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등학교 영어교실의 유머 연구 : 역동적인 교수·학습을 위한 유머의 역할 = Humor in Elementary School English Classes in Korea: The Role of Humor in Enhancing Dynamic Teaching and Lear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6495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umor is pervasive in everyday life with everyone having used it or having experienced various humorous situations. In some conversations, unexpected circumstances cause humor to appear. However, in many other cases, humor is caused by the incongruity between speakers’ remarks and listeners’ expectations. Humorous communication is somewhat prevalent in classroom settings as well. Recently, humor’s pedagogical value has drawn attention in the area of second language (L2) education. Humor not only lowers learners’ foreign language learning anxiety but also raises learners’ interest and motivation (Petraki & Nguyen, 2016; Wagner & Urios-Aparisi, 2011). Furthermore, learners can explore forms and meanings of target language by using humor (Bell & Pomerantz, 2016; Laursen & Kolstrup, 2018).
      Thus, it is necessary to observe whether humor appears in elementary English classes, where early second language education is implemented officially and to analyze its roles in dynamic teaching and learning.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s humor in elementary school English classes in Korea. In order to gain a fuller understanding of humor, aspects such as forms, functions, and initiators of humor were investigated within a specific classroom context. The data consists of videotaped ordinary English classes and interviews with seven English teachers. This study developed its own humor analysis tool to examine English classes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regarding forms of humor, both verbal humor and nonverbal humor appeared. Verbal humor was mostly a mixture of English and Korean due to the limitations of teachers’ and learners’ English levels. The forms of humor used in these cases, in order from most used to least, were as follows: wordplay, teasing, joking, narrative, hyperbole, and self-deprecation. Nonverbal humor was less frequent than verbal humor and it included situational humor and physical humor. Some patterns were found in each type of humor. Secondly, humor performed three main functions: stress relief, establishing intimate relationships, and influencing others’ behavior. Each function was divided into sub-functions and affected classroom dynamics. For example, humor made the English classroom into an enjoyable and safe place, where teachers and learners could solidify their relationships. On the other hand, some learners used offensive humor while behaving as if they were only joking. Lastly, concerning the initiator, learners were found to use more humor than teachers. Some teachers successfully used humor while other teachers’ attempts at humor failed. Learners’ unintentional mistakes evoked laughter. As this could be seen as harassment of English underachievers, teachers were asked to not allow this to take place. Meanwhile, certain boys intentionally tried humor to get attention. It is noteworthy that teachers and students jointly constructed humor by supporting each others’ utterances. This type of conversation emerged where the rapport was well formed.
      This thesis concludes that humor promoted learners’ English learning and exerted positive functions over classroom dynamics, which made it possible for teachers to teach English more effectively. Furthermore, this study reconfirms the importance of teachers’ reactions and attitudes toward their pupils. When English teachers listened attentively and accepted learners’ speech, the conversation tended to develop humorousl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urrent dissertation projects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concerning how to use or deal with humor for elementary English teachers. This study has reevaluated humor which was regarded as off-task behavior in English classes and has begun a discussion of its roles for dynamic teaching and learning. For follow-up studies, it is necessary to further explore specifically how English teachers’ intentional and strategic use of humor influences English learners cognitively and affectively, the patterns of using humor according to teachers’ careers, and popular topics of humor which teachers can adopt. Such research could be a milestone in determining the potential value and roles of humor in Korea's primary English education.
      번역하기

      Humor is pervasive in everyday life with everyone having used it or having experienced various humorous situations. In some conversations, unexpected circumstances cause humor to appear. However, in many other cases, humor is caused by the incongruity...

