the books’ pages and digital screen.
      번역하기

      Textbooks have been emphasized for their strictness and accuracy in content and format according to the curriculum regulation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ritically analyze that current digital textbooks are designed in a way that does not utili...

      Textbooks have been emphasized for their strictness and accuracy in content and format according to the curriculum regulation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ritically analyze that current digital textbooks are designed in a way that does not utilize the characteristics and advantages of digital media and follows the appearance of printed textbooks in the visual representation and format of the origin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media discourse was reviewed from the wholistic perspective to confirm the identity and direction of digital textbooks that are changing technologically. As a research method, the meaning of the two spaces of books’ pages and digital screen was conceptually interpreted, and it was confirmed that digital textbooks should be recognized as new media and not as supplementation of printed textbooks. The interpretation of the ‘relative space of the interface’ presented in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formative composition of an absolute space in which the space of the digital as fixed medium cannot be applied, and should be recognized as a relative space for complex action in the learning process. Textbook design should be designed to effectively communicate with the current learning generation, which is digital native. Focusing on the term ‘textbook-interface-learner’ the process of substituting the internal system, external system, and learning generation of textbooks was an effective approach to embody the concept of relative space. When ‘the universal model of interface suggested by Baxley’ was applied, the concept of relative space could be systematically review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ncept of ‘relative space’ of textbook design in a digital environment can be applied to the internal and external systems of textbooks and learners. It was meaningful to derive a new approach to spatial composition based on current digital textbooks by comparing the conceptual differences between the books’ pages and digital scre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교과서는 교과과정의 규정에 따라 그 내용과 형식의 엄중함과 정확성이 강조되어왔다. 따라서 현행 디지털 교과서는 새로운 디지털 매체의 특성과 장점을 활용하지 못하고 원본의 시각적 표상과 형식에있어서 인쇄된 종이책 교과서의 모습을 그대로 따르는 방식으로 디자인되고 있는 점에 대한 비평적분석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 중심적으로 변화를 거듭하고 있는 디지털 교과서의 정체성과방향성을 확인하기 위해 미디어 담론을 통해 디지털 교과서를 거시적 관점에서 검토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종이책의 지면과 디지털 화면이라는 두 개의 공간이 가지는 의미를 개념적으로 해석했으며, 디지털 교과서를 새로운 미디어로 인식하고 서책형 교과서의 보완이 아닌 주체적 미디어로 인식해야함을 확인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인터페이스의 상대적 공간’에 대한 해석은 디지털 매체에 절대적 공간의 조형적 구성이 적용될 수 없으며 재현된 공간으로 학습 과정에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위한상대 공간으로 인식되어야 하는 점을 강조한다. 교과서 디자인은 디지털 네이티브인 지금의 학습 세대와 효과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교과서-인터페이스-학습자’라는 관계 항을 중심으로 교과서의 내적 체제, 외적 체제, 학습 세대를 대입하는 과정은 상대적 공간 개념을 구체화하기에 효과적인 접근 방법이었으며, 백스리의 인터페이스 보편 모델에서 제시하는 구조, 행동, 제시 영역을 적용했을 때 디지털 교과서 인터페이스를 체계적으로 검토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디지털환경에서 교과서 디자인의 ‘상대적 공간’ 개념은 교과서의 내적 체제와 외적 체제 그리고 학습자에 적용하고 교과서 디자인에서 콘텐츠의 재 구조화에 대한 인식 체계로 구성할 수 있었다. 교과서 인터페이스의 지면과 화면이 가지는 개념적 차이의 비교를 통해 현행 디지털 교과서를 기준으로 공간 구성방식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법을 도출했다는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교과서는 교과과정의 규정에 따라 그 내용과 형식의 엄중함과 정확성이 강조되어왔다. 따라서 현행 디지털 교과서는 새로운 디지털 매체의 특성과 장점을 활용하지 못하고 원본의 시각적 ...

