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노비(奴婢)의 기상(記上)행위와 쟁송(爭訟) ― 『묵재일기(默齋日記)』 를 중심으로 ― = Slaves` Offering of Private Property to Their Masters and Related Legal Disputes During Joseon Dynasty - Based on Records of the Diary of Mukjae(默齋日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978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시대 노비들은 비록 그 스스로가 賣買·贈與·相續의 대상인 존재였지만, 이들 역시 자신의 재산을 지닐 권리가 보장되었다. 노비들은 토지나 노비 등을 소유할 수 있었고, 이를 자신의 ...

      조선시대 노비들은 비록 그 스스로가 賣買·贈與·相續의 대상인 존재였지만, 이들 역시 자신의 재산을 지닐 권리가 보장되었다. 노비들은 토지나 노비 등을 소유할 수 있었고, 이를 자신의 자녀에게 상속하는 데 있어 법적 차별을 받지 않았다. 이에 노비들 역시 自己經理의 확보를 위해 적극 노력하였다. 노비들은 노주를 눈을 속이며 中間橫領을 하였고, 때로 노주를 冒稱한 사기행각으로 재산을 모았다. 이밖에 長利행위나 商行爲, 場市의 활용 등을 통해 재산을 모으기도 했다. 그러나 실제 노비의 소유재산에 관한 권리는 제한적으로 침해당하기도 했는데, 이는 노주의 記上强要로 나타났다. 記上은 `기록하여 상납한다`는 뜻으로, 노비가 자신의 재산을 소속된 官이나 上典에게 바치는 경우에 사용되었다. 『經國大典』 刑典 公賤條에는 “公賤으로서 子女가 없이 죽은 자의 奴婢·田宅은 그가 소속된 本司·本邑에 귀속된다. 私賤은 그 財産과 함께 本主가 처분하는 것을 허용한다.”라고 규정되어 있어, 자식 없이 죽은 노비의 재산은 노주가 차지하는 법적 근거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노주들은 자식이 있는 노비에게도 다양한 명목으로 생전에 기상을 요구하였다. 노주들은 소유노가 타인 소유의 비와의 사이에서 자식을 낳아 길렀다는 등 다양한 이유를 들어, 소유재산의 기상을 요구하기도 했다. 한편, 노주에게 기상을 강요당한 노비들은 소유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이에 대응하였다. 이는 첫째 소유토지의 방매, 둘째, 노주에 대한 눈속임, 셋째 도망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기상을 강요받은 노비들은 일단 노주에게 記上明文을 작상해 주고, 이후 노주 몰래 팔고 도망치기도 했고, 기상토지의 卜數를 부풀리는 방식으로 노주를 속이기도 했다. 이처럼 노비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노주의 기상요구에 저항하였고, 노비의 기상저항은 때로 訴訟이라는 적극적 방식으로 행해지기도 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ring the Joseon Dynasty, slaves were an object of sales, gift and inheritance, and yet they had a right to have private property. They could own land or their own slaves, and were not subject to legal discrimination in passing them on to their child...

      During the Joseon Dynasty, slaves were an object of sales, gift and inheritance, and yet they had a right to have private property. They could own land or their own slaves, and were not subject to legal discrimination in passing them on to their children. However, in practice, slaves` right to private property were often infringed in form of gisanggangyo (記上强要), the masters` coercion for offering. `Gisang (記上)` means to keep records and pay offering, and indicated that slaves without children had to surrender their private properties to public office of their jurisdiction or their masters. However, masters demanded such offering from even slaves with children, citing various reasons. Slaves who were forced to make such offering sought to protect their property. In some cases, they wrote down a statement of offering to their masters, and then surreptitiously sold the properties and fled. Or they cheated their masters by overestimating the amount of offered land. Slaves took diversified measures to resist masters` demand for offering, and sometimes they were done in a more aggressive form of litiga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