      Humor is pervasive in everyday life with everyone having used it or having experienced various humorous situations. In some conversations, unexpected circumstances cause humor to appear. However, in many other cases, humor is caused by the incongruity between speakers’ remarks and listeners’ expectations. Humorous communication is somewhat prevalent in classroom settings as well. Recently, humor’s pedagogical value has drawn attention in the area of second language (L2) education. Humor not only lowers learners’ foreign language learning anxiety but also raises learners’ interest and motivation (Petraki & Nguyen, 2016; Wagner & Urios-Aparisi, 2011). Furthermore, learners can explore forms and meanings of target language by using humor (Bell & Pomerantz, 2016; Laursen & Kolstrup, 2018).
      Thus, it is necessary to observe whether humor appears in elementary English classes, where early second language education is implemented officially and to analyze its roles in dynamic teaching and learning.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s humor in elementary school English classes in Korea. In order to gain a fuller understanding of humor, aspects such as forms, functions, and initiators of humor were investigated within a specific classroom context. The data consists of videotaped ordinary English classes and interviews with seven English teachers. This study developed its own humor analysis tool to examine English classes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regarding forms of humor, both verbal humor and nonverbal humor appeared. Verbal humor was mostly a mixture of English and Korean due to the limitations of teachers’ and learners’ English levels. The forms of humor used in these cases, in order from most used to least, were as follows: wordplay, teasing, joking, narrative, hyperbole, and self-deprecation. Nonverbal humor was less frequent than verbal humor and it included situational humor and physical humor. Some patterns were found in each type of humor. Secondly, humor performed three main functions: stress relief, establishing intimate relationships, and influencing others’ behavior. Each function was divided into sub-functions and affected classroom dynamics. For example, humor made the English classroom into an enjoyable and safe place, where teachers and learners could solidify their relationships. On the other hand, some learners used offensive humor while behaving as if they were only joking. Lastly, concerning the initiator, learners were found to use more humor than teachers. Some teachers successfully used humor while other teachers’ attempts at humor failed. Learners’ unintentional mistakes evoked laughter. As this could be seen as harassment of English underachievers, teachers were asked to not allow this to take place. Meanwhile, certain boys intentionally tried humor to get attention. It is noteworthy that teachers and students jointly constructed humor by supporting each others’ utterances. This type of conversation emerged where the rapport was well formed.
      This thesis concludes that humor promoted learners’ English learning and exerted positive functions over classroom dynamics, which made it possible for teachers to teach English more effectively. Furthermore, this study reconfirms the importance of teachers’ reactions and attitudes toward their pupils. When English teachers listened attentively and accepted learners’ speech, the conversation tended to develop humorousl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urrent dissertation projects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concerning how to use or deal with humor for elementary English teachers. This study has reevaluated humor which was regarded as off-task behavior in English classes and has begun a discussion of its roles for dynamic teaching and learning. For follow-up studies, it is necessary to further explore specifically how English teachers’ intentional and strategic use of humor influences English learners cognitively and affectively, the patterns of using humor according to teachers’ careers, and popular topics of humor which teachers can adopt. Such research could be a milestone in determining the potential value and roles of humor in Korea's primary English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일상생활에서 우리는 가끔씩 유머(humor)를 사용해보거나 유머러스한 상황을 다양하게 경험해보곤 한다. 