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접지층에서 대기난류의 역할과 에너지 평형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824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안습지 생태계에서 열에너지 교환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 지표 열에너지 평형을 이루는 요소인 순복사 플럭스, 현열 플럭스, 잠열 플럭스 그리고 토양열 플럭스를 전라남도 고흥에 위치한...

      연안습지 생태계에서 열에너지 교환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 지표 열에너지 평형을 이루는 요소인 순복사 플럭스, 현열 플럭스, 잠열 플럭스 그리고 토양열 플럭스를 전라남도 고흥에 위치한 수평적으로 균질하다고 판단되는 지역인 고흥만 간척지에서 관측하고 분석하였다. 열의 수송을 평가하기 위해서 5회의 집중관측 기간에 대기난류를 측정하였고, 특히 갈대로 덮여있는 간척지에서 지표층 열에너지 수지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물과 매우 미세한 입자로 구성된 토양 그리고 계절에 따라 색깔과 밀도가 변하는 식생캐노피를 고려하였다. 순복사 플럭스, 현열 플럭스, 잠열 플럭스, 토양열 플럭스를 기존의 에너지 수지방정식에 적용하여 식생과 토양과 같은 지표면 특성에 따른 열 플럭스의 특징을 조사하여 습지의 기온조절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에너지 수지비로 식생 성장기에는 주로 잠열 플럭스에 의해 열이 대기로 전달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식생층은 열을 저장하여 기온의 일교차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여름철에 집중관측지의 기온이 주변 지역의 기온보다 보다 낮고 겨울철에는 다소 높게 나타난 결과는 식생층을 포함하는 연안습지가 열환경을 조절함을 보여주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eat energy exchange is very important processes in the coastal wetland ecosystems. We observed and analyzed the net radiation flux, the sensible heat flux, the latent heat flux and the soil heat flux, which are balanced in the heat energy balance, ov...

      Heat energy exchange is very important processes in the coastal wetland ecosystems. We observed and analyzed the net radiation flux, the sensible heat flux, the latent heat flux and the soil heat flux, which are balanced in the heat energy balance, over a reclaimed land covered with reeds at Goheung, Jeonllanamdo where is horizontally plane. The atmospheric turbulence had been measured in order to estimate the heat transfer during 5 intensive observation periods (IOPs). It was considered that the soil consists of water, fine particles, and vegetation canopy that changes color and density according to the season.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t flux and the vegetation effect on the air temperature control. It was noted that the heat was transported mainly by latent heat flux in the summer season and the vegetation canopy decreased the daily temperature range due to the heat storage. The air temperature was lower at the IOPs site than near urban area. This showed that the coastal wetland covered with the vegetation control the thermal environ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관측
      • 3.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관측
      • 3. 결과 및 고찰
      • 3.1 순복사 에너지와 토양열
      • 3.2 현열 플럭스와 잠열 플럭스
      • 3.3 에너지 수지
      • 4. 결론
      • 사사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ustas, W. P., "Variability in soil heat flux from a mesquite dune site" 103 : 249-264, 2000

      2 Oke, T. R, "Urban heat storage derived as energy balance residuals" 39 : 233-245, 1987

      3 Hsu, S. A, "Transfer of heat on a tropical beach" 15 : 159-163, 1980

      4 Oke, T. R., "The energy-balance of central Mexico City during the dry season" 33 : 3919-3930, 1999

      5 Burba, G. G, "Surface energy fluxes of Phragmites australis in a prairie wetland" 94 : 31-51, 1999

      6 Weber, S, "Surface energy balance characteristics of a heterogeneous urban ballast facet" 28 : 257-266, 2005

      7 Kwon, B. H, "Structureof the marine atmospheric boundary layer over an oceanic thermal front:SEMAPHORE experiment" 103 : 159-180, 1998

      8 Mayocchi, C. L, "Soil surface heat flux : some general questions and comments on measurements" 75 : 43-50, 1995

      9 Wilson, K. B, "Seasonal and interannual variability of energy fluxes over a broad leaved temperate deciduous forest" 100 : 1-18, 2000

      10 Hill, R. J, "Measuring surface-layer fluxes of heat and momentum using optical scintillation" 58 : 391-408, 1992

      1 Kustas, W. P., "Variability in soil heat flux from a mesquite dune site" 103 : 249-264, 2000

      2 Oke, T. R, "Urban heat storage derived as energy balance residuals" 39 : 233-245, 1987

      3 Hsu, S. A, "Transfer of heat on a tropical beach" 15 : 159-163, 1980

      4 Oke, T. R., "The energy-balance of central Mexico City during the dry season" 33 : 3919-3930, 1999

      5 Burba, G. G, "Surface energy fluxes of Phragmites australis in a prairie wetland" 94 : 31-51, 1999

      6 Weber, S, "Surface energy balance characteristics of a heterogeneous urban ballast facet" 28 : 257-266, 2005

      7 Kwon, B. H, "Structureof the marine atmospheric boundary layer over an oceanic thermal front:SEMAPHORE experiment" 103 : 159-180, 1998

      8 Mayocchi, C. L, "Soil surface heat flux : some general questions and comments on measurements" 75 : 43-50, 1995

      9 Wilson, K. B, "Seasonal and interannual variability of energy fluxes over a broad leaved temperate deciduous forest" 100 : 1-18, 2000

      10 Hill, R. J, "Measuring surface-layer fluxes of heat and momentum using optical scintillation" 58 : 391-408, 1992

      11 Harazono, Y, "Measurement of energy budget components during the international rice experiment (IREX) in Japan" 12 : 2081-2092, 1998

      12 Arya, S. P, "Introduction to micrometeorology" Academic Press 420-, 2001

      13 Kim, G. H, "Heat energy exchange of reed canopy over Goheung bay wetland" Pukyong national university 2008

      14 Fitzjarrald, D, "Growing season boundary layer climate and surface exchanges in a subarctic lichen woodland" 99 : 1899-1917, 1994

      15 Christen, A, "Energy and radiation balance of a central European city" 24 : 1395-1421, 2004

      16 Santanello Jr. J. A, "Diurnal covariation in soil heat flux and net radiation" 42 : 851-862, 2003

      17 Grimmond, C. S. B, "Comparison of heat fluxes from summertime observations and a localscale urban meteorological parameterisation scheme" 41 : 792-810,

      18 KyungSookCho, "Characteristics of Canopy Heat Storage within a Conifer at Kwangneung Arboretum in Korea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01" 한국기상학회 6 (6): 37-45, 2003

      19 Meyers, T. P, "An assessment of storage terms in the surface energy balance of maize and soybean" 125 : 105-115, 2004

      20 Stull, R. B, "An Introduction to Boundary Layer Meteorology" Kluwer Academic Publishers 666-, 1988

      21 Ogee, J, "A long-term study of soil heat flux under a forest canopy" 106 : 173-186,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1-07-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journal -> Journal of Wetlands Researh KCI등재
      2011-07-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journal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42 0.52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