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책문(冊文)의 형식과 특징 -『文苑黼黻』 소재 책문(冊文)을 중심으로 - = The style of Cewen in the Joseon Dynasty - Foccused on Cewen(冊文) of 『Munwonbobul(文苑黼黻)』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904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文苑黼黻』은 정조 11년(1787)에 조선 전기부터 정조대까지 관각의 문장을 모아 尊賢閣에서 편집하고 摛文院에서 간행한 관찬서이다. 文衡의 직임을 맡은 이들이 모범으로 삼을 수 있도록 ...

      『文苑黼黻』은 정조 11년(1787)에 조선 전기부터 정조대까지 관각의 문장을 모아 尊賢閣에서 편집하고 摛文院에서 간행한 관찬서이다. 文衡의 직임을 맡은 이들이 모범으로 삼을 수 있도록 열성들의 誌狀과 각종 謄錄에서부터 석학들의 遺稿와 실제로 사용되지 않은 應製文까지 모두 纂集한 것이다. 문체별로 살펴볼 수 있도록 玉冊文ㆍ頒敎文ㆍ慰諭文ㆍ敎文ㆍ敎命文ㆍ竹冊文ㆍ祭文ㆍ哀冊文ㆍ上樑文ㆍ賜祭文ㆍ敎書ㆍ國書ㆍ露布 등 20항목을 두고, 시기순으로 작품을 나열하여 前代의 문장을 살펴볼 수 있게 구성하였다.
      본고는 조선시대 관각문 연구의 선행작업으로 형식적이고 의례성이 강한 冊文의 형식과 특징을 고찰하여 조선 왕실에서 표방하였던 글쓰기의 지향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책문의 연원과 변천 양상을 살펴보고, 『문원보불』에 수록된 231편의 책문을 대상으로 하여 유형별로 존호책, 봉책, 시호책 셋으로 나누어 실제 작품 분석을 통해 형식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경전에서 전고를 인용하여 전아하고 장중한 어휘를 구사하거나 평측을 고려한 사륙변려문의 형태로 시각적, 청각적 미감을 추구하는 등의 형식적 특징은 중국의 책문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그것을 그대로 수용하지 않고 적절히 取捨, 選擇하여 조선의 책문이 탄생하였다. 이뿐만 아니라 책문을 작성하고 교정ㆍ교열하는 과정을 통해 왕실의 권위와 위엄을 해치지 않도록 형식을 규범화하는 작업을 시도하였으며, 이것이 자신의 정통을 확립하고 왕권의 기반을 다지는 움직임으로 이어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1787 King Jeongjo's 11th year of King Jeongjo's reign, the『Munwonbobul(文苑黼黻)』 was compiled by Jonhyeongak(尊賢閣) and published by Imunwon(摛文 院). In order to serve as a model for those in charge of literature, he collected all ...

      In 1787 King Jeongjo's 11th year of King Jeongjo's reign, the『Munwonbobul(文苑黼黻)』 was compiled by Jonhyeongak(尊賢閣) and published by Imunwon(摛文 院). In order to serve as a model for those in charge of literature, he collected all kinds of zhizhuang(誌狀)'s from the kings of one's predecession, the posthumous works of the erudite scholars, and the yingzhiwen(應製文)'s that were not actually used. For each style of writing, there are 20 items such as yucewen(玉冊文), banjiaowen(頒敎文), weiyuwen(慰諭文), jiaowen(敎文), jiaomingwen(敎命文), zhucewen(竹冊文), jiwen(祭文), aicewen(哀冊文), shangliangwen(上樑文), cijiwen(賜祭文), jiaoshu(敎書), guoshu(國書), lubu(露布) and others. The works are arranged in chronological order so that you can see the writings of the past generation.
      The source and transformation of the cewen(冊文) were investigated, and the 231 works contained in the book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zunhaoce(尊號冊), fengce(封冊) and shihaoce(諡號冊), and the style of works was examined.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quoting the authentic precedent from the scriptures, using elegant and solemn vocabulary, and pursuing visual and auditory aesthetics in the style of a siliupianliwen(四六騈儷文) considering pingze(平仄) are based on Chinese Cewen(冊文). However, instead of accepting it as it is, Joseon's Cewen(冊文) was created by appropriately. In addition, the royal family tried to standardize the formality in the process of drafting and proofreading, which led to the establishment of its legitimacy and the consolidation of the foundation of royal author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묵, "조선전기 관각문학의 성격과 문예미" 국문학회 8 : 2002

      2 이의철, "조선전기 館閣派 文人의 隱逸과 權力의 문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3 (33): 405-430, 2005