유머는 일부의 대화에서는 예상하지 못한 뜻밖의 상황으로 인해 나타나기도 하지만, 많은 경우에는 화자가 말한 것과 청자가 기대한 것 사이의 부조화로 인하여 나타나기도 한다. 이렇게 우리 생활 속에 깊이 들어와 있는 유머는 제2언어 교육 분야에서도 그 교육적 가치에 대한 연구가 최근 들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유머는 정서적 측면에서 학습자의 외국어 학습 불안을 낮추고 학습 흥미와 동기를 높일 수 있으며, 인지적 측면에서는 학습자로 하여금 목표 언어의 형식과 의미를 탐색하게 하는 중요한 동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Bell & Pomerantz, 2016; Cook, 2000; Laursen & Kolstrup, 2018; Petraki & Nguyen, 2016).
      이러한 점에서 초기 제2언어 학습의 현장인 우리나라의 초등영어교실에서는 과연 유머라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지, 그 유머는 어떠한 형태와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발화의 주체에 따라서는 어떠한 양상을 띠고 있는지를 관찰하여 영어 교수‧학습 과정에서 유머가 수행할 수 있는 역할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영어교실의 유머 발생과 전개 양상을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초등교육 현장의 영어교육 담당자들에게 의미 있는 실질적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또한 영어교실에서 발현한 유머를 응용하는 방식이 제2언어 교수‧학습 분야에서 어떠한 역동적 역할을 할 수 있는지, 나아가서 추후의 연구는 어떠한 방식으로 진행되면 좋을지에 대한 방향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영어교실에서 3∼6학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자연스런 수업을 촬영한 영상과 본 수업을 실시한 교사들과의 인터뷰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의 초등영어교실 상황을 적절하게 들여다 볼 수 있는 독자적인 유머 분석 도구를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실시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영어교실에서는 언어적 유머뿐만 아니라 비언어적 유머도 함께 다양하게 나타났다. 언어적 유머로는 영어 수준의 한계로 인하여 영어로만 된 유머 발화보다는 대부분 영어와 한국어가 혼합된 형태로 나타났으며, 유머의 사례로는 말장난, 놀리기, 농담, 내러티브, 과장, 자기 비하의 순서로 많이 나타났다. 비언어적 유머는 언어적 유머에 비해 횟수가 적었지만 크게 상황적 유머와 신체적 유머로 나타났는데, 각각의 유머 형태에서는 특이한 패턴이 발견되었다. 둘째, 유머는 영어교실에 긴장 완화나 친밀한 관계 형성, 혹은 타인의 행동에 영향력 주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특징을 띠며 나타났다. 이들 세 가지의 주된 유머 기능에는 각각 세부적인 하위 기능들이 있었으며 영어교실을 역동적으로 만드는데 다양한 영향을 끼쳤다. 가령, 유머는 영어교실을 즐겁고 안전한 공간으로 만들어 교사와 학습자 및 학습자 간의 관계를 공고히 하였지만, 일부 학습자들은 유머를 방패삼아 부정적인 행동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발화자 측면에서 볼 때 유머는 교사보다는 학습자에게서 더 다양한 사례가 발견되는 경향이 있었다. 일부 교사들은 유머를 성공적으로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어떤 교사들은 학습자들로부터 부정적인 반응을 얻기도 하였다. 학습자들의 경우에는 실수를 범하여 주위 친구들을 웃게 만들기도 하였는데, 이는 조롱의 상황이 되기도 하여 교사는 유머와 조롱의 경계에 대해 유의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일부 남학생들은 의도적으로 유머를 사용하여 이목을 끌고자 시도하기도 하였다. 교사와 학습자는 대화의 내용을 협력적으로 유머러스하게 발전시키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대화는 주로 교사와 학습자 간 라포르(rapport)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많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초등영어교실의 다양한 유머 발생과 전개는 전반적으로 학습자에게는 영어 학습을 촉진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며, 교사에게는 보다 더 효율적인 교수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나아가서, 학습자의 발화나 몸짓에 대한 교사의 반응 혹은 태도의 중요성도 드러났는데, 교사가 학습자의 발화를 경청하고 이를 긍정적으로 수용하면 할수록 상호작용 과정에서 더욱 자연스러운 유머가 발생하고 전개되는 경향이 분명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등영어교사들이 유머 상황을 대하거나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자칫 교실 내 과업 일탈 행동으로 비춰질 수도 있는 유머라는 현상을 초등영어 교수‧학습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기초적이나마 유머의 교육적 효용성 및 교실의 역동성을 위한 역할을 논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향후의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부분으로 유머가 있는 수업이 학습자들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구체적인 영향, 교사의 경력에 따른 유머의 활용 양상, 영어교사가 유머를 활용할 때 채택할 수 있는 주제 중에서 학습자가 선호하는 것이 무엇인지 등을 실증적으로 탐구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영어교육 현장에서 유머가 가지고 있는 잠재적 가치와 그 역할에 대한 진일보 한 이정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일상생활에서 우리는 가끔씩 유머(humor)를 사용해보거나 유머러스한 상황을 다양하게 경험해보곤 한다. 유머는 일부의 대화에서는 예상하지 못한 뜻밖의 상황으로 인해 나타나기도 하지만, ...

