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춘천 중도동유적 돌대문토기 단계 주거와 취락양상 = An Analysis of Doldae Mun Pottery Period Dwellings and Settlements at the Jungdo-dong Site in Chunch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377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춘천 중도동유적에 조성된 돌대문토기 단계 주거구조와 유물에 대한 분석작업을 통해 단계설정을 하고, 단계별 주거군 배치 및 취락규모 등의 변천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중...

      본고에서는 춘천 중도동유적에 조성된 돌대문토기 단계 주거구조와 유물에 대한 분석작업을 통해 단계설정을 하고, 단계별 주거군 배치 및 취락규모 등의 변천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중도동유적 돌대문토기 단계에 해당하는 주거지는 모두 76동이다. 방형은 46동, 장방형 26동, 세장방형 4동이다. 주거지는 중(대)형의 장(방)형 주거지 평면에 석상(위석식)노가 설치된 형태(Ⅰ유형)와 소형의 방형 평면에 무시설식노가 설치된 형태(Ⅱ유형)로 구분된다. 주거지는 중·대형 장방형 평면에 내부에는 석상(위석식) 노 단독, 석상위석식 노 2개와 석상위석식 노와 무시설식 노 2개의 복수로 설치된 세대공동체의 공동거주형과 소형 방형의 무시설식 노가 1개가 설치된 단독거주형 주거지로 구분된다. 주거지 단계설정은 돌대문토기를 중심으로 한 토기류와 주거구조, 방사성탄소연대자료를 중심으로 3단계로 설정하였다. 중도동유적 돌대문토기 단계 주거지역은 하중도에서 가장 높은 지역으로 상대적으로 안전한 지대로, 단계별로 2~7개의 주거군으로 이루어진 선상배치를 보인다. 1단계 조기전반에는 중도동 남서쪽에 위치한 C1구역에 미사리유형 주거가 처음으로 조성되는 단계로, 중(대)형의 장방형 주거지와 소형 방형 주거지 포함 10여동이 축조되는 소규모취락으로 형성된다. 2단계 조기후반에는 1단계에 축조된 세대공동체의 공동주거형인 중(대)형의 장방형 주거지와 소형 방형 주거지의 축조 숫자가 증가한다. B1구역에 먼저 주거군이 형성되고, 점차적으로 동쪽(E1) 구역과 북쪽(D2·3구역)으로 주거군이 확장되어, 대규모취락으로 조성된다. 3단계 전기전반에는 남서쪽 일부에만 주거가 축조되면서, 취락의 규모는 축소 및 소멸되며, 중도동 주민들은 인접한 금산리·현암리나 근화동 지역으로 이주한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e of dwellings constructed at the Jungdo-dong Site in Chuncheon during the Doldae Mun Pottery period and their associated relics to determine the phase of these dwellings and analyze the development aspects of the Misar...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e of dwellings constructed at the Jungdo-dong Site in Chuncheon during the Doldae Mun Pottery period and their associated relics to determine the phase of these dwellings and analyze the development aspects of the Misary Type Settlement. At the Jungdo-dong Site, dwellings dated to the Doldae Mun Pottery period number 76 in total, with 46 square ones, 26 rectangular ones, and 4 elongated rectangular ones. These dwelling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in terms of structure: TypeⅠwith a medium-tolarge rectangular plan, a stone-lined fireplace, and a no-facility type upper side, and TypeⅡ with a small square plan, a no-facility type fireplace, and a no-facility type upper side. More specifically, the dwellings are classified into multi-family dwellings for generational communities that are characterized by a medium-to-large rectangular plan and a stone-lined fireplace or a stone-lined fireplace installed together with a no-facility type fireplace, and singlefamily dwellings with a small square plan and a no-facility type fireplace. The phase of these dwellings was determined as PhaseⅢ based on their associated earthenware, which is mainly Doldae Mun pottery, dwelling structure, and radiocarbon dating data. The dwellings were located in the highest and relatively safe area on the river island, and the Jungdo-dong Settlement formed in the Doldae Mun pottery period shows the linear arrangement of five dwelling site groups. Considering the excavation pattern of Doldae Mun pottery and deep bowl shaped pottery with a round bottom, and radiocarbon dating results, it is presumed that the Jungdo-dong Settlement started as a small-size settlement in the C1 area, southwest of the river island, at the time of its creation, and gradually expanded to the northeast to form a large-size settlement. Meanwhile, the Misary Type Settlement at the Jungdo-dong Site was formed as a small-size settlement consisting of 1-2 dwelling site groups including medium-to-large rectangular dwellings and small square ones in the first half of the creation period. By the second half of the creation period, through migration and expansion within the Jungdo-dong Site, it developed into a large-scale settle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언 Ⅱ. 주거구조 Ⅲ. 주거지 단계설정 Ⅳ. 취락 변천양상 Ⅴ. 결어
      • Ⅰ. 서언 Ⅱ. 주거구조 Ⅲ. 주거지 단계설정 Ⅳ. 취락 변천양상 Ⅴ. 결어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병학, "춘천 중도동유적 청동기시대 취락에 대한 토론문" 2020

      2 이형원, "춘천 중도동유적 청동기시대 취락" 2020

      3 구준모, "춘천 중도동유적 청동기시대 유물" 2020

      4 박영구, "춘천 중도동유적 청동기시대 분묘에 대한 토론문" 2020

      5 金權中, "춘천 중도동유적 청동기시대 분묘" 2020

      6 정연우, "춘천 중도동유적 조사개요" 2020

      7 윤호필, "춘천 중도동유적 경작유구" 2020

      8 정원철, "청동기시대 중도유적의 발굴성과와 연구 쟁점" 중부고고학회 2019

      9 천선행, "청동기시대 조기의 사회형태 시론" 한국청동기학회 (26) : 4-31, 2020

      10 고민정, "청동기시대 조·전기 주거지 형태와 출현배경" 2021

      1 강병학, "춘천 중도동유적 청동기시대 취락에 대한 토론문" 2020

      2 이형원, "춘천 중도동유적 청동기시대 취락" 2020

      3 구준모, "춘천 중도동유적 청동기시대 유물" 2020

      4 박영구, "춘천 중도동유적 청동기시대 분묘에 대한 토론문" 2020

      5 金權中, "춘천 중도동유적 청동기시대 분묘" 2020

      6 정연우, "춘천 중도동유적 조사개요" 2020

      7 윤호필, "춘천 중도동유적 경작유구" 2020

      8 정원철, "청동기시대 중도유적의 발굴성과와 연구 쟁점" 중부고고학회 2019

      9 천선행, "청동기시대 조기의 사회형태 시론" 한국청동기학회 (26) : 4-31, 2020

      10 고민정, "청동기시대 조·전기 주거지 형태와 출현배경" 2021

      11 김세진, "북한강 유역 청동기시대 대형 취락의 형성 과정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12 정유진, "남한지역 돌대문토기의 전개과정" 한국청동기학회 (29) : 4-28, 2021

      13 박영구, "江原嶺西地域 靑銅器時代 聚落의 展開樣相" 숭실사학회 (36) : 49-86, 2016

      14 춘천 중도동유적 연합발굴조사단, "春川 中島洞遺蹟" 2020

      15 김권중, "嶺西地域 靑銅器時代 文化 硏究" 嶺南大學校 大學院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59 0.812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