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의 목적은 <유합>, <훈몽자회>, <신증유합>과의 비교를 통해서 <아학편>표제자 분류와 배열의 특징을 살펴보는 데 있다. 2장 소결은 1) <유합>과 <신증유합>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유합>, <훈몽자회>, <신증유합>과의 비교를 통해서 <아학편>표제자 분류와 배열의 특징을 살펴보는 데 있다. 2장 소결은 1) <유합>과 <신증유합>은 ...
이 논문의 목적은 <유합>, <훈몽자회>, <신증유합>과의 비교를 통해서 <아학편>표제자 분류와 배열의 특징을 살펴보는 데 있다. 2장 소결은 1) <유합>과 <신증유합>은 숫자로 시작하고 <훈몽자회>와 <아학편>은 ‘천지(天地)’로시작하지만 전자는 천문(天文), 후자는 천륜(天倫)과 관계된 글자를 배열하였다. <아학편>에서는 천륜, 인류, 신체의 순서로 배열했는데 이는 아동의 눈높이를 고려한 것이다. 2) <아학편>은 권의 처음과 끝에 핵심 가치를 담았다. 3)<유합>과 <신증유합>, <훈몽자회>는 시간을 천문(天文)으로 분류하고 실자(實字)로 보았지만, 아학편은 허자(虛字)로 분류하였는데, 이는 ‘유형지물(有形之物)’과 ‘무형지정(無形之情)’에 따라 상권과 하권을 분류한 결과이다. 3장 소결은 1) 의미적 관련성에 따라 배열하였다 2) 의미적 관련성에서 특히 반의관계와 유의관계를 위주로 하였다. 3) 동일 편방의 글자를 함께 배열하였다. 표제자의 배열에서 반의관계, 유의관계, 동일 편방의 글자 배열은 <아학편>뿐 아니라, <유합>, <신증유합>, <훈몽자회>에서도 자주 사용하는 방법이지만, <아학편>의 표제자 배열이 우수하게 보이는 이유는 동일한 유별 분류의 글자들을 잘 선정했기 때문이다. 4장 소결 즉 <아학편>표제자 분류와 배열의 특징은 1) ‘촉류방통(觸類旁通)’이다. <아학편>은 유의, 반의, 형의 관계 등 의미 관련성을 고려해서 배열하였다. 2) ‘유형지물(有形之物)’과 ‘무형지정(無形之情)’이다. 정약용은 아동의 문자교육에서 유형과 무형을 기준으로 유형의 실자(實字)는 상권, 무형의 허자(虛字)는 하권으로 배열하였다. 3) <아학편>의 시작은 천륜으로 정약용은 아동의 눈높이와 당시의 핵심가치를 고려하여 ‘천지부모군신부부(天地父母君臣夫婦)’로 시작하였다. 4) 표제자의 분류에서 의미적 관련성과 형의 관계를 고려하였다. 5) 표제자의 배열에서 유의관계, 반의관계, 형의관계를 고려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fication and arrangement of the title characters of Ahakpyeon through comparison with <Yuhap>, <Hunmongjahoe>, and <Sinjeungyuhap>. The characteristics c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fication and arrangement of the title characters of Ahakpyeon through comparison with <Yuhap>, <Hunmongjahoe>, and <Sinjeungyuhap>. The characteristics can be organized into the following five categories. First, there is 'Chokryubangtong'. <Ahakpyeon> classifies the title characters into eight characters per phrase according to semantic relevance, and arranges them by considering semantic relevance such as synonyms, antonyms, and modal relationships. Second, there are 'tangible features' and 'intangible designations'. In children's character education, Jeong Yak-yong arranged tangible real characters in the upper volume and intangible false characters in the lower volume based on tangible and intangible criteria. Third, the beginning of <Ahakpyeon>is cheonryun. Jeong Yak-yong starts with 'cheonjibumogunsinbubu', which are the objects that children recognize first. Fourth, consider semantic relevance and formal relationship in the classification of titles. Fifth, consider synonymous relationship, antonymous relationship, and formal relationship in the arrangement of titles.
성인식이 지닌 위험한 유혹- ≪나의 붉은 고래(大魚海棠)≫를 중심으로 -
비전형적 중첩형 ‘사자구(四字格)’의 구조 및 형성에 관한 시론
中国学界关于韩国社会研究的梳理与展望 - 基于文献计量学分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