      일상생활에서 우리는 가끔씩 유머(humor)를 사용해보거나 유머러스한 상황을 다양하게 경험해보곤 한다. 유머는 일부의 대화에서는 예상하지 못한 뜻밖의 상황으로 인해 나타나기도 하지만, 많은 경우에는 화자가 말한 것과 청자가 기대한 것 사이의 부조화로 인하여 나타나기도 한다. 이렇게 우리 생활 속에 깊이 들어와 있는 유머는 제2언어 교육 분야에서도 그 교육적 가치에 대한 연구가 최근 들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유머는 정서적 측면에서 학습자의 외국어 학습 불안을 낮추고 학습 흥미와 동기를 높일 수 있으며, 인지적 측면에서는 학습자로 하여금 목표 언어의 형식과 의미를 탐색하게 하는 중요한 동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Bell & Pomerantz, 2016; Cook, 2000; Laursen & Kolstrup, 2018; Petraki & Nguyen, 2016).
      이러한 점에서 초기 제2언어 학습의 현장인 우리나라의 초등영어교실에서는 과연 유머라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지, 그 유머는 어떠한 형태와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발화의 주체에 따라서는 어떠한 양상을 띠고 있는지를 관찰하여 영어 교수‧학습 과정에서 유머가 수행할 수 있는 역할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영어교실의 유머 발생과 전개 양상을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초등교육 현장의 영어교육 담당자들에게 의미 있는 실질적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또한 영어교실에서 발현한 유머를 응용하는 방식이 제2언어 교수‧학습 분야에서 어떠한 역동적 역할을 할 수 있는지, 나아가서 추후의 연구는 어떠한 방식으로 진행되면 좋을지에 대한 방향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영어교실에서 3∼6학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자연스런 수업을 촬영한 영상과 본 수업을 실시한 교사들과의 인터뷰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의 초등영어교실 상황을 적절하게 들여다 볼 수 있는 독자적인 유머 분석 도구를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실시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영어교실에서는 언어적 유머뿐만 아니라 비언어적 유머도 함께 다양하게 나타났다. 언어적 유머로는 영어 수준의 한계로 인하여 영어로만 된 유머 발화보다는 대부분 영어와 한국어가 혼합된 형태로 나타났으며, 유머의 사례로는 말장난, 놀리기, 농담, 내러티브, 과장, 자기 비하의 순서로 많이 나타났다. 비언어적 유머는 언어적 유머에 비해 횟수가 적었지만 크게 상황적 유머와 신체적 유머로 나타났는데, 각각의 유머 형태에서는 특이한 패턴이 발견되었다. 둘째, 유머는 영어교실에 긴장 완화나 친밀한 관계 형성, 혹은 타인의 행동에 영향력 주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특징을 띠며 나타났다. 이들 세 가지의 주된 유머 기능에는 각각 세부적인 하위 기능들이 있었으며 영어교실을 역동적으로 만드는데 다양한 영향을 끼쳤다. 가령, 유머는 영어교실을 즐겁고 안전한 공간으로 만들어 교사와 학습자 및 학습자 간의 관계를 공고히 하였지만, 일부 학습자들은 유머를 방패삼아 부정적인 행동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발화자 측면에서 볼 때 유머는 교사보다는 학습자에게서 더 다양한 사례가 발견되는 경향이 있었다. 일부 교사들은 유머를 성공적으로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어떤 교사들은 학습자들로부터 부정적인 반응을 얻기도 하였다. 학습자들의 경우에는 실수를 범하여 주위 친구들을 웃게 만들기도 하였는데, 이는 조롱의 상황이 되기도 하여 교사는 유머와 조롱의 경계에 대해 유의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일부 남학생들은 의도적으로 유머를 사용하여 이목을 끌고자 시도하기도 하였다. 교사와 학습자는 대화의 내용을 협력적으로 유머러스하게 발전시키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대화는 주로 교사와 학습자 간 라포르(rapport)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많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초등영어교실의 다양한 유머 발생과 전개는 전반적으로 학습자에게는 영어 학습을 촉진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며, 교사에게는 보다 더 효율적인 교수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나아가서, 학습자의 발화나 몸짓에 대한 교사의 반응 혹은 태도의 