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업 스트레스와 시험 불안이 취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보건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and Test Anxiety on Job-seeking Stress : Focused on Health College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227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시험불안이 취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보건계열 대학생의 정신적, 정서적 건강을 증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수도권에 소재하는 대학의 보건의료행정(학)과 158명을 대상으로 2024년 9월 20일부터 10월 1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은 SPSS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학업 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3.13±0.65점, 시험 불안은 3.10±0.71점, 취업 스트레스는 3.06±0.87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 스트레스는 시험 불안(r=.778, p<.001), 취업 스트레스(r=.756, p<.001)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시험 불안은 취업 스트레스와(r=.689, p<.001)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다중회귀분석 결과, 취업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업 스트레스가 높을수록(β=.479, p<.001), 그리고 시험 불안이 클수록(β=.222, p<.001) 취업 스트레스가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학업 스트레스를 줄이고 시험 불안을 완화할 수 있는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하며, 취업 준비 과정에서의 부담감을 줄일 수 있는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시험불안이 취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보건계열 대학생의 정신적, 정서적 건강을 증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시험불안이 취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보건계열 대학생의 정신적, 정서적 건강을 증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수도권에 소재하는 대학의 보건의료행정(학)과 158명을 대상으로 2024년 9월 20일부터 10월 1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은 SPSS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학업 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3.13±0.65점, 시험 불안은 3.10±0.71점, 취업 스트레스는 3.06±0.87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 스트레스는 시험 불안(r=.778, p<.001), 취업 스트레스(r=.756, p<.001)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시험 불안은 취업 스트레스와(r=.689, p<.001)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다중회귀분석 결과, 취업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업 스트레스가 높을수록(β=.479, p<.001), 그리고 시험 불안이 클수록(β=.222, p<.001) 취업 스트레스가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학업 스트레스를 줄이고 시험 불안을 완화할 수 있는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하며, 취업 준비 과정에서의 부담감을 줄일 수 있는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Academic Stress, Test Anxiety, and Job-seeking Stress among health college students, as well as to identify the key factors influencing Job-seeking Stress. To achieve this, students enrolled in health administration programs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resulting in a final sample of 158 participants for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health college students, lower school record, lack of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programs, and younger student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Job-seeking Stress. The average scores for Academic Stress, Test Anxiety, and Job-seeking Stress were all found to be above the moderate level,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se variables. It was confirm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Job-seeking Stress in health college students include school record, Academic Stress, and Test Anxiety. Specifically, higher levels of Academic Stress (β = .479, p < .001) and greater Test Anxiety (β = .222, p < .006)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Job-seeking Stres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various support programs aimed at reducing Academic Stress and alleviating Test Anxiety among health college student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 programs to lessen the burdens associated with the employment preparation proces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Academic Stress, Test Anxiety, and Job-seeking Stress among health college students, as well as to identify the key factors influencing Job-seeking Stress. To achieve this, students enrolled in h...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Academic Stress, Test Anxiety, and Job-seeking Stress among health college students, as well as to identify the key factors influencing Job-seeking Stress. To achieve this, students enrolled in health administration programs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resulting in a final sample of 158 participants for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health college students, lower school record, lack of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programs, and younger student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Job-seeking Stress. The average scores for Academic Stress, Test Anxiety, and Job-seeking Stress were all found to be above the moderate level,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se variables. It was confirm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Job-seeking Stress in health college students include school record, Academic Stress, and Test Anxiety. Specifically, higher levels of Academic Stress (β = .479, p < .001) and greater Test Anxiety (β = .222, p < .006)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Job-seeking Stres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various support programs aimed at reducing Academic Stress and alleviating Test Anxiety among health college student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 programs to lessen the burdens associated with the employment preparation proces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