      3 이은영, "조선시대 表箋연구(1) -保國과 華國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회 (48) : 81-112, 2011

      4 장을연, "조선시대 冊文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

      5 강동석, "조선 전기 자연관과 그 변모 양상-관각문인을 중심으로-" 근역한문학회 38 : 159-194, 2014

      6 이영환, "식암 김석주의 기사문(記事文) 연구 -‘재사정련(才思精鍊)’의 형식미를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42) : 235-259, 2019

      7 박재경, "세종조 책문의 글쓰기 비교 연구-成三問, 申叔舟, 李石亨의 對策을 중심으로-"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42 (42): 65-94, 2015

      8 金 起 林, "서거정 記文과 그 의미"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17) : 171-202, 2002

      9 정생화, "관풍(觀風)과 악부풍(樂府風) 조선한시(朝鮮漢詩)의 선록(選錄)과 비평 연구-중국 강희 연간 주이준(朱彝尊)과 우통(尤侗)을 중심으로-" 한국한시학회 (26) : 115-155, 2018

      10 구슬아, "가리어진 문형(文衡) - 어세겸(魚世謙)의 삶과 관각산문 연구 -" 인문과학연구소 (60) : 7-48, 2021

      1 이종묵, "조선전기 관각문학의 성격과 문예미" 국문학회 8 : 2002

      2 이의철, "조선전기 館閣派 文人의 隱逸과 權力의 문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3 (33): 405-430, 2005

      3 이은영, "조선시대 表箋연구(1) -保國과 華國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회 (48) : 81-112, 2011

      4 장을연, "조선시대 冊文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

      5 강동석, "조선 전기 자연관과 그 변모 양상-관각문인을 중심으로-" 근역한문학회 38 : 159-194, 2014

      6 이영환, "식암 김석주의 기사문(記事文) 연구 -‘재사정련(才思精鍊)’의 형식미를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42) : 235-259, 2019

      7 박재경, "세종조 책문의 글쓰기 비교 연구-成三問, 申叔舟, 李石亨의 對策을 중심으로-"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42 (42): 65-94, 2015

      8 金 起 林, "서거정 記文과 그 의미"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17) : 171-202, 2002

      9 정생화, "관풍(觀風)과 악부풍(樂府風) 조선한시(朝鮮漢詩)의 선록(選錄)과 비평 연구-중국 강희 연간 주이준(朱彝尊)과 우통(尤侗)을 중심으로-" 한국한시학회 (26) : 115-155, 2018

      10 구슬아, "가리어진 문형(文衡) - 어세겸(魚世謙)의 삶과 관각산문 연구 -" 인문과학연구소 (60) : 7-48, 2021

      11 申福浩, "館閣文學의 槪念과 그 類型 및 特性" 한국한문학회 (30) : 145-186, 2002

      12 이광소, "陽村 權近의 館閣風 送別詩 硏究"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18 : 147-191, 2015

      13 陸贄, "陸贄集"

      14 김우정, "陸贄 騈文의 특징과 『新唐書』 「陸贄傳」에서의 개작 양상" 한국한문학회 (77) : 301-340, 2020

      15 丁若鏞, "與猶堂全書"

      16 歐陽脩, "歐陽文忠公集"

      17 안세현, "梧陰 尹斗壽의 官僚 文人的 性格과 文學的 位相" (사)한국인물사연구회 (17) : 41-68, 2012

      18 "朝鮮王朝實錄"

      19 임완혁, "朝鮮前期 策文과 士의 世界 認識 -殿策精粹를 중심으로-" 우리한문학회 20 : 355-382, 2009

      20 "景慕宮儀軌"

      21 김성언, "春亭 卞季良의 館閣風 漢詩에 대하여" 석당학술원 (38) : 247-265, 2007

      22 徐師曾, "文體明辨"

      23 正祖, "文苑黼黻"

      24 吳訥, "文章辨體"

      25 "承政院日記"

      26 김현옥, "成三問과 申叔舟의 策文에 나타난 現實認識 比較" 근역한문학회 33 : 35-72, 2011

      27 백승호, "屐翁 李晩秀 館閣詩 硏究" 한국한시학회 (22) : 137-160, 2014

      28 姚鼐, "古文辭類纂"

      29 이성현, "南朝 九錫文의 구조와 사상적 특징" 중국어문학연구회 (119) : 355-378, 2019

      30 안순태, "南公轍 文學觀의 變移 樣相에 대한 硏究" 한국한문교육학회 (33) : 467-497, 2009

      31 김우정, "15세기 기서문의 성격과 의의-괴애, 사가, 점필재를 중심으로" 동양학연구원 (38) : 71-88,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6 0.74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