중요성도 드러났는데, 교사가 학습자의 발화를 경청하고 이를 긍정적으로 수용하면 할수록 상호작용 과정에서 더욱 자연스러운 유머가 발생하고 전개되는 경향이 분명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등영어교사들이 유머 상황을 대하거나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자칫 교실 내 과업 일탈 행동으로 비춰질 수도 있는 유머라는 현상을 초등영어 교수‧학습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기초적이나마 유머의 교육적 효용성 및 교실의 역동성을 위한 역할을 논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향후의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부분으로 유머가 있는 수업이 학습자들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구체적인 영향, 교사의 경력에 따른 유머의 활용 양상, 영어교사가 유머를 활용할 때 채택할 수 있는 주제 중에서 학습자가 선호하는 것이 무엇인지 등을 실증적으로 탐구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영어교육 현장에서 유머가 가지고 있는 잠재적 가치와 그 역할에 대한 진일보 한 이정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4
      • Ⅱ. 이론적 배경 5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4
      • Ⅱ. 이론적 배경 5
      • 1. 유머의 정의 5
      • 가. 유머 이론 5
      • 나. 유머 상황 9
      • 다. 대화 방식 13
      • 2. 유머의 유형 15
      • 가. 언어적 유머 15
      • 나. 비언어적 유머 22
      • 3. 유머의 기능 24
      • 가. 긴장 완화 및 대처 25
      • 나. 사회적 유대 확립 및 유지 26
      • 다. 타인의 행동에 영향력 행사 27
      • 4. 제2언어 교육과 유머 31
      • 가. 국외 교사 유머 연구 31
      • 나. 국외 학습자 유머 연구 37
      • 다. 국내 유머 연구 42
      • 5. 요약 45
      • Ⅲ. 연구 방법 46
      • 1. 연구 기간 및 절차 46
      • 2. 참여자 47
      • 가. 교사 참여자 47
      • 나. 학생 참여자 56
      • 3. 연구 도구 61
      • 가. 수업 동영상 61
      • 나. 인터뷰 64
      • 다. 유머 분석 도구 65
      • 4. 자료 분석 66
      • 가. 교실 담화 분석 66
      • 나. 전사 규약 67
      • 다. 코딩 방식 68
      • 라. 인터뷰 분석 68
      • 5. 요약 69
      • Ⅳ. 유머의 유형 71
      • 1. 언어적 유머 71
      • 가. 말장난 72
      • 나. 놀리기 80
      • 다. 내러티브 84
      • 라. 농담 87
      • 마. 과장 90
      • 바. 자기 비하 92
      • 2. 비언어적 유머 96
      • 가. 상황적 유머 97
      • 나. 신체적 유머 100
      • 3. 요약 104
      • Ⅴ. 유머의 기능 105
      • 1. 긴장 완화 105
      • 가. 흥미 유발 106
      • 나. 불안 감소 112
      • 2. 친밀한 관계 형성 118
      • 가. 교사와 학습자의 라포르 형성 118
      • 나. 학습자 연대 형성 124
      • 3. 영향력 행사 127
      • 가. 사회적 통제 127
      • 나. 체면 보호 132
      • 다. 불순종 137
      • 4. 요약 141
      • Ⅵ. 유머 발화자 142
      • 1. 교사의 유머 142
      • 가. 성공한 유머 143
      • 나. 실패한 유머 146
      • 2. 학습자의 유머 150
      • 가. 비의도적 실수 151
      • 나. 의도적 주의 끌기 156
      • 3. 유머 공동 구성 159
      • 가. 풍부한 상호작용 159
      • 나. 말차례 지원하기 165
      • 4. 요약 170
      • Ⅶ. 결론 및 제언 171
      • 1. 요약 171
      • 2. 결론 173
      • 가. 연구의 결론 174
      • 나. 연구의 시사점 176
      • 다. 연구의 한계 178
      • 3. 제언 180
      • 참고 문헌 182
      • 부록 193
      • <부록 1> 연구 참여 안내 193
      • <부록 2> 연구 참여 동의서 195
      • <부록 3> 교사 참여자 기초 조사서 196
      • <부록 4> 전사 표기법 199
      • ABSTRACT 200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왕혜숙, "유머를 이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 이중언어학, 39, 171-211, 2009

