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독교 윤리학에서 본 신자유주의 인간이해와 사회 통합의 가능성 연구 - 하이에크의 인간이해를 중심으로 = A Christian Ethical View on the Neoliberal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and the Possibility of Social Integration: Focusing on Hayek’s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176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인간 본성을 총체적으로 보지 못하는 신자유주의 현상학적 인식론에 근원적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고 한다. 신자유주의를 경제 시스템으로 채택한 사회에서 사람을 개별적 욕망으...

      본 논문은 인간 본성을 총체적으로 보지 못하는 신자유주의 현상학적 인식론에 근원적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고 한다. 신자유주의를 경제 시스템으로 채택한 사회에서 사람을 개별적 욕망으로 보는 자연적 이해는 사회과학적으로 타당할 수 있으나 함께 사는 삶을 위한 사회 통합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욕망을 따른 ‘경쟁’이란 존재방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 신자유주의를 처음 주창한 하이에크의가 문제로 삼은 데카르트의 ‘근대적 주체’의 허구성을 비판적으로 되짚어볼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본 논문은 개신교 종교철학자 폴 리쾨르를 통해 ‘신자유주의적 개인’이 가진 문제의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리쾨르가 윤리적 차원에서 말하는 ‘근대적 주체’ 안에 거부할 수 없는 ‘자기성’을 수용하여 본 논문은 일차적으로 ‘생각하며 존재하는’ 근대적 주체 안에서 부인할 수 없는 자아를 설명할 것이다. 이어서 생각하는 주체의 근원으로서 자아가 좋은 삶을 지향하고 정의로운 제도를 세우는 토대가 될 수 있음을 밝힐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oints out a fundamental shortcoming in neoliberal phenomenon- based epistemology, i.e., its failure to conceive human nature from a holistic viewpoint. In a society where neoliberalism forms the basis of the economic system, the perception...

      This study points out a fundamental shortcoming in neoliberal phenomenon- based epistemology, i.e., its failure to conceive human nature from a holistic viewpoint. In a society where neoliberalism forms the basis of the economic system, the perception of humans as an incarnation of individual desires may be valid within the logic of social sciences but falls short of promoting social integration and co-existenc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with the existence characterized by cut-throat competition driven by desires, one must analyze Rene Descartes’ conception of the modern subject―a concept which Hayek has deemed as problematic. Then, this study explores an alternative to the problems of neoliberal individualism through the works of Paul Ricoeur, a Protestant religious philosopher. I start with accepting Ricoeur’s sense of the selfhood that cannot be denied from the modern subject. My discussion then clarifies the undeniable selfhood within the modern subject, whose existence is defined as “cogito” (thinking), followed by my argument that ego, as the basis of a thinking subject, is a foundation for striving toward a good life and a just syste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Ricoeur, Paul, "폴 리쾨르, 비판과 확신" 그린비 출판사 2013

      2 Ricoeur, Paul, "타자로서 자기 자신" 동문선 2006

      3 Taylor, Charles, "자아의 원천들" 새물결 출판사 2015

      4 Hayek, Friedrich, "자본주의냐 사회주의냐" 문예출판사 1990

      5 Honneth, Axel, "인정투쟁" 사월의 책 2014

      6 Hume, David, "인간 오성의 탐구" 고려원 1996

      7 김홍중, "육화된 신자유주의의 윤리적 해체" 한국이론사회학회 (14) : 173-212, 2009

      8 민가영, "신자유주의 개인화의 역설: 아래로부터 형성되는 ‘공통적 운명성’" 한국문화사회학회 16 : 187-222, 2014

      9 Hayek, Friedrich, "법, 입법 그리고자유 III" 자유기업센터 269-, 1997

      10 김상준, "미지의 민주주의" 아카넷 2011

      1 Ricoeur, Paul, "폴 리쾨르, 비판과 확신" 그린비 출판사 2013

      2 Ricoeur, Paul, "타자로서 자기 자신" 동문선 2006

      3 Taylor, Charles, "자아의 원천들" 새물결 출판사 2015

      4 Hayek, Friedrich, "자본주의냐 사회주의냐" 문예출판사 1990

      5 Honneth, Axel, "인정투쟁" 사월의 책 2014

      6 Hume, David, "인간 오성의 탐구" 고려원 1996

      7 김홍중, "육화된 신자유주의의 윤리적 해체" 한국이론사회학회 (14) : 173-212, 2009

      8 민가영, "신자유주의 개인화의 역설: 아래로부터 형성되는 ‘공통적 운명성’" 한국문화사회학회 16 : 187-222, 2014

      9 Hayek, Friedrich, "법, 입법 그리고자유 III" 자유기업센터 269-, 1997

      10 김상준, "미지의 민주주의" 아카넷 2011

      11 Hayek, Friedrich, "노예의 길" 나남 2012

      12 Smith, Adam, "국부론 상" 범우사 1998

      13 Gurevich, Aaron, "개인주의의 등장" 새물결 출판사 2002

      14 Hayek, Friedrich, "개인주의와 경제질서" 자유기업센터 1998

      15 Hayek, Friedrich, "감각적 질서" 자유기업센터 2000

      16 Dostaler, "Gilles Le libéralisme de Hayek" La Découverte 2001

      17 Hayek, Friedrich, "Droit, législation et liberté. vol. 3" PUF 1982

      18 Hayek, Friedrich, "Droit, législation et liberté I. vol. 1" PUF 198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5 0.25 0.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7 0.486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