      교과서는 교과과정의 규정에 따라 그 내용과 형식의 엄중함과 정확성이 강조되어왔다. 따라서 현행 디지털 교과서는 새로운 디지털 매체의 특성과 장점을 활용하지 못하고 원본의 시각적 표상과 형식에있어서 인쇄된 종이책 교과서의 모습을 그대로 따르는 방식으로 디자인되고 있는 점에 대한 비평적분석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 중심적으로 변화를 거듭하고 있는 디지털 교과서의 정체성과방향성을 확인하기 위해 미디어 담론을 통해 디지털 교과서를 거시적 관점에서 검토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종이책의 지면과 디지털 화면이라는 두 개의 공간이 가지는 의미를 개념적으로 해석했으며, 디지털 교과서를 새로운 미디어로 인식하고 서책형 교과서의 보완이 아닌 주체적 미디어로 인식해야함을 확인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인터페이스의 상대적 공간’에 대한 해석은 디지털 매체에 절대적 공간의 조형적 구성이 적용될 수 없으며 재현된 공간으로 학습 과정에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위한상대 공간으로 인식되어야 하는 점을 강조한다. 교과서 디자인은 디지털 네이티브인 지금의 학습 세대와 효과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교과서-인터페이스-학습자’라는 관계 항을 중심으로 교과서의 내적 체제, 외적 체제, 학습 세대를 대입하는 과정은 상대적 공간 개념을 구체화하기에 효과적인 접근 방법이었으며, 백스리의 인터페이스 보편 모델에서 제시하는 구조, 행동, 제시 영역을 적용했을 때 디지털 교과서 인터페이스를 체계적으로 검토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디지털환경에서 교과서 디자인의 ‘상대적 공간’ 개념은 교과서의 내적 체제와 외적 체제 그리고 학습자에 적용하고 교과서 디자인에서 콘텐츠의 재 구조화에 대한 인식 체계로 구성할 수 있었다. 교과서 인터페이스의 지면과 화면이 가지는 개념적 차이의 비교를 통해 현행 디지털 교과서를 기준으로 공간 구성방식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법을 도출했다는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원,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디지털교과서의 반응형 레이아웃 디자인 사례 연구"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71 : 119-130, 2020

      2 Flusser, V., "Vom Stand Der Dinge" Book Korea 2003

      3 Baxley, B, "Universal model of a user interface" 1-14, 2003

      4 Virilio, P., "The Vision Machine, in The Virilio Reader" Blackwell Publishers 1998

      5 Manovich, L., "The Language of New Media" Itreebooks 2004

      6 Harvey, D., "Spaces of Neoliberalization: Towards a Theory of Uneven Geographical Development" Culture Science 2010

      7 Baudrillard, J., "Simulation" Minumsa 1996

      8 Bolter, J. D., "Remediation : Understanding New Media" The MIT Press 2000

      9 Packer, R., "Multimedia : From Wagner to Virtual Reality" Nabi Press 2004

      10 Lefebvre, H., "La Production De L’Espace" Ecolivres 2011

      1 김경원,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디지털교과서의 반응형 레이아웃 디자인 사례 연구"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71 : 119-130, 2020

      2 Flusser, V., "Vom Stand Der Dinge" Book Korea 2003

      3 Baxley, B, "Universal model of a user interface" 1-14, 2003

      4 Virilio, P., "The Vision Machine, in The Virilio Reader" Blackwell Publishers 1998

      5 Manovich, L., "The Language of New Media" Itreebooks 2004

      6 Harvey, D., "Spaces of Neoliberalization: Towards a Theory of Uneven Geographical Development" Culture Science 2010

      7 Baudrillard, J., "Simulation" Minumsa 1996

      8 Bolter, J. D., "Remediation : Understanding New Media" The MIT Press 2000

      9 Packer, R., "Multimedia : From Wagner to Virtual Reality" Nabi Press 2004

      10 Lefebvre, H., "La Production De L’Espace" Ecolivres 2011

      11 Flusser, V., "Kommunikologie" Commbooks 2001

      12 Bonsiepe, G., "Interface: An Approach to Design" Sigongsa 2003

      13 Welsch, B., "Grenzga“ng der A”sthetik" Hyangyeon 2005

      14 Flusser, V., "Does Writing Have a Future?" Xbooks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