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구연자의 집단적 이야기 목록 구성방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669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마을의 이야기 다발(set)은 여러 제보자들이 참여하는 이야기판들에서 완성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1인의 구연자가 연행할 때에는 온전한 세트를 갖추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유사한 소재나 주제의 목록을 혼자 연행하는 것은 유능한 제보자가 피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 이야기꾼의 풍부한 구연목록을 채록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마을의 이야기를 총체적으로 조사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여러 연행자들의 구연목록이 다발을 이룬 마을의 이야기목록을 얻어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조사방법이 된다는 점이다.
      한편 구비문학의 주제는 결코 옛 이야기의 재연이 아니라 철저히 현실에 기반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실의 자기 처지에 따라서 이야기 구연목록과 이야기 구연의 정서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구비문학에서는 이야기의 구조나 화소가 의미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이야기의 연동과 공동체 및 개인의 현실상황에 따라서 해당 이야기의 본질적 의미가 결정되고 있는 것이다.
      구비문학의 구연자로서 청송과 문경의 제보자들은 낯선 조사자들의 방문에 응대하면서 자신들의 문서, 즉 구연목록을 펼쳐보였다. 이러한 구연목록은 조사진과 상호작용 속에서 나온 것이기는 하지만 분명 그러한 목록 구성에서 일정한 법칙성이 발견되었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자신들이 전통적으로 지속해왔던 이야기판의 흐름을 늦게나마 끄집어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던 것이다. 본래 이야기판의 흐름을 이끌어내는 데 성공하게 되면 그 이후의 조사는 훨씬 수월한 작업이 되었다. 중간중간 이야기 머리가 되는 꼭지만 던져주면 자연스럽게 이야기 세트가 실 풀리듯이 풀려나왔기 때문이다.
      번역하기

      마을의 이야기 다발(set)은 여러 제보자들이 참여하는 이야기판들에서 완성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1인의 구연자가 연행할 때에는 온전한 세트를 갖추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유사한 소재나 주...

      마을의 이야기 다발(set)은 여러 제보자들이 참여하는 이야기판들에서 완성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1인의 구연자가 연행할 때에는 온전한 세트를 갖추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유사한 소재나 주제의 목록을 혼자 연행하는 것은 유능한 제보자가 피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 이야기꾼의 풍부한 구연목록을 채록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마을의 이야기를 총체적으로 조사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여러 연행자들의 구연목록이 다발을 이룬 마을의 이야기목록을 얻어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조사방법이 된다는 점이다.
      한편 구비문학의 주제는 결코 옛 이야기의 재연이 아니라 철저히 현실에 기반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실의 자기 처지에 따라서 이야기 구연목록과 이야기 구연의 정서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구비문학에서는 이야기의 구조나 화소가 의미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이야기의 연동과 공동체 및 개인의 현실상황에 따라서 해당 이야기의 본질적 의미가 결정되고 있는 것이다.
      구비문학의 구연자로서 청송과 문경의 제보자들은 낯선 조사자들의 방문에 응대하면서 자신들의 문서, 즉 구연목록을 펼쳐보였다. 이러한 구연목록은 조사진과 상호작용 속에서 나온 것이기는 하지만 분명 그러한 목록 구성에서 일정한 법칙성이 발견되었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자신들이 전통적으로 지속해왔던 이야기판의 흐름을 늦게나마 끄집어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던 것이다. 본래 이야기판의 흐름을 이끌어내는 데 성공하게 되면 그 이후의 조사는 훨씬 수월한 작업이 되었다. 중간중간 이야기 머리가 되는 꼭지만 던져주면 자연스럽게 이야기 세트가 실 풀리듯이 풀려나왔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Folktale on village through researches patterns of performer’s performing list. Features of village story list by examining folktale related to one performer diverse villages related to the pertinent performer’s life. If the existing researches expressed ‘Village’s understanding through folktale list’ or ‘Understanding or comparison of village through oral literature’.
      The capacity of a performer is strongly dependent on such variables and the recording of story telling in performing sites need nuanced and sophisticated approaches. In order to discover an outstanding speaker, it is necessary to have nuanced understanding on a narrative field. the researcher’s questions and requests, the informer talks about the tale, and as the researcher’s response to it works as ‘feedback’ and enhances the atmosphere, the informer shows a more active attitude for the tale-telling.
      Performances gotten by analysis on village performing list are as follows. First, stories as village culture form position of village members based on historical experience thoroughly. Second, stories as village folktale culture are beyond each individual’s list and follow the total list of village. Namely, we can see that village community than each individual is considered preferentially in stories. Third, village performing list is reflecting position and opinions of the people dynamically, having correlations with historical detailed fac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Folktale on village through researches patterns of performer’s performing list. Features of village story list by examining folktale related to one performer diverse villages related to the pertinent perform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Folktale on village through researches patterns of performer’s performing list. Features of village story list by examining folktale related to one performer diverse villages related to the pertinent performer’s life. If the existing researches expressed ‘Village’s understanding through folktale list’ or ‘Understanding or comparison of village through oral literature’.
      The capacity of a performer is strongly dependent on such variables and the recording of story telling in performing sites need nuanced and sophisticated approaches. In order to discover an outstanding speaker, it is necessary to have nuanced understanding on a narrative field. the researcher’s questions and requests, the informer talks about the tale, and as the researcher’s response to it works as ‘feedback’ and enhances the atmosphere, the informer shows a more active attitude for the tale-telling.
      Performances gotten by analysis on village performing list are as follows. First, stories as village culture form position of village members based on historical experience thoroughly. Second, stories as village folktale culture are beyond each individual’s list and follow the total list of village. Namely, we can see that village community than each individual is considered preferentially in stories. Third, village performing list is reflecting position and opinions of the people dynamically, having correlations with historical detailed fac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연행상황의 성격과 구연자
      • 3. 구연자들의 집단적 설화목록 구성
      • 4. 구연목록의 구성원리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연행상황의 성격과 구연자
      • 3. 구연자들의 집단적 설화목록 구성
      • 4. 구연목록의 구성원리
      • 5.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