      2 최권진, "유머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동악어문학, 62, 449-479, 2014

      3 신현제, "Humor의 언어구조 및 영어교육에의 활용", 영어교육, 31, 59-76, 1986

      4 윤천탁, "국어교육에서 유머 텍스트의 활용 방안", 청람어문교육, 35, 179-205, 2007

      5 교육부, "영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서울: 교육부, 2015

      6 민현식, "국어교육에서의 지도력(리더십) 교육 시론", 화법연구, 9, 231-287, 2006

      7 김진영, "유아들의 유머와 친구 관계에 대한 질적 연구", 유아교육연 구, 24(6), 113-133, 2004

      8 구현정, "국어과 교육 내용으로서 유머 교육을 위한 시론", 한말연구, 46, 5-30, 2017

      9 구현정, "유머에 관한 인지적 접근-불일치 이론을 중심으로", 한말연 구, 49, 5-34, 2018

      10 허영주, "교사유머의 유형화 및 유형별 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교육 방법연구, 23(1), 1-29, 2011

      1 왕혜숙, "유머를 이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 이중언어학, 39, 171-211, 2009

      2 최권진, "유머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동악어문학, 62, 449-479, 2014

      3 신현제, "Humor의 언어구조 및 영어교육에의 활용", 영어교육, 31, 59-76, 1986

      4 윤천탁, "국어교육에서 유머 텍스트의 활용 방안", 청람어문교육, 35, 179-205, 2007

      5 교육부, "영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서울: 교육부, 2015

      6 민현식, "국어교육에서의 지도력(리더십) 교육 시론", 화법연구, 9, 231-287, 2006

      7 김진영, "유아들의 유머와 친구 관계에 대한 질적 연구", 유아교육연 구, 24(6), 113-133, 2004

      8 구현정, "국어과 교육 내용으로서 유머 교육을 위한 시론", 한말연구, 46, 5-30, 2017

      9 구현정, "유머에 관한 인지적 접근-불일치 이론을 중심으로", 한말연 구, 49, 5-34, 2018

      10 허영주, "교사유머의 유형화 및 유형별 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교육 방법연구, 23(1), 1-29, 2011

      11 박찬미, "유머 전략의 화법 교수 학습 적용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010

      12 허영주, "교사유머의 교육적 효과와 성공적 활용의 조건 및 전략 탐 색", 교육방법연구, 21(1), 115-139, 2009

      13 허영주, "예비교사의 유머감각과 유머스타일이 교사교육에 요구하는 변화", 교육방법연구, 22(2), 19-49, 2010

      14 배제현, 최정아, 차영숙, "이야기 나누기의 유머활용이 유아의 창의성 과 몰입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 23(3), 293-321, 2016

      15 박선호, "초등학교 영어교육 도입 20년: 담임교사는 영어를 가르칠 수 있는가?", 교육논총, 37(3), 225-250, 2017

      16 김도연, 안경자, "초등학교 영어전담교사 희망 및 기피 요인과 영어전 담교사 제도의 개선방안", 한국초등교육, 29(3), 19-40, 2018

      17 김상윤, 김태영, "초등 TEE 수업에 대한 학습자 호감도, 불안감 및 학습 동기가 학습자가 인식하는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 영어교육, 18(1), 283-307,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