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의 유아교육학과가 개설된 대학의 예비교사 교육과정 중 동작관련과목 개설현황 실태조사와 동작교육과목의 수업내용 및 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9223615
서울 :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3
학위논문(석사) -- 중앙대학교 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육학전공 , 2003.12
2003
한국어
서울
(A)study on present conditions and perceptions of movement education in pre-teacher curriculum
iv, 85 p. : 챠트 ; 26 cm
참고문헌 포함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의 유아교육학과가 개설된 대학의 예비교사 교육과정 중 동작관련과목 개설현황 실태조사와 동작교육과목의 수업내용 및 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는 ...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의 유아교육학과가 개설된 대학의 예비교사 교육과정 중 동작관련과목 개설현황 실태조사와 동작교육과목의 수업내용 및 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01년 현재 유아교육학과가 개설된 전국의 전문대학, 4년제 대학의 동작관련과목 139개 과목과 동작교육과목 강의계획서 38부이었으며, 이 과목을 이수한 교사 5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3개 4년제 대학 중 20개 대학교(86.95%), 83개 전문대학 중 65개 대학(78.31%)에서 동작관련과목이 개설되어 있었다.
2) 동작관련과목의 교과명은 4년제 대학에서는 `유아동작교육`과 `유아(창의적)신체표현`(23.07%), `유아음률교육`(15.38%), `유아음악과 율동`(15.38%), `유아체육교육`(7.69%), `유아무용교육`(11.53%), `리듬과 창작활동`(3.84%) 순으로 많이 개설되어 있었다. 전문대학에서는 `유아(창의적)신체표현`(28.08%), `유아동작교육`(24.71%), `유아음률교육`(19.10%), `유아체육교육`(10.11%), `유아무용교육`과 `유아율동교육`(5.61%), `유아음악교육`(4.49%) 순으로 많이 개설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동작관련과목의 이수구분은 4년제 대학에서는 전공필수(80.76%)로, 전문대학에서는 전공선택(78.49%)으로 많이 택하고 있었다.
4) 동작관련과목의 개설시기는 4년제 대학에서는 3학년(61.53%), 전문대학은 1학년 2학기(34.95%)와 2학년 1학기(29.12%)에 주로 개설되어 있었다.
5) 동작관련과목의 이수학점 및 시간을 살펴보면 4년제 대학에서는 3학점 3시간(65.38%), 전문대학에서는 1학점 2시간(44.66%)으로 가장 많이 배정되어 있었다.
6) 강의 목적은 「다양한 신체활동을 통한 동작의 즐거움 경험」, 「동작교육의 제반이론 습득」, 「동작을 통한 유아들의 정서표출유도」, 「창의성 중심의 활동중시」, 「모의수업을 통한 바람직한 지도방법 습득 및 실제적 활용」, 「다양한 활동의 실제 소개」, 「다른 영역, 활동과 연계성을 고려한 통합적 운영」으로 기술되어 있었다.
7) 강의방법 중 이론과 실기의 실시방법은 매 주 이론강의 후 이론에 따른 실기 병행, 매 주 이론강의 후 활동실례 소개, 기본적인 이론강의 후 모의수업 실시, 매 주 강의한 내용으로 모의수업 발표가 있었다.
8) 강의방법 중 실기수업의 방법은 조별 혹은 개인별 이론을 토대로 모의수업을 실시 및 평가, 동작요소 혹은 생활주제에 따른 신체활동 모의수업의 발표, 동작요소와 생활주제 모두에 따른 신체활동 모의수업 발표, 통합적 접근방법 모의수업, 자신이 계획한 활동을 유치원 현장에 적용, VTR 촬영, 결과발표, 현장 동작교육수업 참관, 현장에서 주로 쓰이는 율동, 노래 위주로 한 모의수업, 손유희 발표가 있었다.
9) 강의내용 중 이론부분의 동작교육 개념과 내용은 비교적 다른 것에 비해 잘 다루어지고 있었다. 하지만 38개 과목의 82%가 환경부분을, 74%가 평가부분을 다루지 않고 있었다. 때문에 이 부분을 배우지 못한 교사들이 현장에서 활동을 적용하는데 여러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었다.
10) 강의내용 중 실기부분의 기본동작요소와 기본동작, 창의적 신체표현, 구조화된 율동을 많이 다루어지고 있었지만, 38개 과목의 63%가 교육계획안을 작성하지 않고 있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