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2형 당뇨병환자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에너지소비량 및 근력 평가와 신체조성과의 상관성 = Correlation between Energy Expenditure, Muscle Strength Assessment and Body Composition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227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compare energy expenditure and muscle strength according to the body mass index(BMI) of type 2 diabetic patients an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with body composition, using it ac basic data for promoting physical activity and improving physical fitness to maintain appropriate ideal body weight. 103 subjects were classified in to the normal group(BMI less than 23, G1), overweight group(BMI 23~25, G2) and obese group(BMI 25 or more, G3), and physical measurements and biochemical test, body composition, energy expenditure, and maximal muscle strength measurements were performed. First, body composition had the highest body fat percentage in the G3. Second, the total energy expenditure per body weight in G3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two groups.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in lower body muscle strength per body weight among the three groups. Fourth, BMI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otal energy expenditure,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total consumption per body weight and physical activity expenditure per body weight. Fifth, Fat free mass was positively with the total energy expenditure and fat free mass per body weight was positively correlated total consumption per body weight, and steps. BMI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aximal muscle strength and maximal muscle strength per body weight. Fat free mas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lower body muscle strength and lower body muscle strength per body weight. Fat free mass percentage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ll variables except for upper body muscle strength per body weight.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compare energy expenditure and muscle strength according to the body mass index(BMI) of type 2 diabetic patients an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with body composition, using it ac basic data for promoting physical activity and impr...

      This study aimed to compare energy expenditure and muscle strength according to the body mass index(BMI) of type 2 diabetic patients an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with body composition, using it ac basic data for promoting physical activity and improving physical fitness to maintain appropriate ideal body weight. 103 subjects were classified in to the normal group(BMI less than 23, G1), overweight group(BMI 23~25, G2) and obese group(BMI 25 or more, G3), and physical measurements and biochemical test, body composition, energy expenditure, and maximal muscle strength measurements were performed. First, body composition had the highest body fat percentage in the G3. Second, the total energy expenditure per body weight in G3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two groups.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in lower body muscle strength per body weight among the three groups. Fourth, BMI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otal energy expenditure,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total consumption per body weight and physical activity expenditure per body weight. Fifth, Fat free mass was positively with the total energy expenditure and fat free mass per body weight was positively correlated total consumption per body weight, and steps. BMI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aximal muscle strength and maximal muscle strength per body weight. Fat free mas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lower body muscle strength and lower body muscle strength per body weight. Fat free mass percentage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ll variables except for upper body muscle strength per body weigh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에너지소비량과 근력을 비교분석하고 신체조성과의 상관성을 알아봄으로, 적정한 체중을 유지하기 위한 신체활동 증진 및 체력수준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103명을 연구대상으로 체질량지수 기준 정상군(23미만), 과체중군(23~25미만), 비만군(25이상)으로 분류하였으며, 신체계측 및 생화학적 검사, 신체조성, 신체활동 측정 및 근력 측정을 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조성은 비만군에서 체지방율이 가장 높았고, 제지방율이 가장 낮았다. 둘째, 신체활동량은 비만군이 총소비량은 가장 높았으나 체중당 총소비량은 두 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신체활동량은 세 그룹의 차이가 없었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상체근력은 매우 약한 수준이었으며, 체중당 근력은 세 그룹의 차이가 없었다. 넷째, 체질량지수는 총소비량과는 정적 상관성을 보였으며, 체중당 총소비량, 체중당 신체활동소비량과는 부적 상관성을 보였다. 다섯째, 제지방량은 총소비량과 정적 상관성을 보였으며, 제지방율은 체중당 총소비량, 체중당 신체활동소비량, 보행수와 정적 상관성을 보였다. 체질량지수와 근력 및 체중당 근력은 정적 상관성을 보였다. 제지방량은 하체근력과 체중당 하체근력에서 정적 상관성을 보였으며, 제지방율은 체중당 상체근력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부적 상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당뇨병학회에서 추천하는 권장소비량에 해당하는 신체활동 수준을 보였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만군은 체지방율이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모든 그룹에서는 근력 중 특히 상체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저항성 운동프로그램을 추천하며, 체중당 총소비량, 신체활동소비량, 보행수를 증가시키는 것은 제지방율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에너지소비량과 근력을 비교분석하고 신체조성과의 상관성을 알아봄으로, 적정한 체중을 유지하기 위한 신체활동 증진 및 체력수준 향상...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에너지소비량과 근력을 비교분석하고 신체조성과의 상관성을 알아봄으로, 적정한 체중을 유지하기 위한 신체활동 증진 및 체력수준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103명을 연구대상으로 체질량지수 기준 정상군(23미만), 과체중군(23~25미만), 비만군(25이상)으로 분류하였으며, 신체계측 및 생화학적 검사, 신체조성, 신체활동 측정 및 근력 측정을 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조성은 비만군에서 체지방율이 가장 높았고, 제지방율이 가장 낮았다. 둘째, 신체활동량은 비만군이 총소비량은 가장 높았으나 체중당 총소비량은 두 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신체활동량은 세 그룹의 차이가 없었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상체근력은 매우 약한 수준이었으며, 체중당 근력은 세 그룹의 차이가 없었다. 넷째, 체질량지수는 총소비량과는 정적 상관성을 보였으며, 체중당 총소비량, 체중당 신체활동소비량과는 부적 상관성을 보였다. 다섯째, 제지방량은 총소비량과 정적 상관성을 보였으며, 제지방율은 체중당 총소비량, 체중당 신체활동소비량, 보행수와 정적 상관성을 보였다. 체질량지수와 근력 및 체중당 근력은 정적 상관성을 보였다. 제지방량은 하체근력과 체중당 하체근력에서 정적 상관성을 보였으며, 제지방율은 체중당 상체근력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부적 상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당뇨병학회에서 추천하는 권장소비량에 해당하는 신체활동 수준을 보였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만군은 체지방율이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모든 그룹에서는 근력 중 특히 상체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저항성 운동프로그램을 추천하며, 체중당 총소비량, 신체활동소비량, 보행수를 증가시키는 것은 제지방율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