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에너지소비량과 근력을 비교분석하고 신체조성과의 상관성을 알아봄으로, 적정한 체중을 유지하기 위한 신체활동 증진 및 체력수준 향상...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에너지소비량과 근력을 비교분석하고 신체조성과의 상관성을 알아봄으로, 적정한 체중을 유지하기 위한 신체활동 증진 및 체력수준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103명을 연구대상으로 체질량지수 기준 정상군(23미만), 과체중군(23~25미만), 비만군(25이상)으로 분류하였으며, 신체계측 및 생화학적 검사, 신체조성, 신체활동 측정 및 근력 측정을 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조성은 비만군에서 체지방율이 가장 높았고, 제지방율이 가장 낮았다. 둘째, 신체활동량은 비만군이 총소비량은 가장 높았으나 체중당 총소비량은 두 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신체활동량은 세 그룹의 차이가 없었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상체근력은 매우 약한 수준이었으며, 체중당 근력은 세 그룹의 차이가 없었다. 넷째, 체질량지수는 총소비량과는 정적 상관성을 보였으며, 체중당 총소비량, 체중당 신체활동소비량과는 부적 상관성을 보였다. 다섯째, 제지방량은 총소비량과 정적 상관성을 보였으며, 제지방율은 체중당 총소비량, 체중당 신체활동소비량, 보행수와 정적 상관성을 보였다. 체질량지수와 근력 및 체중당 근력은 정적 상관성을 보였다. 제지방량은 하체근력과 체중당 하체근력에서 정적 상관성을 보였으며, 제지방율은 체중당 상체근력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부적 상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당뇨병학회에서 추천하는 권장소비량에 해당하는 신체활동 수준을 보였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만군은 체지방율이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모든 그룹에서는 근력 중 특히 상체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저항성 운동프로그램을 추천하며, 체중당 총소비량, 신체활동소비량, 보행수를 증가시키는 것은 제지방율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